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계몽운동 啓蒙運動
    1905~10년 개화파의 부르주아적 개혁론을 계승한 문명개화론자들의 국권회복운동(민족해방운동). 애국계몽운동이라고도 한다. 계몽운동가들은 유교적 인식을 바탕으로 일본과 중국, 서양 등의 사상을 수용했으며, 이념을 세우고 교육과 언론, 식산흥업 등의 분야에서 활동을 해나갔다. 계몽운동은 대한제국 시기 마지막 ...
  • 애국계몽운동 愛國啓蒙運動
    1905∼1910년 사이에 전개된 개화자강파(開化自强派)의 국권 회복을 위한 실력양성운동을 총칭하는 역사적 개념.|역사적 배경 한국 민족은 1905년 11월 이른바 ‘을사조약’에 의해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국권의 일부를 빼앗기자 새로이 당면한 민족적 과제로서 국권회복운동을 광범위하게 전개하였다. 당시 한국 민...
    시대 :
    근대
    성격 :
    사회운동, 국권회복운동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안창호 독립운동가
    한말에는 애국계몽 활동을 했으며, 이후 도덕적 실력양성과 교육에 중점을 두고 독립운동에 일생을 바쳤다. 호는 도산(島山). 아버지는 흥국(興國)이다. 가난한 농부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9세부터 서당에 다니기 시작했으며, 12세 때 아버지를 여읜 후로는 할아버지 밑에서 성장했다. 이무렵 서당에서 같이 공부하던 몇...
    출생 :
    1878(고종 15). 11. 9, 평남 강서
    사망 :
    1938. 3. 10, 서울
    국적 :
    한국
    본관 :
    순흥(順興, 지금의 경북 영주 순흥면)
    호 :
    도산(島山)
  • 농촌계몽운동 農村啓蒙運動
    배경 이 운동은 이미 한말부터 계몽운동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나, 식민통치 항쟁기에는 독립기반을 형성하기 위한 민족운동의 한 형태로 추진되었으며, 광복 후에는 농촌사회의 근대화를 목표로 전개되었다. 농촌계몽운동의 원류는 한말 계몽운동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대한제국이 성립된 1897년경만 해도 근대 민족...
    시대 :
    근대
    성격 :
    사회운동, 교육운동
    유형 :
    사건
    분야 :
    교육/교육
  • 농촌계몽운동 農村啓蒙運動
    개요 이 운동은 한말 계몽운동에 역사적 맥락을 두고 있다. 역사적 배경과 사상적 기조 한말 문명개화론자들이 중심이 된 식산과 교육을 통한 실력양성운동·문화운동은 일제강점기에 들어 민족주의 계열의 독립운동 방안으로 계승되었다. 농촌계몽운동은 특히 3·1운동 후 일제의 문화정책(민족분열정책) 실시와 더불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계몽주의 (관련어 계몽운동) Lumières, 啓蒙思想
    계몽주의(啓蒙主義, 철학적, 문학적, 지적 사조다. 이것이 흥했던 시대를 계몽시대라고 한다. 대표적인 철학자로 프랑스에서 볼테르, 영국에서 데이비드 흄, 독일에서 임마누엘 칸트, 그리고 바뤼흐 스피노자, 존 로크, 피에르 벨, 아이작 뉴턴 등이 있다. 계몽주의자들은 스스로를 진보적 엘리트라고 생각했고, 종교적 ...
    도서 위키백과
  • 안중근 응칠, 安重根
    서북 3개도의 60여 학교에서 5천여 명이 참가한 연합운동대회에서 1등의 성적을 거둘 만큼 그 명성이 높았다. 이 무렵 서우학회(西友學會)에도 관계하면서 계몽운동을 벌여 나갔다. 1906년 10월에 설립된 서우학회는 계몽주의 단체로서 1908년 1월에 한북학회(漢北學會)와 통합하여 서북학회(西北學會)로 개칭하게...
    출생 :
    1879년 9월 2일, 황해 해주(海州)
    사망 :
    1910년 3월 26일
    관련 사건 :
    하얼빈 의거
    본관 :
    순흥(順興)
    주요활동 :
    계몽교육운동, 의병전쟁, 하얼빈의거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삼흥학교, 돈의학교, 단지동맹
  • 계몽운동의 전개
    계몽운동의 이념(영웅주의·애국주의·국가주의) 민중층을 오직 계몽되어야 할 집단으로 설정할 때, 나라를 구하고 민중을 지도할 영웅의 존재는 필연적이었다. 그들이 거론한 영웅은 알레산데르 대왕, 나폴레옹, 이탈리아건국의 3걸, 제갈공명, 광개토대왕·을지문덕 등 국가독립이나 국력팽창·외침극복과 관련있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계몽가요 애국계몽가요, 啓蒙歌謠
    결속력과 전파력을 발휘하였다. 계몽가요는 항일의병운동노래와 구분하여 애국계몽운동에 특히 이바지한 노래들을 말한다. 연원 및 변천 계몽가요는 1890년대 중반 애국가 부르기 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 시기 한국 민중들이 가장 많이 지어 부른 노래가 애국가였고, 가사와 선율이 다른 여러 애국가들이 전국 각지...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계몽운동의 영역
    교육활동 계몽운동의 가장 기본적인 영역은 학교설립을 통한 교육운동이었다. 각 지역을 연고로 설립된 각종 학회는 그 연고지의 교육을 개척하기 위한 것이었다. 1910년 통계에 의하면, 일제의 힘이 강하게 미친 관공립학교가 81개교, 준공립이 65개교인데 비해, 사립학교는 2,250개교였다. 교육내용은 수신이나 도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그리스도교의 농촌계몽운동
    그리스도교 계열의 농촌계몽운동은 주로 기독교청년회(YMCA)가 주도해갔으며, 조선농촌의 궁핍한 현실과 민족주의 운동의 민력양성으로의 방향전환, 사회주의의 도전과 그 영향, 국제 YMCA를 통해 유입된 사회복음운동의 영향 등을 배경으로 농촌사업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YMCA농촌사업의 방향에 대해 총괄적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지식인들의 사상 계몽 운동, 신문화 운동
    한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한 것이 신문화 운동이다. 신문화 운동은 유교적이고 봉건적인 제도와 문화를 비판하고 반대한 계몽 운동이다. 신문화 운동은 천두슈(陳獨秀)의 〈청년잡지〉 발간을 그 시작점으로 한다. 천두슈는 일본에서 유학해 서양 사상과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인물로, 반청...
    시대 :
    1915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농촌 계몽운동(1930년대)
농촌 계몽운동 / 여성교육
농촌 계몽 운동을 배경으로 남녀의 사랑 이야기까지 곁들여 큰 인기를 끈 심훈의 〈상록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