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우리식 사회주의
    중국이 1980년대 초부터 주장해온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를 원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식대로 살자'라는 말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1978년 12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책임간부협의회에서 행한 '당의 전투력을 높여 사회주의 건설에서 새로운 전환을 일으키자'라는 연설에서 처음 제시되었다. 이어 고(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선거 , 북한
  • 이종옥 李鍾玉
    당 정치위원회 후보위원, 1976년 정무원 부총리를 지냈다. 1977년 제6차 내각에서는 제2차 7개년계획(1978∼84)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0년 제6차 조선노동당대회에서 당 정치국 상무위원회 상무위원의 한 사람이 되었는데, 이때 그는 경제 요직을 두루 거친 경제 분야 전문가로서 김일성과 김일에 이어 서열...
    출생 :
    1916. 1. 10, 함북 성진∼
    사망 :
    1999. 9. 23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오백룡 吳白龍
    4월에 정부 호위국장이 되었으며, 1961년 내무성 부상(副相) 겸 호위총국장으로 격상되었다. 항일유격대 출신이 대거 당 중앙위원회에 진출하는 1961년의 조선노동당 제4차 대회에서 중앙위원에 선출되었다. 1963년에 민족보위성 부상을 거쳐 1968년 12월에 일어난 군 수뇌부 숙청사건을 계기로 당 군사부장으로 기용...
    시대 :
    현대
    출생 :
    1914년
    사망 :
    1984년 4월 6일
    경력 :
    조선인민군 제8사단장, 중앙인민위원회 산하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한국전쟁
    직업 :
    사회주의운동가,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경제건설과 국방건설의 병진노선
    16군사정변으로 집권한 새 정부가 북한의 위협에 맞서 군사력 강화를 당면목표로 내세우기 시작했다. 이러한 국제적 상황과 남한정세의 변화로 1962년 12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 5차 전원회의는 "전체 당원들과 근로자들은 한 손에 무기를 들고, 다른 한 손에 낫과 망치를 들고 조국을 보위하며 동시에 사회주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在日本朝鮮人總聯合會
    되어 있었다. 이 강령이 실제 효과를 발휘한 것은 1967년 5월의 조총련 제8회 대회까지였다. 당시 제8회 대회는 김일성 절대화의 수령론을 승인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 제15차 전원 회의 결정에 기초한 대회였다. 연원 및 변천 1945년 이전부터 일본에 살았던 재일동포는 1945년 해방과 함께 전국적인 규모의...
    시대 :
    현대
    설립 :
    1955년 5월 25일
    성격 :
    재일동포 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社會政治的 生命體論
    북한의 정치체제는 수령 중심의 유일 지배체제이다.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이러한 수령론을 합리화하는 이론체계이다. 수령을 어버이로, 조선노동당을 어머니로, 근로인민대중을 자식으로 규정하고 이 3자의 혈연적 관계에 기초해 '혁명적 대가족'을 이루자는 것이 이 논리의 핵심이다.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1973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한
  • 김두봉 도경, 金枓奉
    맡았다. 1946년 8월 조선신민당이 북조선공산당과 합당, 북조선노동당이 조직되자 중앙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였다. 그후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의장, 북조선인민회의(최고인민회의의 전신) 의장 겸 상임위원장, 임시헌법제정위원회 위원장 등을 맡으면서 북한의 정권 창출에 관여하였다. 북한정권이 들어선 이후에도...
    출생 :
    경남 동래, 1890
    사망 :
    미상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김원봉 약산, 金元鳳
    1948년 남북협상 때 월북, 그해 8월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이 되었고 9월에는 국가검열상에 올랐다. 1952년 5월 북한 노동상을 맡았으며 1956년 조선노동당 제3차 대회에서 당중앙위원회 중앙위원이 되었다. 1957년 8월 최고인민회의 제2기 대의원이 되었고, 9월에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에...
    출생 :
    1898, 경남 밀양
    사망 :
    미상
    국적 :
    한국(대한민국 임시정부 - 북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주체사상 主體思想
    마오쩌둥[毛澤東]의 영향력 증대에 따른 국제 공산주의 운동 내 또 하나의 중심축인 중국의 등장 등을 의미하며, 반대파의 도전이란 스탈린 비판을 계기로 조선노동당 내부에서 야기된 국내파·연안파·소련파 간의 권력투쟁을 말한다. 이같은 배경 속에서 나온 '주체'는 1972년 12월 채택된 '사회주의헌법'에서 공식...
  • 협동농장 協同農場
    6·25전쟁 직후인 1953년 8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차 전원회의에서 전후 복구건설의 일환으로 농촌지역에 농업협동화가 결정되었다. 1954~55년 일부지역에서 경험적인 협동화 단계를 거쳐 1956년 북한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1958년에 이르러 북한의 모든 농촌이 3,800개의 협동농장으로 재편되었다. 초기에 협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제도 , 북한
  • 강건 姜健
    조선인민군 총참모장으로 북한군을 지휘하다가 9월 8일 전사했다. 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1950년 9월 9일 강건에게 공화국 영웅칭호를 수여했다. 북한은 조선노동당 창건 20주년인 1968년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사리원 시에 동상을 세우고 강건거리를 조성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강건군관학교를 설립했다...
    출생 :
    1918. 10, 경북 상주
    사망 :
    1950. 9. 8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역사인물 , 정치가
  • 남조선노동당 남로당, 南朝鮮勞動黨
    토벌이 강화되자, 대부분의 남로당 간부들은 북한으로 도피했다. 남로당과 북로당은 연합을 위한 연합중앙위원회를 설치하고, 1949년 6월에는 합당하여 조선노동당이 되었는데, 실질적으로는 남로당 세력이 북로당 세력에 흡수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북로당의 부위원장이던 김일성이 통합된 조선노동당의 위원장...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조선노동당
평양 당창건기념탑
조선노동당대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