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부식 《삼국사기》를 지어 올린 두 가지 뜻
    늦은 고려 충렬왕 때 엮은 것으로, 역사서의 체제를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 하지만 《삼국유사》는 《삼국사기》보다 훨씬 자주적인 기술을 시도했고, 민속 · 종교뿐만 아니라 불교에도 많은 비중을 두고 엮었다. 다만 신비한 이야기 따위를 싣는 기술방식으로 인해 야사류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우리는 삼국시대를...
    출생 :
    1075년
    사망 :
    1151년
  • 왕건 다양한 사상을 수용한 통일 군왕
    세력의 지원에 힘입어 마침내 통일을 이룩했다. 궁예와 진훤보다 의식은 물론이고 인물을 포섭하는 행동반경이 훨씬 넓었다. 왕건은 건국 초기에는 당나라 유학을 다녀오거나 신라의 명망가인 최언위 · 최은함 · 최승로 등을 측근에 두어 정책 결정에 참여시켰다. 이들은 불승이 아니라 유학자였다. 한편 최치원도...
    출생 :
    877년
    사망 :
    943년
  • 이색 영숙, 李穡
    한산에서 지내고 1394년(태조 3) 오대산에 들어갔다가 이듬해 서울로 돌아왔다. 1396년 여주 신륵사(神勒寺)에 가는 도중에 죽었다. 이색은 원나라에서의 유학과 이제현을 통하여 이 시기 선진적인 외래사상인 주자 성리학을 수용했고, 이를 바탕으로 고려 말기의 사회혼란에 대처하면서 정치사상을 전개했다. 그는 원의...
    출생 :
    1328(충숙왕 15)
    사망 :
    1396(태조 5)
    국적 :
    고려,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충선왕 고려 26대왕, 忠宣王
    서적을 많이 모으고 조맹부 등 원나라 거유들을 불러 고전 연구에 몰두했다. 그런 가운데 본국의 이제현을 불러 원나라 거유들과 어울리게 해주는 등 고려 유학 발전에도 기여했다. 하지만 그것으로도 만족하지 못한 충선왕은 충숙왕 6년(1319) 3월부터 몇 달 동안 이제현과 권한공 등을 데리고 절강 방면으로...
  • 동국통보 발행 이천의 건의, 주전론 대두
    화폐를 찍어 내는 주전관(鑄錢館)이라는 관청을 두어 동국통보를 주조했다. 이로써 고려 경제도 본격적으로 주화를 발행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 1086년 송나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대각국사 의천은 선종에게 「청주전표(請鑄錢表)」라는 글을 올려 고려 경제를 실용적이지 못하게 만드는 네 가지 항목을 지적하고 그...
    시대 :
    1097년경
    국가/대륙 :
    한국
  • 사문학 四門學
    고려의 국자감은 신라의 국학을 이은 것으로, 성종 때에 이르면 그 안에 국자학·태학·사문학 등 유학을 가르치는 기구를 나누어 두게 되었다. 그뒤 율학·서학·산학 등의 기술학부가 추가되어 문종 때 이르면 경사(京師)의 6학이 갖추어지게 된다. 이후 최충(崔沖)의 문헌공도(文憲公徒) 등 사학이 발달하면서 위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시대 문학
    고려 전기는 신라의 문학을 계승하면서 불교와 유학의 이념을 구현하는 데 힘썼으며 한문학이 왕성하게 번성한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신라에서 비롯된 향가는 고려 전기까지 그 명맥을 유지했다. 광종 때 실시된 과거제는 유교 경전의 이해와 더불어 시문 창작능력을 중시함으로써 한문학의 발달에 많은 기여를 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인종 고려 17대왕, 仁宗
    보였다. 말하자면 인종대는 뒷날의 무신난이나 지방 민란이 빈발하게 되는 고려 혼란기의 서막을 이룬 시기였다. 하지만 당대에는 선정에 힘을 기울여 김부식...찬양을 받은 왕이었다. 인종은 자주 경연을 베푸는 등 전대 못지않게 유학과 문학의 성행을 도모했다. 국자감에 경사 6학의 체제를 갖추고 지방에 향학을...
  • 금석문 金石文
    시대의 금석문 묘도문자(墓道文字) 고려는 불교를 숭봉하였으나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건국에 참여한 사람들의 대부분이 유학자였고, 불교를 억제하는 정책을...있어서 고려시대의 그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초라하였다. 그 반면 유학을 숭상함에 따라 선조와 부모에 대한 효성의 하나로 분묘를 화려하게 축조...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서예
  • 교육과정 敎育課程
    상당 부분 모방하였다. 통일신라처럼 많은 왕족과 민간인 자제들을 당으로 유학 보냈고, 빈공과에 급제하여 당의 관료가 된 이들도 있어 해동성국으로 칭하여...묘지를 보면 귀족층 여성들도 유교 경전 교육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고려시대 관학(官學)과 사학(私學)의 유교적 교육과정을 통해 주로 관료가 양성되었고...
    유형 :
    개념
    분야 :
    교육
  • 시무28조 時務二十八條
    불교 행사가 억제되어 팔관회는 폐지되고 집을 절로 삼는 것도 금지되었다. 아울러 국자감(國子監)을 중수하고 12목에는 경학박사(經學博士)를 파견하는 등 유학(儒學) 교육을 진흥했는데, 이러한 일련의 조치는 고려 사회를 귀족 중심의 안정된 국가로 이끄는 밑거름이 되었다. 이 사료는 바로 그러한 고려의 중앙 통치...
    시대 :
    고려 전기
    유형 :
    문헌/문서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도서관 圖書館
    고구려에는 유학경전인 오경을 비롯하여 역사서인 ≪사기 史記≫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와 어학서인 ≪자림 字林≫ · ≪자통 字統≫ · ≪옥편 玉篇≫ 등 여러 가지 서책이 유포되고 있었는데, 태학이나 경당에도 이러한 서적들이 수장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경당은 독서하는 장소일 뿐만...
    유형 :
    개념
    분야 :
    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