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왜 불법과 반칙엔 호루라기를 불어야 하는가?, 내부 고발자 보호법 Whistleblower'..법(Sarbanes-Oxley Act)'이 제정되었다. 회계 부정을 비롯해 투자자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는 회사의 문제점을 회사의 상사나 정부에 제보하는 내부 고발자를 보호하는 법안인데, 제보를 이유로 보복을 받을 경우 소송을 통해 구제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놓고 있다. 2006년 10월 오라클은 2005년 인수한 소프트웨어...
-
무예도보통지 武藝圖譜通志완간되었다. 『무예통지』·『무예도보』·『무예보』라고도 한다. 임진왜란 후 군사의 무예훈련을 위한 필요성에 따라 1598년(선조 31) 한교(韓嶠)의 『무예제보(武藝諸譜)』, 1759년(영조 35) 『무예신보(武藝新譜)』가 간행되었는데, 이 책은 『무예제보』와 『무예신보』를 집대성하고 보완한 것이다. 체재는 첫머리...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덕무, 박제가, 백동수
- 창작/발표시기 :
- 1790년(정조14)
- 성격 :
- 군서, 무예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4책
- 간행/발행 :
- 한국체육사연구회(영인)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
근구수왕 귀소왕, 近仇首王5,000여 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특히 그 당시 치양성전투에서는 죄를 짓고 고구려로 도망갔다가 다시 귀순해 온 사기(斯紀)의 군사기밀 제보로 고구려군을 대파하였다. 즉, 사기의 제보에 따라 고구려군의 허실을 파악한 뒤, 고구려군 제일의 정예 부대인 적기부대(赤旗部隊)를 공격해 크게 격파하였다. 승세를 잡은...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384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구창 구철(鉤鐵), 鉤槍공격했을 때 일본측의 기록화에는 요구창을 들고 있는 여몽연합군의 병사가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계속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무예제보번역속집(武藝諸譜飜譯續集)』에 소개되어 있는데, 이는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에 새로이 명나라에서 도입된 것이다. 그 형태나 용도는 신라의 유자창과 거의...
- 유형 :
- 물품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적호기 赤虎記유후조(柳厚祚)의 반당(伴倘)으로 연경에 가서 청국 정부와 그곳 관민들로부터 프랑스의 조선 침공에 대한 정보와 이에 대한 방어책 등을 탐지해 대원군에게 제보한 강화유생 심유경(沈雄慶)의 사서초(私書草)가 실려 있다. 이 외에도 부사 서당보(徐堂輔)의 중국인과의 필담초(筆談草)를 비롯해 강화 승천보(昇天堡...
- 시대 :
- 근대/개항기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역사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근대사
-
-
왜 『조선일보』는 연쇄살인범 강호순의 얼굴 사진을 공개했나?, 피의자 초상권공개 논란'에서 앵커 멘트로 "저희 SBS는 오늘부터 강호순의 얼굴도 화면에 공개하기로 결정했다"면서 "국민의 알 권리와 추가 범행 수사에 대한 시청자들의 제보를 돕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KBS도 같은 날 〈뉴스 9〉에서 강호순의 얼굴을 내보냈다. SBS와 달리 얼굴을 공개한 이유를 밝히지는 않았다. MBC는 하루...
-
마르셀 로젠바흐, 위키리크스 vs. 저널리즘문을 연 이후 뒤늦게 기성 미디어가 그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슈피겔〉의 입장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947년 창간 이래로 그 같은 제보가 본지에 접수되어왔고, 기존 신문사를 비롯한 여러 미디어 역시 제보자나 밀고자와의 경험이 풍부합니다. 그렇다면, 위키리크스만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
왜 검찰은 가끔 언론사 압수 수색에 들어가는가?, 한국의 취재원 보호권해석되었다. 2003년 8월 4일 청주지방법원은 SBS 방송국 건물을 대상으로 SBS가 방영한 청와대 부속실 실장 양길승 씨의 유흥업소 출입 장면 등에 관련한 제보 비디오테이프 원본 및 제보문, 기타 취재와 관련된 녹음 등에 대해 압수수색영장을 발부했다. 검찰은 압수수색영장의 집행을 시도했으나 SBS 기자 등과의 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