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사문학

다른 표기 언어 四門學

요약 고려시대 국자감에 두었던 교육기관의 하나.

고려의 국자감은 신라의 국학을 이은 것으로, 성종 때에 이르면 그 안에 국자학·태학·사문학 등 유학을 가르치는 기구를 나누어 두게 되었다. 그뒤 율학·서학·산학 등의 기술학부가 추가되어 문종 때 이르면 경사(京師)의 6학이 갖추어지게 된다. 이후 최충(崔沖)의 문헌공도(文憲公徒) 등 사학이 발달하면서 위축되었던 관학은 예종과 인종의 진흥책에 힘입어 다시 일어나게 된다.

특히 인종의 관학진흥책으로 인해 학식이 정해졌다. 학식에 규정된 입학자격에 따르면 사문학은 훈관 3품 이상 봉작이 없는 자, 4품으로서 봉작이 있는 자, 문무관 7품 이상의 자제들이 입학할 수 있었다. 정원은 300명 정도였다. 교과과정의 내용을 보면 〈효경 孝經〉·〈논어 論語〉는 공통필수과목으로 하고, 〈상서 尙書〉·〈춘추공양전 春秋公羊傳〉·〈춘추곡량전 春秋穀梁傳〉·〈주역 周易〉·〈모시 毛詩〉·〈주례 周禮〉·〈의례 儀禮〉·〈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예기 禮記〉 등을 배우도록 되어 있었다.

정규과정을 공부하는 여가에 산술과 시무책을 익히고 실무에 필요한 훈련을 시켰다. 학관으로는 경학에 뛰어나고 언행이 독실하여 사표가 될 만한 인물을 사문학박사(四門學博士)·조교(助敎)로 삼아 가르치도록 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사문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