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부식 《삼국사기》를 지어 올린 두 가지 뜻늦은 고려 충렬왕 때 엮은 것으로, 역사서의 체제를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 하지만 《삼국유사》는 《삼국사기》보다 훨씬 자주적인 기술을 시도했고, 민속 · 종교뿐만 아니라 불교에도 많은 비중을 두고 엮었다. 다만 신비한 이야기 따위를 싣는 기술방식으로 인해 야사류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우리는 삼국시대를...
- 출생 :
- 1075년
- 사망 :
- 1151년
-
왕건 다양한 사상을 수용한 통일 군왕세력의 지원에 힘입어 마침내 통일을 이룩했다. 궁예와 진훤보다 의식은 물론이고 인물을 포섭하는 행동반경이 훨씬 넓었다. 왕건은 건국 초기에는 당나라 유학을 다녀오거나 신라의 명망가인 최언위 · 최은함 · 최승로 등을 측근에 두어 정책 결정에 참여시켰다. 이들은 불승이 아니라 유학자였다. 한편 최치원도...
- 출생 :
- 877년
- 사망 :
- 943년
-
-
동국통보 발행 이천의 건의, 주전론 대두화폐를 찍어 내는 주전관(鑄錢館)이라는 관청을 두어 동국통보를 주조했다. 이로써 고려 경제도 본격적으로 주화를 발행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 1086년 송나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대각국사 의천은 선종에게 「청주전표(請鑄錢表)」라는 글을 올려 고려 경제를 실용적이지 못하게 만드는 네 가지 항목을 지적하고 그...
- 시대 :
- 1097년경
- 국가/대륙 :
- 한국
-
-
금석문 金石文시대의 금석문 묘도문자(墓道文字) 고려는 불교를 숭봉하였으나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건국에 참여한 사람들의 대부분이 유학자였고, 불교를 억제하는 정책을...있어서 고려시대의 그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초라하였다. 그 반면 유학을 숭상함에 따라 선조와 부모에 대한 효성의 하나로 분묘를 화려하게 축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교육과정 敎育課程상당 부분 모방하였다. 통일신라처럼 많은 왕족과 민간인 자제들을 당으로 유학 보냈고, 빈공과에 급제하여 당의 관료가 된 이들도 있어 해동성국으로 칭하여...묘지를 보면 귀족층 여성들도 유교 경전 교육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고려시대 관학(官學)과 사학(私學)의 유교적 교육과정을 통해 주로 관료가 양성되었고...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시무28조 時務二十八條불교 행사가 억제되어 팔관회는 폐지되고 집을 절로 삼는 것도 금지되었다. 아울러 국자감(國子監)을 중수하고 12목에는 경학박사(經學博士)를 파견하는 등 유학(儒學) 교육을 진흥했는데, 이러한 일련의 조치는 고려 사회를 귀족 중심의 안정된 국가로 이끄는 밑거름이 되었다. 이 사료는 바로 그러한 고려의 중앙 통치...
- 시대 :
- 고려 전기
- 유형 :
- 문헌/문서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도서관 圖書館고구려에는 유학경전인 오경을 비롯하여 역사서인 ≪사기 史記≫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와 어학서인 ≪자림 字林≫ · ≪자통 字統≫ · ≪옥편 玉篇≫ 등 여러 가지 서책이 유포되고 있었는데, 태학이나 경당에도 이러한 서적들이 수장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경당은 독서하는 장소일 뿐만...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