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문일 대수(大殊), 朴文一
    전통적 유학자로 오직 도학에 전념하면서 후진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으며, 자주 서울에 출입하였으나 권문에 발을 들여놓지 않았다. 그러나 1866년 병인양요 때는 말 한 필로 상경하여 당시 실권자였던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과 더불어 나라 일을 걱정하기도 한 기개가 있었다. 1882년 요동(遼東)에 전쟁의 화기(禍機...
    시대 :
    근대
    출생 :
    1822년(순조 22)
    사망 :
    1894년(고종 31)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경의해, 운암집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밀양(密陽)
  • 일서 일서(佚書), 逸書
    내용 우리나라에서 역대로 편찬, 간행한 문헌들은 거란과 몽고의 침략, 임진왜란, 병인양요, 일제강점기, 무신란, 이괄의 난, 한국전쟁 등의 외침과 내란을 겪으면서 대량으로 훼손되거나 해외로 유출되었다. 또한 이러한 문헌들은 부주의로 일어난 화재나 홍수를 비롯한 각종 자연재해로 인해 전국 각지에서 지속적으로...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 기려수필 騎驢隨筆
    유가족과 친지를 찾아다니면서 사적을 모아서 기록하고, 신문 등 사건 당시의 자료를 수집해 이 책을 편찬하였다. 내용은 1866년 프랑스가 침략해왔을 때(병인양요) 순절한 이시원(李是遠)의 사적으로부터 시작하여 239명의 행적을 기록했으며, 대한민국임시정부, 6·10만세운동, 광주학생운동 등의 각종 단체 및 항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필
  • 정치일기 정사책, 政治日記
    1882.1.29. 제14책 : 1882.2.1.∼1882.11.13. 제15책 : 1882.11.15.∼1883.9. 말일 제16책 : 1883.10.1.∼1884.9. 말일 의의와 평가 이 책은 1866년의 병인양요, 1871년의 신미양요, 1876년 병자수호조약 이후의 개항과 개화운동, 1882년의 임오군란 등 격동기의 기록을 포함하고 있어 한국 근대사 연구에 요긴한 자료로...
    시대 :
    근대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조선 말기
    성격 :
    일기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6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이현직 백형(伯衡), 李顯稷
    5) 삼도수군통제사·함경북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1865년(고종 2) 총융사가 되었고, 이듬해 어영대장과 공조판서로 있으면서 경복궁 중건을 감독하였다. 병인양요가 일어난 뒤 전국에 암행어사를 보내 주로 변방 방비를 사찰하도록 하였는데, 그 결과 통제사들의 죄가 드러나 중신인 이현직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
    시대 :
    근대
    출생 :
    1797년(정조 21)
    사망 :
    미상
    경력 :
    전라도병마절도사, 삼도수군통제사
    유형 :
    인물
    직업 :
    무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경주(慶州)
  • 이용직 수경(受卿), 수경(授卿), 李容直
    이후 사간원헌납을 거쳐 사헌부집의·장악원정·동부승지·공조참의 등을 역임하였고, 1864년(고종 1) 성균관대사성, 1865년 이조참의가 되었다. 1866년 병인양요 때에는 여주목사로서 호남소모사(湖南召募使)가 되어 장정을 모집하였다. 이 후 한성부 좌윤·우윤, 병조·이조·예조의 참판을 역임하였고, 1882년 대사헌...
    시대 :
    근대
    출생 :
    1824년(순조 24)
    사망 :
    미상
    경력 :
    여주목사, 경상도관찰사, 궁내부특진관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전주
  • 이주철 혜백(惠伯), 李周喆
    중건 당시 영건도감제조(營建都監提調)가 되었다. 1866년 총융사·금위대장·공조판서를 지내면서 계속 경복궁 중건 감독을 맡아 가자되기도 하였다. 병인양요 때에는 형조판서로 금위대장을 겸임하면서 대응책을 세웠다. 1871년 신미양요 때에도 한성부판윤과 총융사를 지내며 강화도 방비를 위하여 제도를 개선하기도...
    시대 :
    근대
    출생 :
    1806년(순조 6)
    사망 :
    미상
    경력 :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삼도수군통제사
    유형 :
    인물
    직업 :
    무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전주
  • 진무영 鎭撫營
    내용 강화도에 본영을 두고 바다를 지키는 일을 맡아보게 하였다. 1700년(숙종 26)에 설치되었으나 큰 활동은 없었다. 그러나 1866년(고종 3) 병인양요 이후 외국 선박의 침입이 잦아지자 진무영은 국방상 중요한 군영으로 취급되어 조정에서는 진무영의 지위를 정2품 아문으로 승격시키고 기구를 대폭 강화하였다. 체제...
    시대 :
    조선
    성격 :
    군영, 군사조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700년(숙종 26)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외규장각도서 外奎章閣圖書
    규장각에 서적을 나누어 보관했는데, 외규장각에는 주로 역대 왕의 글과 글씨, 어람용 의궤 및 주요 서적, 왕실 관련 물품 등을 보관했다. 기록에 의하면 병인양요가 발생하기 전까지 외규장각에 소장된 도서는 1,007종, 약 6,000권 정도 되었다고 한다. 1866년(고종 3) 10월 5일 프랑스 함대의 로즈 제독은 조선군과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양헌수 경보(敬甫), 梁憲洙
    한편, 진휼을 요청하는 등 선정을 베풀어 한 해를 더 제주도에서 보냈다. 1866년 어영청의 천총(千摠)으로 준천사(濬川司)의 도청(都廳)을 겸하다가 병인양요를 당해 정족산성(鼎足山城)의 수성장(守城將)이 되었다. 순무중군(巡撫中軍) 이용희(李容熙)의 명령에 따라 별군관(別軍官) 이현규(李鉉奎)와 함께 17명의 초관...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척화비 斥和碑
    내용 1866년(병인년) 프랑스가 조선을 침략한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흥선대원군은 “서양 오랑캐가 침입해 오는데 그 고통을 이기지 못해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팔아 먹는 것이며, 그들과 교역하면 나라가 망한다.”는 내용의 글을 지어 척화(斥和)의 의지를 밝혔다. 그 뒤 1871년(신미년) 4월 3일(음력) 미국이...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근대사
  • 척화비 斥和碑
    치달았다. 서구 제국의 천주교 승인과 통상 개방 압력은 흥선대원군 정권으로서 국내문제와 맞물려 복잡해진 난제를 해결해야만 하였다. 결국 대외문제는 병인양요, 신미양요라는 군사력 대결을 낳았으며, 나아가 쇄국정책으로 확정되는 계기가 되었다. 흥선대원군 정권은 자신들의 쇄국 의지를 모든 국민에게 알리고...
    시대 :
    근대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병인양요
병인양요 격문
병인양요(丙寅洋擾)
피에르 구스타프 로즈(Pierre-Gustave Roze)
강화 삼랑성 중 남문과 종해루 후면
제너럴 셔먼 호
강화도 초지진
병인양요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