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정철 치상, 南廷哲
    본관은 의령. 자는 치상, 호는 하산. 아버지는 현감 홍중이다. 유신환의 문인이다. 1882년(고종 19)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을 지냈다. 1884년 갑신정변 때는 김윤식(金允植)과 함께 개화파 축출을 위해 청의 출병을 요청했다. 갑신정변 실패 뒤 호조참판에 기용되었다. 그해 동지부사로 청에 가서 조로수호통상...
    출생 :
    1840(헌종 6)
    사망 :
    1916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유길준 전통사회의 근대인
    해박했음에도 국한문 혼용의 문체로 저술을 남긴 지식인지만 무엇보다 유럽을 최초로 기행한 조선 사람이다. 이해 12월 유길준은 고국으로 돌아왔다. 당시 갑신정변의 실패로 개화파들이 속속 잡혀 죽임을 당하거나 감옥에 갇혔다. 그는 갑신정변에 직접 가담하지 않았으나 그의 동료들이 갑신정변에 연루된 개화파라고...
    출생 :
    1856년
    사망 :
    1914년
  • 묄렌도르프 목인덕穆麟德, Paul George von Möllendorf
    조·러 수교를 위해 톈진[天津] 주재 러시아 공사 베베르(Waeber)가 내한하자 적극 주선에 나서, 7월 7일 조로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는 데 일조했다. 12월 갑신정변이 일어나자, 청 군대가 개화파 정부를 무너뜨리고 민씨정권을 복귀시키는 데 앞장섰다. 1885년 1월 한성조약이 체결되자 갑신정변의 해명과 김옥균 등...
    출생 :
    1848
    사망 :
    1901
    국적 :
    독일/대한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서재필 과연 진정한 독립운동가인가
    쿠데타 실패로 망명하다 서재필(徐載弼, 1864~1951)에 대해서, 일반인들은 대개 열렬한 개화파 민족주의자로 젊은 나이에 갑신정변을 주도했고, 이어 사대모화의 상징인 영은문 자리에 독립문을 세웠으며 〈독립신문〉을 간행했다가 수구파의 미움을 받아 미국으로 쫓겨 간 것으로 알고 있다. 그 뒤 미국으로 건너가...
    출생 :
    1864년
    사망 :
    1951년
  • 사대당 수구당, 事大黨
    근대적 개혁을 기도했던 개화당(독립당)을 탄압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884년 12월 개화당은 청의 종주권 강화에 반대하고 신속한 개화정책을 추진하고자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이때 개화당에 의해 민태호·민영목·한규직·이조연 등이 피살되었으나 청나라 군대의 재빠른 개입으로 갑신정변은 3일천하로 끝나고, 정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톈진 조약 天津條約
    운영에 있어 사실상의 중심인물로 활약하면서 자신의 임지인 톈진에서 8개의 조약을 맺었다. 이중 청과 일본 사이에 맺어진 톈진 조약은 1884년 조선의 갑신정변이 청의 개입으로 실패로 돌아간 후, 일본은 조선에 대한 청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하여 2개 대대의 병력을 조선에 파견했다. 그리고 양국간의 무력충돌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오대징 吳大澂
    후 호남순무가 되었다. 1884년 조선에서는 김옥균(金玉均)을 중심으로 한 개화파가 일본의 무력지원 아래 급진적 근대화개혁을 단행하기 위한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갑신정변이 일어나자 민씨정권은 청나라에 원조를 요청했고 청나라는 이홍장(李鴻章) 등을 파견했다. 오대징은 이홍장 휘하의 회판북양사의로서 500명의...
    출생 :
    1835
    사망 :
    1902
    국적 :
    청(淸),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서상우 徐相雨
    조영수호통상조약 체결에 참여했다. 그해 홍문관교리가 되어 인천 개항장의 조계 획정에 참여했고, 동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84년 갑신정변 직후 참의교섭통상사무에 임명되었고, 이어 예조참판이 되어 전권대신으로 일본에 파견되어 갑신정변을 주도한 김옥균(金玉均) 등 개화파 인사들의 송환을 요구...
    출생 :
    1831(순조 31)
    사망 :
    1903(광무 7)
    국적 :
    조선, 한국
  • 김병기 성오(成吾), 金炳基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목사 김교근(金喬根)의 아들이며, 대사헌 김병규(金炳奎)의 동생으로, 갑신정변의 주모자인 김옥균(金玉均)의 양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46년 소과(小科)에 합격하였으나 문과급제를 못하고 음직으로 1852년(철종 3) 광릉참봉을 지냈다. 1856년 옥과현감을 시작으로 1859년 금성현령...
    시대 :
    근대
    출생 :
    1814년(순조 14)
    사망 :
    미상
    경력 :
    옥과현감, 금성현령, 옥천군수, 양양부사, 마전군수, 강릉부사, 가평현감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안동(安東)
  • 유혁로 柳赫魯
    이명은 혁로. 아버지는 하급무인이던 상오이다. 1882년(고종 19) 수신사 박영효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무과에 급제한 후 1884년 갑신정변 때 행동대원으로 참가하여 통신연락과 정찰을 맡았다. 갑신정변이 실패한 후 일본으로 망명하여 유학생 기숙사인 친린의숙을 경영하면서 박영효와 김옥균의 신분보호를...
    출생 :
    1863(철종 14), 충남 아산
    사망 :
    1940
    국적 :
    일제강점기,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홍만식 洪萬植
    본관은 남양. 자는 백헌(伯憲), 호는 호운(湖雲). 아버지는 영의정 순목(淳穆)이며, 동생이 갑신정변의 주모자 영식(英植)이다. 교관 순경(淳敬)에게 입양되었다. 1866년(고종 3) 별시문과에 급제한 뒤 검열·수찬·집의·동부승지·여주목사·이조참판 등을 지냈다. 1884년 아버지가 사복에 착수의(窄袖衣), 관복에 흑...
    출생 :
    1842년(헌종 8)
    사망 :
    1905년 11월 28일
    국적 :
    한말, 한국
  • 김병시 성초(聖初), 金炳始
    에 임명되었다. 1883년 1월 진주사(陳奏使)로 임명되어 청에 다녀온 후 양향당상(糧餉堂上)·선혜청제조·예조판서·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 때는 조정의 신하들이 개화파와 수구파로 갈려 대립하자 사대당에 가담하여 김옥균(金玉均)일파를 몰아 내는데 일조 했다. 그 후 성립된 심순택(沈舜澤)내각...
    시대 :
    근대
    출생 :
    1832년(순조 32)
    사망 :
    1898년(고종 35)
    경력 :
    예문관제학, 독판군국사무, 의정부의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용암집(蓉庵集)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안동(安東)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건

갑신정변
갑신정변이 벌어진 우정국
갑신정변의 주역들의 사진
개화당 주요 인물
김옥균
갑신일록
우정총국
갑신정변도
갑신정변 주역들
갑신정변의 4주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