항목
-
국방정보본부 國防情報本部1981년 한국군의 정보업무를 총괄하고 C3I계획을 수립 추진하기 위해 창설된 정보기관. 개설 1981년 10월 12일 국방정보본부의 창설로 한국군은 군사정보 및 보안업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체계적인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1983년 8월에는 정보기획 및 예산업무마저 조정 · 통제할 수 있게 되어 정보업무의 통...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DIA 국방정보본부, DIA (South Korea)DIA (Defence Intelligence Agency) (hangul:국방정보부) is the South Korea Intelligence Agency of Defense. Activities It runs the Cyber Defense Headquarters (사이버사령부) that investigates and prevents cyber-attacks from North Korea. The CDH was criticized for the lack of a designated headquarters...출처 영어 위키백과
-
합동참모본부 합참, 合同參謀本部본부를 설치하였다. 1975년, 합동참모의장(合同參謀議長) 명칭을 사용하면서 군령권(軍令權)을 행사하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들어서 국방정보본부(國防情報本部)를 신설하고 정보 기능을 이관하였다. 1982년 1월 20일부터 대간첩대책본부장을 겸임하였다. 1990년 10월 1일에는 합동 군제 개념을 도입하여 4본부장제로...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 전투 작전 정보 본부 KCOIC, 韓國戰鬪作戰情報本部공군 구성군 사령부 예하 기구. 항공 정보 체계를 통하여 한국 전구 항공 통제 체계(KTACS) 내의 부대 및 지상군 ・ 해상군 부대와 기타 필요 부서에 전구 항공 통제 체계 운영, 목표 선정, 각 군 작전, 기타 비물리적 수단(심리전, 전자전, 기만전 등)의 운영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분야 :
- 항공
-
국군정보사령부 정보사, 國軍情報司令部대정보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기 위한 정보사령부를 둔다.”고 명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국방부 지할부대인 국방정보본부 산하에 설치되어 있으며, 신호정보를 관장하는 777사령부와 함께 국방정보본부의 관리 · 통제 · 지휘를 받는다. 변천 및 현황 먼저, 육군의 정보부대는 1946년 1월에 군정청 국방 총사령부 정보과...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국방 전자 통신 협회 AFCEA, 國防電子通信協會개인 회원과 약 900개의 법인 회원으로 구성된다. 1950년대 이후 국방 정보/통신 관련 정보의 교환과 협력 증진을 통해 자유 세계의 안전 보장에 기여하고 개발...장학금의 지급 등을 통해서 목적 달성을 도모하는 이 협회는 미국에 본부를 두고 캐나다, 벨기에, 우리나라 등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URL:www.afcea...
-
남조선 국방경비대 국방경비대, 南朝鮮 國防警備隊효시로, 8개 도청소재지에 각각 1개 중대씩을 편성하였으며, 제1연대본부에 남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부를 설치하고, 이들 부대를 관장하게 하였다. 그 뒤 1946년 6월 15일 조선경비대로 개칭되었으며, 총사령부에는 총참모장 밑에 인사 · 정보 · 작전교육 · 군수국의 일반참모부와 재정처 · 의무처 · 법무처...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
비행 협조 본부 FCC, 飛行協助本部육군 항공 교통 통제 기관인 비행 작전반(FOC)의 하위 기관. 비행 작전반에 항공 교통 정보 제공 또는 전파, 책임 구역 내의 항공기 통제 및 통제 중인 항공기에 경고 방송 등 비행 작전반의 통신 능력을 확장하기 위하여 운영된다.
- 분야 :
- 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