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집현전 集賢殿
    집현전은 조선 전기 학문 연구를 위해 궁중에 설치한 기관이다. 조선 건국 이후 유교국가로서 갖추어야 할 유교주의적 의례 및 제도의 확립과 대명 사대관계의 정착은 어려운 과제였다.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과 문풍의 진작이 절실하여 세종이 1420년 궁궐 안에 집현전을 설치했다. 집현전은 학문연구기관으...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집현전 集賢殿
    고려와 조선 초기의 시강·학문 연구기관.|고려 인종대에 중국 당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여 연영전을 집현전으로 개칭하고 대학사·학사를 두어 시강을 관장하게 했는데, 그 이전에도 백제의 박사, 신라의 상문사·통문박사·서서원학사 등처럼 그 명칭과 기능이 집현전제와 비슷한 것이 있었다. 집현전은 이후 충렬왕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조선
  • 집현전의 설치 (관련어 집현전)
    태조와 태종에 의해서 조선이 건국되고, 기초가 수립되었다면, 왕조의 기틀을 확립하고, 민족의 문화 수립에 가장 큰 공을 남긴 이가 바로 조선조 제4대 세종이다. 세종은 태종의 셋째 왕자였는데, 어려서부터 그 자질이 총명하고 너그럽고 어질었다. 또 학문을 좋아하여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다. 그러므로 태종은 그를...
  • 집현전 Hall of Worthies, 集賢殿
    집현전(集賢殿)은 정이품아문으로, 고려 말 조선 초의 학문 연구 및 국왕의 자문 기관이자, 왕실 연구기관이다. 현재 남아 있는 곳은 조선의 경복궁의 수정전 밖에 남아있지 않다. 중국에서 집현원(集賢院)은 한나라·위나라 이래 설치되어, 당나라 현종(玄宗) 때 완비된 기관으로서 이곳에 학사(學士)를 두어 경적(警籍...
    도서 위키백과
  • 집현전의 설치와 기능
    조선시대인 1399년(정종 1)에 고려의 집현전제를 본떠 집현전을 설치, 교리(校理)·설서(說書)·정자(正字)를 두어 경서를 강론하게 했고, 다음해에 보문각(寶文閣)으로 개칭했다가 폐지했다. 그후 1420년(세종 2)에 왕의 학문진흥에 대한 열망으로 당·송대의 집현전제와 고려 일대의 제관각제(諸館閣制)를 참작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조선
  • 집현전의 성격과 영향
    부제학 이하에 결원이 생기면 차하위 관원이 차례로 승진하는 차차천전(次次遷轉)에 의하여 충원되고 최하위의 관원만을 신규로 제수했는데, 이 관원에는 집현전당상·이조·의정부가 나이 어린 문사로서 재행이 뛰어난 인물을 의논하여 천망(薦望)하는 절차를 거쳐 제수했다. 집현전관은 일단 제수된 뒤 다른 관아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조선
  • 집현전의 직제와 운영
    집현전의 직제는 성립 당시 영전사(2명, 정1품 겸)·대제학·제학(2명, 종2품 겸)·부제학(1명, 정3품 당상)·직제학(1명, 종3품)·직전(1명, 정4품)·응교(1명, 종4품)·교리(1명, 정5품)·부교리(1명, 종5품)·수찬(1명, 정6품)·부수찬(1명, 종6품)·박사(1명, 정7품)·저작(1명, 정8품)·정자(1명, 정9품)였으며, 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고려 , 조선
  • Hall of Worthies 집현전, 集賢殿
    The Hall of Worthies, or Jiphyeonjeon (Hangul: 집현전), was a royal research institute set up by Sejong the Great of the Korean Joseon Dynasty in March 1420. Set up during the beginning of his reign, King Sejong staffed the Hall of Worthies with talented scholars and instructed them to conduct a ...
  • 르네상스를 맞은 문화와 과학
    기술자였던 관노 출신의 장영실 등은 세종의 장학생들이었다. 세종은 일찍부터 인재들을 한데 모아 특별히 육성했다. 특히 조선의 싱크 탱크라 일컬어지는 집현전은 세종 2년(1420년)에 발족하여 많은 업적을 이룩했다. 집현전 학자들은 정책토론과 자문, 학문 연구 및 서적 편찬, 도서 수집 및 정리 등과 같은 여러...
    시대 :
    15세기
  • 사가독서 賜暇讀書
    1420년(세종 2) 3월에 세종이 집현전 학사 중에서 재행이 뛰어난 자를 선발하여 유급휴가를 주고 연구에 전념하게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최초 선발은 1426년에 있었다. 처음에는 자택에서 독서했으나 집에서는 독서에 전념하기 어렵다고 하여 1442년부터 진관사에서 독서하게 했다. 때문에 이를 상사독서라고도 불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간쟁 諫諍
    원래 관료들의 부정과 실정을 규찰하는 것을 임무로 하지만 국왕에 대한 간쟁도 담당했다. 한편 조선에 들어오면 종래의 고제연구·편찬·제술을 담당하던 집현전이 점차 정치적 기구로 전환되어 언관·대간의 기능까지 담당했다. 이러한 변화는 조선 초기 대간제도가 미비했고, 집현전 학사들이 왕의 측근에서 경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교리 校理
    홍문관·교서관·승문원·집현전에 두었다. 중국 당나라에서는 홍문관과 집현원에서 서적을 다른 것과 비교해서 맞고 틀림을 조사·정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승문원 교리는 1409년(태종 9)에 문서응봉사를 개편·강화하면서 처음 설치되었다. 이듬해 명칭 변경과 함께 2명으로 정원이 확정되었고, 그 임무는 주로 외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역대병요(권13) / 태조가 홍건적을 평정한 내용
동국정운 본문 / 건국대학교 박물관
춘추경전집해
동국정운
역대병요
세종과 집현전 학사들의 학문적 토론이 이뤄졌던 집현전(현 경복궁 수정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