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홍문관 옥당, 弘文館
    옥당·옥서·영각이라고도 한다. 1478년(성종 9)에 독립기구가 되어 유학의 진흥 및 인재의 양성을 담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갑오개혁 때 관제개혁에 따라 궁내부 경연청, 궁내부 경연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896년에 궁내부 홍문관으로 이름을 바꿔 조선 멸망 때까지 이어졌다. 홍문관의 기능은 궁중의 경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홍문관 弘文館
    조선 세조 때 장서기관.|1463년(세조 9)에 동지중추부사 양성지의 건의에 따라 장서각을 홍문관으로 개칭하면서 장서의 출납을 관장하게 했다. 관원으로 겸관인 정2품 대제학 1명, 종2품 제학 1명, 정3품 하계 직제학 1명, 정7품 박사 1명, 정8품 직관 1명, 정8품 저작랑 1명, 정9품 정자 1명을 두었다. 홍문관의 운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홍문관 弘文館
    1894년(고종 31) 경적문한(經籍文翰)을 보관하고 임금에게 경서를 강의하며, 임금의 사명(辭命)을 대신 짓는 일을 관장하던 관서.|내용 궁내부 소속관서의 하나이다. 대학사 1인, 학사 1인, 시강 2인, 시독(侍讀) 2인을 두었다. 1895년 관제개편시 폐지되어 궁내부 시종원에서 그 업무를 담당하였으나, 같은 해 경연원...
    시대 :
    근대/개항기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894년
    분야 :
    역사/근대사
  • 홍문관 옥당, 弘文館
    홍문관은 조선시대 궁중의 경서(經書)·사적(史籍)의 관리와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각종 자문에 응하는 일을 관장하던 관서이다. 사헌부·사간원과 더불어 삼사(三司)라 하였다. 옥당(玉堂)·옥서(玉署)·영각(瀛閣)·서서원(瑞書院)·청연각(淸燕閣)이라고도 하였다. 세조가 혁파한 집현전의 직제와 기능을 회복하...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경연원 경연청, 經筵院
    조선 말기 경적(經籍)과 문한(文翰)을 보관하고 경연(經筵)과 대찬(代撰)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관청.|내용 1894년(고종 31) 7월 궁내부(宮內府) 관제를 제정할 때 종래의 홍문관과 예문관을 합하여 경연청(經筵廳)이라고 하였다가, 1895년 4월 경연청을 폐지하고 시종원(侍從院)에서 그 업무를 담당하다가, 같은 해...
    시대 :
    근대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895년 11월
    분야 :
    역사/근대사
  • 홍문관 弘文館
    고려시대 시종기관.|995년(성종 14)에 중국 당의 홍문관제를 받아들여 숭문관을 홍문관으로 개칭하고, 정4품 학사를 두어 왕을 시종하게 하면서 성립되었다. 그러나 홍문관이 1298년(충렬왕 24) 이전까지 어떻게 계승되고 운영되었는가는 분명하지 않다. 1298년 충선왕이 즉위하여 관제개편을 할 때 홍문관을 설치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홍문관 Hongmungwan, 弘文館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이다. 궁중의 경서(經書)·사적(史籍), 문한(文翰), 문서의 관리 및 왕의 각종 자문에 응하는 일을 관장하던 관서로, 예조의 속아문이다. 삼사의 하나로 옥당(玉堂)·옥서(玉署)·영각(瀛閣), 서서원(瑞書院)·청연각(淸燕閣)이라고도 하며 사헌부, 사간원과 함께 언론삼...
    도서 위키백과
  • 홍문관서목 弘文館書目
    비치, 관리하였는데, ≪홍재전서 弘齋全書≫·≪국조방목≫·≪옥당선생안 玉堂先生案≫ 등의 서적과 열성어제(列聖御製) 및 옥책(玉冊)들이 수록되어 있다. 홍문관장서 4, 254책 권족자 316건은 1907년에 규장각으로 이관하였으며, 이 서목은 장서가 이관된 다음 해에 작성된 것이다. 그러나 홍문관의 장서가 규장각...
    시대 :
    근대
    창작/발표시기 :
    1908년
    성격 :
    목록집, 서목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언론·출판/출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Hongmungwan 홍문관, 弘文館
    Hongmungwan , Office of Special Advisors, was one of the Three Offices of Joseon; it acted as the Joseon dynasty's administrative and research agency. Hongmungwan was one of the Three offices of Joseon, together with the Saheonbu and the Saganwon. It was also known as the Ok-dang (옥당, 玉堂), Ok...
  • 홍문관에 당부한 글을 새긴 현판 臨玉署有感 懸板
    유물설명 1760년(영조 36) 10월 7일 영조가 홍문관(경희궁)에 들러 관원들을 독려하는 내용을 새긴 현판이다. 중국 한나라 광무제가 밤늦게까지 글을 강론하는 것을 스스로 즐거움으로 삼았고, 당나라 태종이 문학(文學)을 크게 일으켜 십팔학사(十八學士)를 얻고 예우하였던 일, 세종 때 세자(훗날 문종)가 홍문관에서...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가로: 86cmcm, 세로: 37.2cmcm
    재질 :
    나무 / 피나무
  • 대제학 大提學
    건국 초에는 대학사로 했는데, 1401년(태종 1)에 예문춘추관을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하면서 예문관의 최고 책임자를 대제학으로 했다. 홍문관의 대제학은 1420년 홍문관의 전신인 집현전을 설치하면서 최고관으로 대제학을 둔 것이 시초이다. 이 직제는 성종 때 〈경국대전〉에 수록되었으며 한말의 〈대전회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도당록 都堂錄
    홍문관은 문한과 간쟁을 담당한 중요한 기관으로 이곳의 관원은 특수한 절차를 거쳐 뽑았다. 먼저 홍문관원이 의논해 문신이나 문과급제자 중에서 후보자를 선발, 권점(돌아가며 마음에 드는 자 이름 위에 동그라미를 치는 방식, 동그라미가 많으면 점수가 높은 것임)해 작성, 이조에 보내면 이조가 다시 정리해 의정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홍문관서목
홍문관서목
옥당선생안
홍문관지
옥당선생안
홍문관지
왕형문공시(권27) / 홍문관장서인
홍문관에 당부한 글을 새긴 현판
홍문관에 당부한 글을 새긴 현판
홍문관에 당부한 글을 새긴 현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