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려 高麗
    장수왕대 이후 멸망 때까지 사용한 고구려의 후기 국호.|내용 그러나 고구려의 국호가 고려로 개칭되었음이 당시의 금석문이나 당시의 역사기록을 통해 확인된다. 1979년에 충청북도 충주에서 발견된 충주고구려비(忠州高句麗碑)의 첫줄에 “五月中高麗太王祖王(5월중 고려태왕조왕)”이라 하여 국명이 ‘고려(高麗)'...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고대사
  • 고려 고려국(高麗國), 高麗
    고려는 918년 개성 출신 왕건이 건국하여 936년 후삼국을 통합한 뒤 1392년 멸망 때까지 34명의 왕씨 출신 국왕이 474년 동안 통치한 왕조이다. 고려 초에 광종의 과거제 시행, 성종의 체제 정비를 거쳐 문종 때 전성기에 도달하였다. 고려 중기에는 이자겸과 묘청 난, 무신정변, 하층민의 봉기, 대몽항쟁 등으로 기존 ...
    시대 :
    고려
    유형 :
    지명/고지명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 왕의 타락과 왕권의 추락이 극에 달하다
    받고 돌아오기도 했다. 충혜왕은 정사를 돌보지 못한 죄를 쓰고 1343년 원나라 사신들에 의해 계양(지금의 중국 산둥성)으로 귀양 갔다가 이듬해 죽는다(고려 29대 충목왕 즉위 참조). 공녀(貢女) 고려와 조선이 중국의 원나라, 명나라에 바치던 여인들. 1225년 몽골 사신 저고여가 살해된 뒤 몽골이 고려를 침공하면서...
    시대 :
    1331년경
    국가/대륙 :
    한국
  • 고려, 후삼국 통일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 2대 왕 신검(재위 935년~936년)의 군대를 일선군(지금의 경상북도 선산)에서 격파하고 마침내 후삼국 통일의 대업을 완성했다. 앞서 아들인 신검에게 쫓겨나 갇혔던 견훤은 금산사를 탈출해 고려에 투항했다. 9월, 때가 무르익었다고 판단한 왕건은 8만 7000여 명의 대군을 이끌고 후백제 정벌...
    시대 :
    936년
    국가/대륙 :
    한국
  • 고려 高麗
    본 뜻 고려(高麗)라는 국호는 고구려(高句麗)에서 왔다. 본디 고구려를 이룬 종족을 중국에서 ‘코리’라고 불렀고, 나중 고려(高麗)의 발음도 실제는 ‘고리’였다는 학설이 있다. 조선시대 학자들은 우리나라의 지형이 산이 높고 물이 아름다운 곳이라는 산고수려(山高水麗)에서 온 말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바뀐 뜻...
    유형 :
    한자어
  • 고려, 강화도성에 내성 축조
    고려 정부가 강화에 크고 작은 문 17개가 딸린 둘레 약 2.4킬로미터의 내성을 쌓았다. 이로써 천도 후 4년간 해안을 따라 12킬로미터에 이르는 외성을 쌓은 데 이어 내성이 모습을 드러내 이중 구조로 된 강화도성이 완성됐다. 섬으로 간 개경, 강도(江都) 무신 정권은 왜 강화도로 천도했을까? 흔히 몽골군이 해전에...
    시대 :
    1250년
    국가/대륙 :
    한국
  • 고려, 경정전시과 실시
    고려 토지 제도의 뼈대를 이루는 전시과 제도가 최종적으로 개정됐다. 문무 관리에게 벼슬의 등급에 따라 토지를 지급하는 전시과는 976년(경종 1년) 처음으로 시행된 이래 100년 동안 이번까지 네 차례의 개정을 거쳤으며, 이후로는 다시 고치는 일이 없게 된다. 이번에 시행된 전시과 제도는 ‘경정전시과’라고...
    시대 :
    1076년
    국가/대륙 :
    한국
  • 고려 Goryeo, 高麗
    1392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에 존재했던 나라이다. 통일신라 하대에 송악(현재의 개성특별시) 지방의 호족인 왕건이 918년에 고려를 건국하였으며, 919년에 송악을 개경이라 이름을 고치고 수도로 삼았다. 그 뒤, 935년 신라, 936년 후백제를 차례대로 복속하였다. 광종은 황권의 안정과 중앙 집권 체제를...
    도서 위키백과
  • 고려, 송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다
    고려가 광평시랑 이흥우를 송나라에 사신으로 보내 외교 관계를 맺었다. 송나라는 북쪽 국경을 위협하던 요나라를 견제하기 위해 고려와 정치적, 군사적 동맹 관계를 강화하려 했고, 고려는 송나라의 선진 문물을 수입하는 데 외교 관계의 중점을 두었다. 두 나라는 사절단과 예물을 자주 교환했으며, 고려는 송나라에...
    시대 :
    962년
    국가/대륙 :
    한국
  • 고려 高麗
    고려는 불교를 사상적 원리로 삼았고 유학으로 중앙집권적 체제를 실현했다. 태조 왕건이 나라를 세우고 현종을 거쳐 문종 대에 국가 통치체제가 정비되었다. 귀족문화가 크게 발달하여 숙종·예종·인종대까지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12세기에 권력 독점에 반발한 무인란으로 붕괴되었다. 무인정권은 1231년 몽골군이 침...
  • 고려, 강화로 천도
    살리타가 다루가치 72명을 남겨 두고 돌아갔으나, 최우가 이끄는 고려 정부는 몽골과의 화의를 거부하고 강화로 천도해 항쟁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최우는 20일 안에 강화로 떠나지 않는 자는 군법으로 다스린다는 명령을 내리고 수레 100여 량을 동원해 천도를 총지휘했다. 열흘 넘게 장대비가 내리는 가운데 개경이...
    시대 :
    1232년
    국가/대륙 :
    한국
  • 고려, 홍건적의 침입
    원나라에 쫓긴 홍건적이 압록강을 건너 고려를 침공했다. 1359년 12월에는 4만여명이 쳐들어왔다가 70여 일 만에 대부분의 병력을 잃고 압록강을 건너 도망갔다. 그러나 1360년 9월에는 20만 명이나 되는 대군이 쳐들어와 개경을 함락시키기까지 했다. 이방실 등이 이끄는 고려군은 반격을 펼쳐 1362년까지 10만여 명을...
    시대 :
    1359년
    국가/대륙 :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98건

고려
고려
고려
고려전(동국중보)
고려 혜종 순릉
고려 태조 현릉 전경
강화 고려 고종 홍릉 우측면
무신정권의 고려시대
강화 고려궁지와 강화유수부 좌측면
청구도 중 고려오도양계주현총도
개풍 고려 공민왕릉 중 공민왕 현릉의 장명등 정면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판고 내부
공민왕의 영토 수복과 북방 개척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개성 선죽교 정측면
개성 나성 성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