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함마드, 이슬람교 창시아라비아반도 메카의 무역상 무함마드가 동굴에서 명상하다가 알라신으로부터 계시를 받았다. 그는 알라 신을 유일신으로 받들 것, 신께 기도하며 경건하게 살것, 탐욕과 부정으로 얼룩진 삶을 버리고 가난한 이들을 도울 것을 가르쳤다. 오늘날 세계적으로 약 15억 신도를 거느린 이슬람교가 탄생하고, 아랍인이 세계사...
- 시대 :
- 610년
- 국가/대륙 :
- 아시아
-
교리 마을 校里 마을[명칭 유래] 동래 향교(東萊鄕校) 주변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교리(校里)라고 불렀다. 동래 향교는 1392년 조선의 건국과 함께 국가의 교육 진흥책에 따라 각 지방에 향교를 세울 때 지금의 동래고등학교 주변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때 동래읍성 함락과 함께 불탔으나 1605년(선조 38)에 다시 세워...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교리 마을[교리] 校里 마을[校里][명칭 유래] 옛 이름은 고성리(古城里)로, 기장의 고읍성이 있는 지역이라는 의미이다. 향교(鄕校)가 있는 마을이라 교리(校理)라고 불렀다. 교동(校洞)이라고도 부른다. [형성 및 변천] 교리 마을[교리]은 기장읍에서 가장 오래된 자연 마을로, 1356년(공민왕 5) 현재의 기장 읍성이 축조되어 옮겨 가기 전까지는 기장...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교리 고읍성 터 校里 古邑城 터[변천] 『고려사(高麗史)』 기록에 따르면 고려 후기에 왜구가 침입하여 교리 고읍성이 함락, 파괴되자 1391년(공양왕 3)에 다시 축조되었다고 한다. 이 기록과 수습된 유물을 볼 때, 기장군의 교리 고읍성 터였음이 확인되며, 교리 고읍성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계속 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위치] 교리...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