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어교과서 朝鮮語敎科書경성어를 표준으로 삼아 편찬한 점을 언급하고 있다. 본문 제1편 제1장(1∼10과)은 언문(諺文)이라는 제목 아래 자모, 초중종성, 음절 및 언문반절도, 단어, 단문 등을 익힐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해 놓았다. 신철자법에 따른 한글 습득 과정에 해당한다. 이 철자법은 1930년 조선총독부가 개정한 언문철자법을 의미하여...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이노우에 쇼이치[井上正市]
- 창작/발표시기 :
- 1943년 12월
- 성격 :
- 교재, 조선어학습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조선총독부 경찰관강습소(朝鮮總督府警察官講習所)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유명 드라마 속 인물의 캐릭터그려서 드라마 속 이름과 함께 티셔츠에 인쇄하여 판매하고 싶다. 해당 드라마의 저작권자에게 허락을 받아야 하는가? 우리 판례는 단어와 단어의 조합 또는 단문인 제호와 캐릭터 이름 등의 저작물성을 부인하고 있다. 따라서 캐릭터 이름 자체를 이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영화나 TV...
- 분류 :
- 퍼블리시티권
-
접속문을 갖는 복합문통사-의미 구조가 명확히 구별되는 것만은 아니어서 두 문장 모두 선행절이 후행절에 대해 부사에 가까운 뜻으로 쓰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종속접속과 불구동사구 보문을 같은 구조의 것으로 보려는 견해가 제시되기도 했으나, 아직까지 국어문법론의 해결과제로 남아 있다.→ 단문
-
보문 補文내용 구문론(構文論)에서 단문(單文)의 대(對)가 되는 복문(複文)은 문장이 여러 개가 접속되어 이루어진 것, 관계관형절(關係冠形節)을 가진 것, 보문을 가진 것 등 세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문장의 접속이라는 것은 두 개 이상의 문장이 접속어미에 의해서 이어져 더 큰 단위의 문장을 이루는 것이며, 관계관형절...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산술 부호화 算術符號化, arithmetic coding효율이 엔트로피 인코딩 방식 중 가장 좋아 디엠비(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에이브이시(AVC: Advanced Video Coding), 고효율 비디오 부호화(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등에서 채택하고 있다. 다만, 연산량이 많고, 단문인 경우는 허프만 인코딩(Huffman encoding)보다 효율이 떨어질 수...
-
간이조선어문법 簡易朝鮮語文法구, 절 등을 들고 있다. 문의 종류는 체법(體法)과 구조에 따라 분류한다. 문을 체법에 따라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등으로 나누고, 구조에 따라 단문(單文), 복합문(複合文), 집합문(集合文), 혼합문(混合文) 등으로 분류한다. 문의 분석에서는 구문을 도해(圖解)로 보이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간이조선어...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언문말책 A Corean Manual or Phrase Book; With Introdu..영문 서명에서 보듯이 전문적인 문법서라기보다는 한국어 회화책의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현대식 개념의 회화책과는 달리 긴밀한 대화 중심의 회화보다는 단문 중심의 문장 나열이 많은 편이고, 또 1부에서 품사별 문법 설명을 제시하고 있어 순수한 회화책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00여 개의 구어...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스코트( Scott, J.)
- 창작/발표시기 :
- 1887년
- 성격 :
- 문법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중국 상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소장/전승 :
- 서울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
현금조선문전 現今朝鮮文典특징이었다. 제3편은 성분을 으뜸감(근간어)인 임자감(주어)과 풀이감(술어), 붙은감(지엽어)인 딸림감 (관형어)과 매임감(부사어)의 4분법, 문장을 홋월(단문)과 거듭월(복문)로 간결하게 분류하였다. 모임씨와 함께 하위분류를 하지 않은 것은 교육적인 고려였겠으나, 문장종류의 양분법은 주시경이나 김두봉의 분류...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규영(李奎榮)
- 창작/발표시기 :
- 1920년
- 성격 :
- 교과서, 소문전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도서관
-
한문교육과탐독 - ㆍ 한문 및 고전 문학 교과활동 - ㆍ 교육관련 동아리 활동 참여 - 대학 주요 교과목 기초한문 한문 학습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로 한자어 및 한문의 단문을 통하여 한자의 형, 음, 의를 습득시키며 동시에 구조에 대해 학습 한문교육론 한글 전용이 가져 온 여러 폐단을 낱낱이 살펴보고 한문교육의 당위성과...
- 분류 :
- 대학교 > 교육계열
-
무선통신망관리원각종 네트워크구성요소(NE)에 접속하여 시험하고 보완한다. 신호망 연동 및 공통선신호방식적용을 지원한다. 음성메시지서비스(VMS:Voice Message Service), 단문메시지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 가입자위치등록(HLR:Home Location Register) 등의 부가장비들의 용량분석 및 증설을 한다. 다양한 이동통신...
- 교육수준 :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 숙련기간 :
- 1년 초과 ~ 2년 이하
- 작업강도 :
- 아주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분석
- 직무기능(사람) :
- 말하기-신호
- 직무기능(사물) :
- 정밀작업
- 고용직업분류 :
- [1312]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 표준직업분류 :
- [2212]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 자격/면허 :
- 무선설비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 무선설비기능사,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산업기사, 정보통신기능사, 전파통신기사, 전파통신산업기사, 전파통신기능사
- 표준산업분류 :
- [J612]전기 통신업
- 조사연도 :
- 2014년
-
혼성문 混成文것이다. 마찬가지로, “꽃이 피는 봄이 왔다”는 복문인데, 여기에 중문이 내포된 “새가 울고 꽃이 피는 봄이 왔다”는 혼성문이 된다. 이미 중문·복문이 단문(單文)에 비하여 복잡한 구조의 문장인데, 혼성문은 그 복잡한 중문·복문이 다시 얽혀 있어 문장 중 가장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혼성문은 궁극...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