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제학 大提學
    조선시대 예문관과 홍문관의 최고 책임자.|정2품직. 전임직이 아니라 타관이 겸임하는 겸직이다. 때로 종2품관도 임명했다. 관직은 둘이지만 실제로는 한 사람이 두 관서의 대제학을 겸하는 것이 상례였다. 국가의 문한을 총괄하는 지위로 반드시 문과출신 중에서도 학문이 높은 사람을 임명했다. 때문에 대제학은 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대제학 大提學
    홍문관·예문관의 정2품 관직.|내용 전임관(專任官)이 아니고 타관(他官)이 겸임하였다. 문관만이 할 수 있었으며, 문형(文衡)을 잡고 있었다. 대제학 아래 벼슬인 제학은 신라·고려 시대에 학사(學士 : 翰林學士·侍講學士·侍讀學士 등)라 불리다가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실권을 잡자, 문한서(文翰署)와 사관...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362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대제학
    집현관(集賢館)의 종2품 벼슬이다. 조선시대에는 홍문관·예문관에 소속된 정2품의 관직이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문묘종사대현에 다음가는 학자로서의 직위를 누렸으며, 온 나라의 학문을 바르게 평가하는 저울이라는 뜻으로 문형(文衡)이라는 별칭이 있다. 이 '문형'이라는 별칭을 얻으려면 반드시 홍문관 대제학과 예...
    도서 위키백과
  • 형권 衡圈
    내용 형은 문형(文衡) 또는 전문형(典文衡)이라는 뜻이다. 조선시대에는 대제학의 명칭이 매우 많았는데, 예문관·보문각(寶文閣)·집현전 등에 모두 대제학이 있었다. 이 세 곳을 예문관에서 주관하였기 때문에 예문관대제학이라 하였고, 성균관의 대사성을 겸임한 사람을 전문형이라 불렀으며, 보문각과 집현전의...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학사 사학, 學士
    館)을 홍문관(弘文館)이라 고치고 학사를 두었는데, 문종 때 관제를 정해 제관전의 대학사(大學士)를 종2품으로 하고 학사를 정4품으로 하였다. 그 뒤 대학사를 대제학(大提學)이라 고쳤다가 다시 대학사로 고치기도 하고 학사를 사학(司學) 또는 제학(提學)이라 고쳤다가 다시 학사로 고치기도 하였다. 1136년(인종 14...
    시대 :
    고려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제학 提學
    규장각에는 정1품·종1품직도 임명할 수 있었으며, 정1품직을 임명했을 때는 대제학이라고 했다. 홍문관과 예문관에 각각 1명, 집현전과 규장각에 각각 2명씩 두었다. 홍문관의 제학은 1463년(세조 9) 11월 홍문관을 설치하면서 중국 송나라의 비서각 직제에 따라 정2품 대제학과 함께 종2품직으로 두었다. 예문관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조선 최고의 외교관으로 나라를 구하다, 이덕형 한음(漢陰), 李德馨
    어릴 때부터 머리가 영민하고 학문에 통달해 주위의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1580년(선조 13) 별시문과에 급제해 승문원의 관원이 되었고, 1583년(선조 16) 대제학 이이가 호당(湖堂)을 뽑을 때 이항복과 함께 뽑혀 사가독서를 했다. 그 뒤 부수찬, 정언, 부교리를 거쳐 이조 좌랑이 되었으며, 동부승지, 우부승지...
    도서 재상열전 | 태그 한국사 , 조선
  • 유관 몽사(夢思), 柳寬
    서용되어 계림부윤(鷄林府尹)이 되었다. 그러나 다시 무고를 받아서 문화에 유배되었다. 그 뒤 풀려나와 1405년 전라도도관찰사를 지내고, 이듬해 예문관대제학을 거쳐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로 정조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세자좌빈객(世子左賓客)을 거쳐 형조판서로 병서습독제조(兵書習讀提調)를 겸했고...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서영보 경세(景世), 徐榮輔
    竹石館), 옥경산인(玉磬山人). 영의정 서종태(徐宗泰)의 고손이며, 좌의정 서명균(徐命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서지수(徐志修)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서유신(徐有臣)이다. 어머니는 유성제(柳聖躋)의 딸이다. 증조와 할아버지가 모두 영의정으로 직계 가문에서 3대에 걸쳐 정승이 나온 명문 태생이다. 생애...
    시대 :
    조선
    출생 :
    1759년(영조 35)
    사망 :
    1816년(순조 16)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달성(達城)
  • 오재순 문경(文卿), 吳載純
    해주(海州). 자는 문경(文卿), 호는 순암(醇庵) 또는 우불급재(愚不及齋). 공조판서 오두인(吳斗寅)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오진주(吳晋周)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오원(吳瑗)이다. 어머니는 강릉최씨로, 최석(崔寔)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음보로 관직에 나아가 세자익위사세마를 지냈으며, 1755년(영조 31...
    시대 :
    조선
    출생 :
    1727년(영조 3)
    사망 :
    1792년(정조 16)
    경력 :
    이조판서, 홍문관대제학, 예문관제학, 판의금부사, 판중추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주역회지(周易會旨), 완역수언(玩易隨言聖學圖), 순암집(醇庵集)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해주(海州)
  • 제학 提學
    내용 다만 규장각에서는 종1품관이나 정1품관도 임명될 수 있었는데 정1품관이 임명될 경우에는 대제학(大提學)이라 하였다. 정원은 집현전·규장각에는 각 2인, 예문관·홍문관에는 각 1인이었다. 1401년(태종 1) 예문춘추관을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하면서 대학사(大學士)·학사의 직명을 대제학·제학으로 개칭...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401년(태종 1)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문형록 文衡錄
    안 兩館大提學題名案〉·〈별천문형제명안 別薦文衡題名案〉의 3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단겸문형제명안〉에는 국초에서 세조대까지 변계량 등 6명의 예문관 대제학의 성명이 실려 있다. 〈양관대제학제명안〉에는 1479년(성종 10)에 홍문관 대제학을 두어 예문관 대제학을 겸하게 한 뒤부터 양관 겸직 대제학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