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 올 확률이 50%라면 우산을 꼭 챙겨야 하나요?
    일기예보를 들어 보면 아나운서가 비 올 확률에 대한 정보를 알려 줍니다. 만약 어떤 지방의 내일 비가 올 확률이 50%라면 비가 온다는 건가요? 안 온다는 건가요? 일기예보에서의 확률은 수학에서 말하는 확률과 같은 건가요? 비 올 확률(강수 확률)이란? 대부분의 사람들은 뉴스 끝 무렵에 전해지는 일기예보를 보고...
    분야 :
    확률과 통계
    교과단원 :
    초등 6학년 〈경우의 수와 확률〉, 중등 2학년 〈확률〉, 고등 2학년 〈확률〉
  • 사과를 방귀라고 부르면 안 될까요?
    『프린들 주세요』라는 책을 보면, 재미있는 이야기가 나와요. 한 아이가 볼펜을 프린들이라 부르기 시작해요. 처음에는 그게 뭔지 몰랐던 사람들도 ‘프린들’이라는 단어가 학교에 유행처럼 번지자 그 단어를 볼펜으로 이해하게 돼요. 동네 문방구 아저씨조차도 ‘프린들 주세요!’라는 말에 당연히 ‘볼펜’을 건넬...
    분야 :
    문법
    교과단원 :
    초등 6학년 2학기 〈언어의 세계(읽기)〉
  • 100% 세일은 공짜?
    길거리에 가다 보면 ‘망했어요. 폭탄 세일 80% 세일, 100% 세일’이란 문구를 볼 수 있어요. 그런데 막상 가격표를 보면 할인율이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우선 100% 세일이면 상식적으로 공짜인데 상품에는 판매가가 적혀 있어요, 어떻게 된 건가요? 퍼센트란? 퍼센트는 백분율이라고도 합니다. 전체 양을 100으로...
    분야 :
    수와 연산
    교과단원 :
    초등 5학년 〈비와 비율〉
  • 나의 인연을 만날 확률은 우연일까, 필연일까?
    사랑하는 배우자를 만난다는 것, 나만의 인연을 만난다는 것은 전 세계 인구의 남녀 비율이 1:1이라 가정할 때 거의 0에 가까운 확률입니다. 그러면 우연일까요? 아니면 만날 수밖에 없는 상황, 즉 1에 가까운 확률, 필연일까요? 우리의 만남을 확률로 계산해 보면 현재의 세계 인구가 약 70억이라고 하고, 이때 남녀의...
    분야 :
    확률과 통계
    교과단원 :
    초등 6학년 〈경우의 수와 확률〉, 중등 2학년 〈확률〉, 고등 2학년 〈확률〉
  • 불심검문 직무질문, 不審檢問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자 또는 이미 행하여진 범죄나 행하여지려고 하는 범죄행위에 관하여 그 사실을 안다고 인정되는 자를 정지시켜 질문할 수 있다. 이를 직무질문(職務質問)이라고도 한다. 내용 불심검문은 정지와 질문 및 동행요구를 내용으로 한다. 정지는 질문을 위한 수단으로서 거동이 수상한 자를 불러...
    시대 :
    현대
    성격 :
    경찰활동
    유형 :
    제도
    시행일 :
    1953년 12월 14일
    시행처 :
    경찰청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시계 속에는 어떤 수학이 숨어 있나요?
    시계는 하루에도 몇 번씩 쳐다보는 물건이라 신기할 것도 없는 줄 알았는데, 곰곰이 따져 보니 궁금한 게 많아요. 하루는 24시간인데 시계에는 왜 1시부터 12시까지만 표시되어 있나요? 시곗바늘은 왜 항상 같은 방향으로 도나요? 거꾸로 도는 시계 만약 시계가 거꾸로 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한때 거꾸로 도는...
    분야 :
    규칙성
    교과단원 :
    초등 1학년 〈시계 보기〉, 초등 2학년 〈시각과 시간〉, 초등 3학년 〈시간과 길이〉, 초등 5학년 〈약수와 배수〉
  • 지도를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하려면?
