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개항 開港, open a port
    조선에도 19세기초부터 중국과 일본을 왕래·무역하던 외국상선[異樣船]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식수나 식량공급을 목적으로 접근했지만 점차 통상을 요구해왔다. 1860년대를 전후하여 이양선의 출몰은 더욱 빈번해졌고, 국내에서는 천주교가 교세를 확장하면서 봉건지배체제를 동요시켰다. 안동김씨 세도정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통상임금 ordinary wages
    임금은 모두 포함되지만 상여금, 연월차수당, 연장근로수당 등과 같이 근로실적에 따라 변동 지급되는 임금은 포함되지 않는다. 통상임금 개념과 통상임금의 취지를 생각하면 통상임금은 1) 근로기준법상 임금성을 가질 것, 2) 근로자에게 지급하기로 정해진 것, 3) 소정근로 또는 총근로에 대하여 지금되는 것, 4) 정기...
  • 조오수호통상조약 朝奧修好通商條約
    같은 해 일본 도쿄[東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측의 청·일 주재 전권공사 비겔레벤과 조선측의 일본 주재 공사서리 권재형이 협상하여 통상조약을 조인했다. 그리고 같은 날 조오수호통상조약부속통상장정·조오수호통상조약세칙장정·조오수호통상조약부속약관 등도 조인되었다. 조약은 전문 13조로 되어 있다...
  • 통상실시권 설정을 위한 재정 授予非独占许可的裁定, adjudication f..
    ⑤ 수입국에 의약품을 수출할 수 있도록 특허발명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특허청장의 결정(재정)에 의해서 그 발명의 실시를 필요로 하는 제3자에게 통상실시권을 허락해 주는 제도. 단, 제3자가 특허권자에게 특허발명의 실시허락을 받기 위해 협의를 시도하였으나 협의가 성립되지 아니하였을 경우에 통상실시권...
  • 통상산업부 通商産業部
    통상교섭과 상업·공업·무역관련 정책, 에너지 및 자원에 대한 업무, 중소기업관련 정책 등을 담당했다. 1993년 3월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상공부와 동력자원부가 통합하여 신설되었고, 1994년 12월 3일 정부행정조직이 개편되면서 통상산업부로 명칭이 바뀌었다. 1998년 2월 28일 정부조직법의 개정으로 산업자원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9 Japanese House of..
    선거 정보 제25회 일본 참의원의원 통상선거는 2019년 7월 28일 일본의 참의원 절반이 임기가 만료함에 따라 2019년 7월 4일에 공시하고 7월 21일 실시된 참의원의원 통상선거이다. 레이와 연호 개원 이후 처음으로 실시된 전국 단위 선거이다. 2019년 6월 26일에 열린 임시 각의(국무회의)에서 선거 일정이 확정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대조선국·대법민주국통상조약 조불수호조약(朝佛修好條約), 大朝鮮國·大法民主國通商朝約
    내용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책(73쪽). ‘한말외교문서(韓末外交文書) 권22’로 분류되어 있으며, 표지에는 ‘조불통상조약원본(朝佛通商條約原本) 1886’이라 쓰여 있다. 본 조약문은 원래 한문(漢文)과 불문(佛文)으로 작성되었으나, 여기에는 한문본만 실려 있다. 1998년 서울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근대사
  • 취약계층 관련 노무상담 사례, 시간 비례로 조건이 적용된다는데 어떻게 계산해야 하나요 단시간..
    좋다고 하는데, 계산방법도 복잡해 보이고 감이 잘 오질 않는다. 어떤 부분을 어떻게 확인하면 되는 것일까? 법정근로시간인 주 40시간제를 적용하는 경우를 '통상근로'(풀타임 근로)라고 한다면, 이보다 주당 근무시간이 짧은 경우를 가리켜 법률 용어로 '단시간 근로'라고 부릅니다. 단시간 근로자에 대해 시간제...
  • 쇄국정책 鎖國政策
    개설 외국과 왕성한 교역통상을 전개한 고려와는 달리 조선왕조는 건국 초부터 쇄국정책을 고수하여 중국과 일본 두 나라와 폐쇄적인 사대교린관계만을 유지하였다. 더욱이 조선조 말기에 이르러 구미 자본주의 나라들이 통상무역을 요구해옴에 이르러서는 좀 더 완강한 쇄국정책을 실시하였다. 역사적 배경 근대 구미...
    시대 :
    근대
    성격 :
    외교제도, 통상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개항기
    폐지일 :
    1876년(강화도조약)
    분야 :
    역사/근대사
  • 무효심판청구등록전의 실시에 의한 통상실시권 宣告专利权无效决定之前实施的普通实施..
    무효사유에 해당됨을 알지 못하고 국내에서 그 발명을 실시하고 있는 자에게 그 특허가 무효된 경우에 그 특허발명과 동일한 타인의 특허권이 존재하더라고 실시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함. 이 자가 가지는 권리의 성격은 현존하는 특허권에 대한 통상실시권이며(특허법 제104조), 이를 강학상 중용권이라고 함.
  • 꿈에서 깨어난 일본
    에도 막부가 쇄국 정책을 고수하는 동안 유럽은 눈부실 정도로 발달했다. 기계에 의한 생산이 급증하고 제품의 시장 개척과 원료를 확보하기 위한 해외진출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같은 세력이 차츰 일본 열도까지 밀어닥치면서 에도 막부의 운명도 풍전등화와 같은 위기에 몰리게 되었다. 1853년 6월 3일 낯선 네...
  • 쇄국정책 鎖國政策
    열강은 상품시장과 원료공급지를 구하려 군함을 앞세우고 아시아 각국에 문호개방을 강요해왔다. 우선 영국이 1842년 아편전쟁을 일으켜 중국과 강제적인 통상관계를 맺고 이어 1860년에 영국-프랑스 연합군이 베이징[北京]을 점령하여 굴욕적인 베이징 조약을 맺었다. 이즈음 조선에도 이양선(異樣船)이 자주 출몰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4건

행남통상
행남통상
통상임금
통상임금
러시아와의 통상
외국과의 통상
일본과의 통상
영국과의 통상
청과의 통상
[그림 1] 통상액주계
우편 엽서(통상엽서)
(a) 통상의 정의
조불통상조약원본
조불통상조약원본
조불통상조약원본
조불통상조약원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