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윤치호 성흠, 尹致昊
    조선시대 말부터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걸쳐 활동한 사상가, 교육자. 젊은 시절에 신사유람단을 수행하여 일본에 체류하면서 영어를 배우고 서구 근대 문명을 체험했고, 스무살 때 상하이로 망명하여 체계적인 근대 교육을 받고 기독교에 입교했다. 이후 미국에서 대학 교육을 받으면서 계몽활동의 필요성을 깨닫고 ...
    출생 :
    1865(고종 2), 충남 아산
    사망 :
    1945. 12. 9 , 경기 개성
    국적 :
    한말,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언론인
  • 윤치호 좌옹(佐翁), 尹致昊
    윤치호는 대한제국기 중추원의관, 한성부 판윤 등을 역임한 관료이자 정치인이다.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1865년(고종 2)에 태어나 1945년에 사망했다. 조선 말기에 일본·미국 등에 유학했고 귀국 후 의정부 참의, 학부협판 등을 역임했다. 갑오개혁에 동참했고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활동의 주역이었다. 부친이 사망...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윤치호 Yun Chi-ho, 尹致昊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6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 언론인, 교육자, 한국의 정치가, 교육자, 사상가, 언론인, 종교가였다. 구한말에는 갑신정변으로 피신했다가 귀국, 독립협회 활동, 독립신문 발행인과 제2대 독립신문사(獨立新聞社) 사장 등으로 활동했으며 만민공동회의 최...
    도서 위키백과
  • 윤치호 (교육자)
    인물 정보 윤치호(尹致浩, 1909년 6월 13일 - 1951년 1월 26일)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의 교육자, 개신교 선교사이자 사회사업가이다. 목포에서 보육원인 공생원(共生園)을 설립했다. 1909년 6월 13일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상옥리 옥동부락에서 윤영대와 권채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옥동부락에 정착한 파평윤씨...
    도서 위키백과
  • 윤치호의 일기 일제강점기 한 지식인의 내면일기
    윤치호, 그는 누구인가 좌옹(佐翁) 윤치호(尹致昊, 1865∼1945), 한국인 가운데 많은 사람이 그의 이름을 기억할 것이다. 지금 이 시간에도 중고등학교 국사 시간이나 언론매체 등을 통해 그가 거명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것은 곧 한국 근대사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했느냐, 부정적인 역할을 했느냐 하는 가치판단과는...
  • 윤치호일기 임오일기, 尹致昊日記
    내용 현존하는 윤치호일기 중 1883년 1월 16일(음력 임오 11.22∼12.8)까지는 ‘임오일기(壬午日記)’라 하여 1934년의 『개벽』 제1호에 실려 있다. 1883년 10월 19일부터 1906년 7월 3일까지의 수필원본은 30여 권의 대학공책과 수첩류 등에 기재되어 있다. 1916∼1943년까지의 수필원본은 모두 규격일기장(13×19㎝...
    시대 :
    근대
    저작자 :
    윤치호
    창작/발표시기 :
    1880년대∼1940년대
    성격 :
    일기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윤영선(개인소장)
  • 윤치호의 사상
    본 문서는 윤치호의 사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독립협회와 계몽운동 당시 윤치호는 무지한 조선의 민중을 계몽으로 새롭게 거듭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였다. 이는 그가 미국 유학 당시 기독교에 입교하고 교리를 배우고 서구의 사상을 접하면서 이를 조선에 받아들여 사회를 바꿀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서 위키백과
  • 윤웅렬 영중, 尹雄烈
    혁명적인 행동에는 반대하여 신중론을 펼쳤다. 1884년 갑신정변이 일어나자 내각의 형조판서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갑신정변이 진행되는 동안에 아들 윤치호에게 외세에 의지한 것이기 때문에 오래 견딜 수 없으며, 소수의 일본군으로는 다수의 청나라 군대에 대항할 수가 없다는 등 6가지 이유를 들어 실패를 예견했다...
    출생 :
    1840(헌종 6), 충남 아산
    사망 :
    1911
    국적 :
    한말, 한국
  • 윤치호 일기
    유형문화재 정보 《윤치호 일기》(尹致昊日記)는 조선과 일제강점기의 정치인, 사상가, 계몽운동가, 교육자인 좌옹 윤치호가 쓴 일기이다. 1883년부터 1943년까지 날짜별로 일기가 수록되어 있다. 중간에 누락된 며칠의 일기를 제외한 윤치호의 생애 중 1883년부터 1943년 사이의 60년간에 벌어졌던 각종 사건과 행적을...
    도서 위키백과
  • 윤치호 묘역
    윤일선, 윤치호의 고향으로 윤보선 대통령 생가와 윤일선 가옥, 윤제형 가옥, 윤승구 가옥 등이 소재해 있다.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석곡1리 330-2번지 독골마을 부락에 있으며, 산 중턱 윤취동의 묘소 아래 좌측에 소재해 있다. 아산 둔포면 석곡리 윤치호일가의 가옥, 윤일선 가옥, 윤승구 가옥, 윤제형 가옥...
    도서 위키백과
  • 독립협회 獨立協會
    서재필을 귀국시켜 〈독립신문〉의 창간을 지원해준 건양협회(建陽協會) 세력, 둘째, 외국 외교관이나 선교사들과 교제를 가진 외교계 관료세력으로 윤치호(尹致昊)·이상재(李商在)·이완용(李完用)·서재필 등 정동구락부(貞洞俱樂部) 세력, 셋째, 개별적으로 서구근대사상에 접하면서 개화정책을 추진하던 중견실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찬미가 讚美歌
    1899년 판에서는 176곡, 1902년 판에서는 205곡을 수록하게 되었다. 최종판은 1905년에 출판되었으며, 여기에는 183편이 수록되었다. 그 외 1908년에 출판된 윤치호(尹致昊) 역술, 김상만(金相萬) 발행의 『찬미가』가 있다. 윤치호가 역술한 『찬미가』는 기존의 『찬미가』에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간행한 것으로...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문헌/도서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6건

윤치호
윤치호 일기
윤치호사진
윤치호(1865-1945)
애국가 / 윤치호 작사
윤치호(尹致昊)
에모리 대학교(Emory University)
중서서원
윤치호 일기
윤치호 편지
윤치호사진
윤치호 / 만민공동회
윤치호(尹致昊)
윤치호 고희 때의 모습
윤치호 일기 1940년 8월 11일자
민영환ㆍ윤치호 일행이 여행했던 나가사키 항구의 모습이 세밀히 그려진 일본 목판지도, 영국 대영도서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