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승로 문정(文貞), 崔承老고려전기 문하시랑평장사, 문하수시중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개설 경주 출생. 아버지는 신라 6두품인 최은함(崔殷含)이다. 한편, 불교적 입장에서 탄생설화를 담고 있는 『삼국유사』의 삼소관음중생사조(三所觀音衆生寺條)에는 이름이 ‘최승로(崔丞魯)’로 되어 있고, 아버지의 이름이 ‘최은함(崔殷諴)’으로 되...
- 시대 :
- 고려
- 출생 :
- 927년(태조 10)
- 사망 :
- 989년(성종 8)
- 경력 :
- 문하시랑평장사, 문하수시중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최승로 崔承老982년 사회 개혁 및 대중국관의 시정 등에 대한 〈시무28조〉를 올려 고려 정치 체제의 토대를 닦았다. 12목을 설치하고 목사를 파견하여 중앙집권적 체제를 갖추도록 했다. 소통을 강조한 재상 최승로는 고려 초기의 문인이자 재상이다. 태조에서 경종까지 다섯 왕의 치적을 평가하고 불교의 폐단을 건의하는 등 파격...
- 출생 :
- 927년
- 사망 :
- 989년
-
최승로상서문 崔承老上書文二十八條)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982년(성종 1) 6월 성종은 경관(京官) 5품 이상자들에게 각각 봉사(封事)를 올려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게 하였다. 이에 최승로는 정광 행선관어사 상주국(正匡行選官御事上柱國)의 벼슬에 있으면서 글을 올리게 된 것이다. 1. 5조 치적평 상서문의 첫째 부분은 태조·혜종·정종...
- 시대 :
- 고려전기
- 저작자 :
- 최승로
- 창작/발표시기 :
- 982년
- 성격 :
- 상서문
- 유형 :
- 작품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시무28조 時務二十八條이 경관(京官) 5품 이상자들에게 각각 봉사(封事)를 올려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게 하자, 정광(正匡) 행선관어사(行選官御事) 상주국(上柱國)으로 있던 최승로(崔承老)가 올린 상서문(上書文)이다. 최승로가 지은 이 시무(時務) 상서(上書)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앞부분은 성종 이전의 왕인 태조(太祖, 재위...
- 시대 :
- 고려 전기
- 유형 :
- 문헌/문서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최승로와 〈시무 28조〉고려 6대 성종(成宗)은 즉위 직후 5품 이상 관리에게 시정의 잘잘못을 논하고 정책을 건의하라는 왕명을 내렸다. 이때 경주 출신 유학자 최승로(崔承老)가 상소한 것이 28조에 달하는 시무책(時務策)이다. 최승로는 먼저 고려 건국 이후 태조에서 경종에 이르는 5대조의 치적을 평가한 뒤, 구체적인 시무책을 제시했다...
-
최승로 〈시무 28조〉 제출성종이 “현재 정치의 옳고 그름을 논하라”라는 숙제를 내자 5품 이상의 관리들이 제출한 보고서 가운데 유학자 최승로의 「시무 28조」가 가장 돋보였다. 최승로는 불교를 개인적 신앙으로 제한하고, 왕실과 조정이 불교 행사에 치우치는 것을 막으려 했다. 승려가 궁궐에 자주 드나드는 것을 금지하고 왕실이...
- 시대 :
- 982년
- 국가/대륙 :
- 한국
-
유교문화와 교육제도고려는 건국 초기부터 최언위, 최응, 최지몽 등이 유교주의에 입각한 국가 경영을 건의하였다. 성종 연간에는 최승로가 유교를 치국의 근본으로 삼을 것을 주장하는 시무 28조의 개혁안을 올리기도 했다. 관리를 등용하는 과거제도에서도 문학적 재능과 정책을 시험하는 제술과를 가장 중시하였고, 유교 경전에 대한...
- 시대 :
- 918년~1392년
-
FREE THE MANE 2 "FREE THE MANE VS 최승로" FRE..음반 정보 "FREE THE MANE 2 "FREE THE MANE VS 최승로"는 2024년 10월 3일에 발매된 B-FREE의 정규 11집이다. 안녕하십니까 신사숙녀 여러분, 반갑습니다. 이번 새로운 파도 음반사에서 들려드릴 FREE THE MANE 2 "FREE THE MANE VS 최승로"는 FREE THE MANE 이 시간 여행을 통해 970년으로 돌아가, 고려에 유교적 정치...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