    “서로 이웃한 지역이나 나라의 경계에 색이 겹치지 않도록 서로 다른 색을 사용하여 색칠하려면 몇 가지 색이 필요할까?” 단순해 보이지만 오래 동안 풀리지 않았던 문제라고 하네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4색 문제 1852년 영국의 프랜시스 거스리(Francis Guthrie)는 영국 지도에 있는 지역들을 구분하여 색칠...
    분야 :
    함수와 규칙성
    교과단원 :
    초등 6학년 〈문제해결 방법 찾기〉, 고등 1학년 〈경우의 수〉
  • 같으면 무조건 등호를 사용하는 것 아닌가요?
    수학 시험에서 등호를 잘못 사용해서 감점을 받았습니다. 식이 같으면 무조건 등호를 사용하는 것 아닌가요? 그렇다면 어떨 때 등호를 사용하고, 어떨 때는 등호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건지 알려주세요. 학생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등호를 ‘는’이라는 말로 읽어 왔고, 그러한 습관 때문에 주어에 붙은 ‘조사’인 ‘는...
    분야 :
    수학
    교과단원 :
    중등 1학년 〈문자와 식〉, 중등 2학년 〈식의 계산〉, 중등 3학년 〈이차방정식〉
  • 시가 노래 가사가 될 수 있다고요?
    시를 읽다 보면 마치 노래 부르는 것처럼 느껴져요. 노래와 시는 전혀 다른 것 같지만 비슷한 점이 많아요. 이런 이유로 시가 노랫말로 자주 쓰여요. 앞서 질문한 내용처럼 김소월 시인의 시 「진달래꽃」은 유명한 가수의 노래로 만들어져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지요. 비유를 사용해요 시는 생각과 느낌을 전할...
    분야 :
    문학
    교과단원 :
    초등 2학년 1학기 〈느낌을 나타내어요〉, 초등 2학년 2학기 〈마음을 담아서〉, 초등 4학년 1학기 〈감동을 표현해요〉, 초등 5학년 1학기 〈상상의 날개(듣기 · 말하기 · 쓰기)〉, 초등 6학년 1학기 〈상상의 세계(듣기 · 말하기 · 쓰기)〉, 초등 6학년 1학기 〈문학의 향기(읽기)〉
  • 수학 기호는 누가 만들었을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학하면 가장 먼저 숫자와 기호부터 떠올립니다. 그래서 수학을 기호의 학문이라고도 부른답니다. 그런데 이런 수학 기호는 누가, 언제 만들었을까요? 수학은 기호의 학문 수학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숫자나 복잡한 기호일 것입니다. 수학에서 기호가 없다면 어떨까요? 동양이나 서양을 막론...
    분야 :
    수학
    교과단원 :
    초등 6학년 〈방정식〉
  • 인도-아라비아 숫자가 변했다구요?
    인도-아리비아 숫자가 예전에는 지금과 다른 모습이었다고 합니다. 어떤 모습이었나요?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1, 2, 3, ···과 같은 숫자는 4세기 무렵 인도에서 생겨났습니다. 인도 사람들은 기본수를 10으로 하고,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사용하여 위치에 따라 값이 다르도록 하는 위치적 기수법을 사용했습니다...
    분야 :
    수와 연산
    교과단원 :
    고등 1학년 〈기수법〉
  • 0으로 나누면 모두 0 아닌가요?
    , , 은 모두 0아닌가요? 그리고 유리수의 정의에서 분모가 0인 경우를 제외하는 이유는 뭐죠? 중학교 1학년에서 , , , , ···과 같이 ‘분자와 분모가 모두 정수인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를 유리수라고 한다.’라고 배웁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단, 분모는 0이 아니다.’라는 단서가 붙습니다. 왜...
    분야 :
    수학
    교과단원 :
    초등 2학년 〈나눗셈〉, 중등 1학년 〈정수와 유리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질문
질문 그래프
질문분해법
질문의 초그래프 표현
질문에 답하는 지단
궁금한 점은 질문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