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작전지휘권 作戰指揮權
    1950년 7월 14일자로 작전지휘의 효율성을 위해 한국군의 작전지휘권(작전통제권)이 유엔군사령관에게 이양되었으며 1994년 12월 1일 평시작전통제권이 한국군으로 전환됨.|개설 6 · 25전쟁 초기에 창설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군의 기습공격을 받은 국군이 독자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면서 전쟁을 수행하...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국방
  • 한국군작전통제권 작통권, 韓國軍作戰統制權
    한국군의 작전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개설 작전통제는 작전계획이나 작전명령 상에 명시된 특정 임무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지휘관에게 부여된 권한이다. 현재 한국군의 작전통제권은 평시작전통제권과 전시작전통제권으로 구분되어 있다. 평시작전통제권은 1950년 7월 14일 이승만 대통령이 유엔군사령관에게 작...
    시대 :
    현대
    성격 :
    권한
    유형 :
    제도
    시행일 :
    1994년 12월 1일(평시작전통제권 환수), 2012년 4월 17일(전시작전통제권 환수 예정)
    시행처 :
    합참의장
    분야 :
    정치·법제/국방
  • 작전통제권 작통권, 作戰統制權
    한국군의 작전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 줄여서 작통권이라고도 함.|한국군의 작전권은 평시작전통제권과 전시작전통제권으로 나뉘어 있다. 주권국가의 작전권은 해당 국가의 군 통수권자에게 있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한국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 이승만 대통령이 작전통제권을 유엔군사령관에게 이양하며 작전통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전시작전통제권 (관련어 작전지휘권) Wartime Operational Contro..
    한국군의 작전권은 평시작전통제권과 전시작전통제권으로 나뉜다. 전시작전통제권은 유사시 한국군의 작전을 통제하는 권한으로 전쟁이 일어나면 한국군의 작전통제권이 한미연합사령관에게 이관된다. 1950년 7월 이승만은 맥아더 사령관에게 국군의 작전지휘권을 이양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내어 안전보장이사회가 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전시작전통제권 전시작전권, 戰時作戰統制權
    위임한다. 군령권 중 핵심이 작전지휘권으로 작전통제권, 전투편성, 임무 부여, 임무 수행에 필요한 지시 권한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이중 작전통제권은 주로 군사작전 수행을 위한 임무부대 운용 권한을 뜻한다. 작전상 공격할 목표를 정하고 어떤 경로로 전개할 것인가 등을 결정하는 권한이다. 작전지휘권 중 예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전시작전통제권 戰時作戰統制權, Wartime Operational Contr..
    전쟁지도를 위해 유엔군사령관에게 보낸 서한을 통하여 국군의 작전지휘권(작전통제권)을 이양했다. 이에 따라 미 제8군사령관에게 한국 지상군의 작전 지휘권을 이양하였으며, 해·공군도 각각 극동 해·공군 구성군사령관에게 이양하였다. 이로써 한국에서 공산군과 싸우는 모든 부대의 지휘통일이 이루어졌다. 이는...
    시대 :
    현대
    성격 :
    군사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1950년 7월 14일
    시행처 :
    연합군사령부
    분야 :
    정치·법제/국방
  • 평시작전통제권 평시작통권, 平時作戰統制權
    전시작전통제권으로 나뉘어 있다. 작전지휘권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7월 14일 이승만 대통령이 맥아더 유엔군 사령관에게 국군의 작전지휘권(Command Authority)을 현 작전상태가 계속되는 동안 이양(assign)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내며 시작되었다. 이 서신은 7월 25일 유엔사무총장에게 전달되어 안전보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전시작전통제권 전작권, 戰時作戰統制權
    져 있는데, 현재(2020년 기준) 평시작전통제권은 한국군 합참의장이 갖고 있지만, 전시작전통제권은 1950년 7월 14일 이승만 대통령이 유엔군사령관에게 작전지휘권을 넘겨준 이후 여전히 한미연합사령관에게 있다. 한미 양국은 2007년부터 전시작전통제권을 한국군으로 가져오기 위해 협상을 시작해 2015년 12월 1일...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국방
  • 한미연합사령부 ROK-US CFC, 韓美聯合司令部
    관한 각서'에 명기되어 있다. 한미연합사령부는 한미상호방위조약에 근거하여 주한미군의 합법성을 보장받으며 '합의 의사록'에 따라 한국군에 대한 작전지휘권을 장악하고 있다. 한미연합사령부의 기능은 ① 작전지휘권을 행사한다, ② 군사상 필요한 사항을 한미군사위원회에 건의한다, ③ 한·미 간 연합계획을 실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유엔군 사령부 유엔사, UN軍 司令部
    사령부는 1957년 7월 1일자로 서울로 이동하였다. 유엔군 사령부는 유엔군의 일원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한 국가의 군대를 지휘하는 기구지만 한국군에 대한 작전지휘권도 행사하게 되었는데 그 근원이 된 것은 1950년 7월 13일 이승만 대통령이 주한 미국대사 무초를 통하여 현 작전상태가 계속되는 동안 국군의 작전...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현대사
  • 한국군 통수권 미군 이양에 관한 협정
    중장에게 한국지상군에 대한 작전지휘권을 부여했다. 이 협정에 의해 한국군 작전지휘권이 UN군 사령관에게 이양되었는데, 당시 UN군의 중심이 미군이었고 사령관이 맥아더였기 때문에 실제 작전지휘권은 미군에 이양된 것과 마찬가지였다. 이승만의 공한에는 '현 작전상태가 계속되는 동안'으로 언급되어 있지만 6·25...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원산 상륙 작전
    작전 수립 당시 한반도는 동서양분된 지형조건을 갖고 있어 지휘 단일화가 어렵다고 판단하에 서부축선과 동부축선을 분할하여 효과적인 작전을 수행하고자 하였으나 이원적 작전지휘권은 부대간 협조가 어렵고, 침투공간이 제공됨으로써 북한군이 공세가 전환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었다. 최초 목표는 미 8...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