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백룡 吳白龍4월에 정부 호위국장이 되었으며, 1961년 내무성 부상(副相) 겸 호위총국장으로 격상되었다. 항일유격대 출신이 대거 당 중앙위원회에 진출하는 1961년의 조선노동당 제4차 대회에서 중앙위원에 선출되었다. 1963년에 민족보위성 부상을 거쳐 1968년 12월에 일어난 군 수뇌부 숙청사건을 계기로 당 군사부장으로 기용...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14년
- 사망 :
- 1984년 4월 6일
- 경력 :
- 조선인민군 제8사단장, 중앙인민위원회 산하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한국전쟁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정치인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경제건설과 국방건설의 병진노선16군사정변으로 집권한 새 정부가 북한의 위협에 맞서 군사력 강화를 당면목표로 내세우기 시작했다. 이러한 국제적 상황과 남한정세의 변화로 1962년 12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 5차 전원회의는 "전체 당원들과 근로자들은 한 손에 무기를 들고, 다른 한 손에 낫과 망치를 들고 조국을 보위하며 동시에 사회주의...
-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在日本朝鮮人總聯合會되어 있었다. 이 강령이 실제 효과를 발휘한 것은 1967년 5월의 조총련 제8회 대회까지였다. 당시 제8회 대회는 김일성 절대화의 수령론을 승인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 제15차 전원 회의 결정에 기초한 대회였다. 연원 및 변천 1945년 이전부터 일본에 살았던 재일동포는 1945년 해방과 함께 전국적인 규모의...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55년 5월 25일
- 성격 :
- 재일동포 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社會政治的 生命體論북한의 정치체제는 수령 중심의 유일 지배체제이다.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이러한 수령론을 합리화하는 이론체계이다. 수령을 어버이로, 조선노동당을 어머니로, 근로인민대중을 자식으로 규정하고 이 3자의 혈연적 관계에 기초해 '혁명적 대가족'을 이루자는 것이 이 논리의 핵심이다.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1973년...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