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저임금제
    국가가 노사 간의 임금결정 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그 이상 임금을 지급하도록 강제함으로써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이다. 최저임금제도는 1894년 뉴질랜드가 가장 먼저 도입하였으며 우리나라는 1986년 12월 31일 최저임금법을 제정 ・ 공포하고 1988년 1월 1일부터 이를 시행하였다. 최저임금제를 ...
  • 최저임금제 最低賃金制, Minimum Wage System
    일정 금액 이상의 임금을 근로자에게 지불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하는 제도.|개설 최저임금제의 기대효과는, ①임금률을 높이고, ②임금생활자의 소득을 증가시키며, ③수준 이하의 노동조건이나 빈곤을 없애고, ④임금생활자의 노동력 착취를 방지하며, ⑤소득재분배를 실현하는 데 있다. 역사상 이 제도는 19세기말에 ...
    시대 :
    현대
    성격 :
    제도, 경제제도, 임금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1988년 1월 1일
    시행처 :
    대한민국 정부(고용노동부)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최저임금 最低賃金, minimum wage
    노동자가 사용자로부터 부당하게 저임금을 받는 것을 막고, 일정 수준 이상의 임금을 받아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매년 정하는 임금의 최저한도. 최저임금제는 헌법과 법률에 근거해 1988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2020년 최저임금은 전년보다 2.9% 인상된 8,590원, 2021년은 1.5% 인상된 8,720원, 2022년은 5.1% 인...
  • 임금 관련 노무상담, 제 월급이 최저임금보다 적은가요
    최저임금제도는 국제노동기구(ILO,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회원국의 90퍼센트가 시행하고 있는 전 세계적인 제도라 최저임금이 있는지조차 모르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입니다. 최저임금은 말 그대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한 것입니다. 최저임금 이상으로 임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사업주는 최저임금법 ...
  • 최저임금제
    국가가 노·사간의 임금결정 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이다. 2015년 5,580원(시간급), 44,640원(8시간 기준 일급)
  • 최저임금법 最低賃金法, Minimum Wages Act
    저임금 근로자의 보호를 위하여 국가가 임금의 최저액을 정해 이를 사용자에게 강제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률.|개설 「헌법」 제32조 제1항 제2문은 “국가는 사회적·경제적 방법으로 근로자의 고용의 증진과 적정임금의 보장에 노력하여야 하며,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최저임금제를 시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86년 12월 31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최저임금 (동의어 최저임금제) 最低賃金
    근로자가 인간다운 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임금.|내용 최저임금제도는 근로자의 생계비, 노동생산성, 유사 근로자의 임금 등을 고려해 공적으로 결정·고시되고, 사용자가 해당 근로자에게 그 이하의 임금을 지급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국민경제를 건전하게 발전시키고자 하는 일종의 임금 통제가격이다. 이 ...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시행일 :
    1986년 12월 31일
    시행처 :
    노동부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최저 임금법 最低賃金法, minimum wage system
    일정 금액 이상의 임금을 근로자에게 지불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하는 제도.|최저 임금 제도는 국가가 법적 강제력을 가지고 임금의 최저한도를 정해 이를 밑도는 수준으로는 사용자가 근로자를 고용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근로자를 보호하는 데 있다. 19세기 말에 최초로 등장했으며 18...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노동 , 사회제도
  • 최저임금제도
    국가가 근로자들의 생활안정을 위해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고용인에게 그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하는 제도. 적용대상은 1인 이상 근로자를 고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이다. 최저임금은 근로자 대표위원 9인, 사용자 대표위원 9인, 공익 대표위원(고용노동부 장관이 제청해 대통령이 위촉) ...
  • 주요 임금제 및 임금의 종류 (관련어 최저임금제)
    최저임금제 국가가 근로자들의 생활안정을 위해 매년 물가를 반영해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그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하는 제도. 2017년 6470원, 2018년 7530원. 호봉제 근무기간을 기본으로 근속연수나 연령에 따라 일정한 금액을 호봉으로 책정해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 직무급제 ...
  • 최저임금제도
    국가가 근로자들의 생활안정을 위해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그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하는 제도. 적용대상은 1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이다. 최저임금은 노사공익대표 각 9명으로 구성된 최저임금위원회가 매년 인상안을 의결해 정부에 제출하면, 고용노동부...
  • 최저임금 (관련어 최저임금제) Minimum wage, 最低賃金
    노동 최저임금(最低賃金, 피고용인에게 지급해야 할 최소한의 임금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법으로 최소한의 의식주 생활이 가능한 급여기준을 정하여 근로자의 생존권을 보호하는 제도적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각 나라는 자국의 법과 규정에 의해 최저 임금을 정하고 ...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최저임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