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객관가치설과 주관가치설 objective-subjective theory of value사용하는 경제주체의 주관적 평가에 따라 가치가 결정된다고 보는 입장으로, 어떤 재화를 소비할 때 발생되는 개인적 만족도, 즉 효용에서 가치의 요인을 찾는다. 이 학설은 멩거·제번스·발라등의 한계효용학파와 뵘 바베르크·비저등에 의해 이론적 체계가 구축되었다. 특히 파레토는 무차별곡선이론으로 효용의...
-
-
성악설 性惡說파괴되는 것이라고 보았으므로 이를 가리켜 인성이 악하다고 규정지은 것이다. 맹자가 말하는 인성(人性)은 사람의 마음씨를 의미하고 선악(善惡)은 도덕적 가치를 의미한다. 순자가 말하는 인성은 욕망을 의미하고 선악은 사회적 치란(治亂)을 의미한다. 순자는 인성이 비록 악하지만, 그러나 인간의 후천적 노력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묘족의 기원과 사회발전강화한다. 이 제도의 본질은 원시적인 민주제도로서 합리적이고 촌민들이 납득하기 쉬우며 강력한 사회동원 능력까지 갖추고 있다. 의랑제도는 묘족 지역의 사회 안정을 수호하고, 민심을 정화하고, 농후한 민족풍속을 유지하는 데 적극적인 기여를 했다. 규약의 많은 내용과 형식은 지금도 여전히 참고할 가치가 있다...
- 분류 :
- 묘요어족 민족 > 묘족
-
-
-
동의보감 東醫寶鑑서지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각기 국보로 승격 지정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1614년(광해군 6) 2월에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에 내사(內賜)한 것이고,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본은 25권 25책 완질본으로 무주 적상산사고본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본은 2종이 지정되었는데, 모두 1613년에 간행된 초간본이다...
- 유형 :
- 문헌
- 분야 :
- 과학/의약학
-
신라촌락문서 신라민정문서, 新羅村落文書추녀자)는 10세에서 12세, 소자(소녀자)는 9세 이하, 제공(제모)는 58세에서 59세, 노공(노모)은 60세 이상으로 짐작되고 있다. 하지만 연령구분에 관해 많은 학설이 제시된 만큼 정확한 연령층의 범위를 단정하기는 어렵다. 4개 촌의 총인구 462명 가운데 남자 204명, 여자 258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54명 많다. 특히...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창작/발표시기 :
- 815년
- 성격 :
- 문서, 유출문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고대사
- 소장/전승 :
- 일본 도오다이지[東大寺] 쇼소인[正倉院] 중창(中倉)
-
왜 표현의 자유가 필요한가?, 토머스 에머슨의 이론이론과 학설을 중심으로」, 『언론중재』, 통권 51호(1994년 여름), 38~41쪽. "자유로운 토론을 억제하게 되면 이성을 폭력이 억누르게 되어 합리적인 판단을 불가능하게 하고 사회의 경직과 정체를 초래해서 변화하는 환경과 새로운 사상에의 적응을 어렵게 하고 또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은폐함으로써 위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