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애국계몽운동 愛國啓蒙運動1905∼1910년 사이에 전개된 개화자강파(開化自强派)의 국권 회복을 위한 실력양성운동을 총칭하는 역사적 개념. 역사적 배경 한국 민족은 1905년 11월 이른바 ‘을사조약’에 의해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국권의 일부를 빼앗기자 새로이 당면한 민족적 과제로서 국권회복운동을 광범위하게 전개하였다. 당시 한국 민...
- 시대 :
- 근대
- 성격 :
- 사회운동, 국권회복운동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안창호 독립운동가한말에는 애국계몽 활동을 했으며, 이후 도덕적 실력양성과 교육에 중점을 두고 독립운동에 일생을 바쳤다. 호는 도산(島山). 아버지는 흥국(興國)이다. 가난한 농부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9세부터 서당에 다니기 시작했으며, 12세 때 아버지를 여읜 후로는 할아버지 밑에서 성장했다. 이무렵 서당에서 같이 공부하던 몇...
- 출생 :
- 1878(고종 15). 11. 9, 평남 강서
- 사망 :
- 1938. 3. 10, 서울
- 국적 :
- 한국
- 본관 :
- 순흥(順興, 지금의 경북 영주 순흥면)
- 호 :
- 도산(島山)
-
농촌계몽운동 農村啓蒙運動배경 이 운동은 이미 한말부터 계몽운동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나, 식민통치 항쟁기에는 독립기반을 형성하기 위한 민족운동의 한 형태로 추진되었으며, 광복 후에는 농촌사회의 근대화를 목표로 전개되었다. 농촌계몽운동의 원류는 한말 계몽운동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대한제국이 성립된 1897년경만 해도 근대 민족...
- 시대 :
- 근대
- 성격 :
- 사회운동, 교육운동
- 유형 :
- 사건
- 분야 :
- 교육/교육
-
안중근 응칠, 安重根서북 3개도의 60여 학교에서 5천여 명이 참가한 연합운동대회에서 1등의 성적을 거둘 만큼 그 명성이 높았다. 이 무렵 서우학회(西友學會)에도 관계하면서 계몽운동을 벌여 나갔다. 1906년 10월에 설립된 서우학회는 계몽주의 단체로서 1908년 1월에 한북학회(漢北學會)와 통합하여 서북학회(西北學會)로 개칭하게...
- 출생 :
- 1879년 9월 2일, 황해 해주(海州)
- 사망 :
- 1910년 3월 26일
- 관련 사건 :
- 하얼빈 의거
- 본관 :
- 순흥(順興)
- 주요활동 :
- 계몽교육운동, 의병전쟁, 하얼빈의거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삼흥학교, 돈의학교, 단지동맹
-
계몽가요 애국계몽가요, 啓蒙歌謠결속력과 전파력을 발휘하였다. 계몽가요는 항일의병운동노래와 구분하여 애국계몽운동에 특히 이바지한 노래들을 말한다. 연원 및 변천 계몽가요는 1890년대 중반 애국가 부르기 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 시기 한국 민중들이 가장 많이 지어 부른 노래가 애국가였고, 가사와 선율이 다른 여러 애국가들이 전국 각지...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그리스도교의 농촌계몽운동그리스도교 계열의 농촌계몽운동은 주로 기독교청년회(YMCA)가 주도해갔으며, 조선농촌의 궁핍한 현실과 민족주의 운동의 민력양성으로의 방향전환, 사회주의의 도전과 그 영향, 국제 YMCA를 통해 유입된 사회복음운동의 영향 등을 배경으로 농촌사업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YMCA농촌사업의 방향에 대해 총괄적으로...
-
지식인들의 사상 계몽 운동, 신문화 운동한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한 것이 신문화 운동이다. 신문화 운동은 유교적이고 봉건적인 제도와 문화를 비판하고 반대한 계몽 운동이다. 신문화 운동은 천두슈(陳獨秀)의 〈청년잡지〉 발간을 그 시작점으로 한다. 천두슈는 일본에서 유학해 서양 사상과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인물로, 반청...
- 시대 :
- 19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