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남정철

다른 표기 언어 南廷哲 동의어 치상, 穉祥, 하산, 霞山
요약 테이블
출생 1840(헌종 6)
사망 1916
국적 조선, 한국

요약 한말의 대신.

본관은 의령. 자는 치상, 호는 하산. 아버지는 현감 홍중이다. 유신환의 문인이다. 1882년(고종 19)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을 지냈다. 1884년 갑신정변 때는 김윤식(金允植)과 함께 개화파 축출을 위해 청의 출병을 요청했다.

갑신정변 실패 뒤 호조참판에 기용되었다. 그해 동지부사로 청에 가서 조로수호통상조약에 대한 청의 동의를 얻었다. 그뒤 협판교섭통상사무·형조판서·한성부판윤 등을 지냈다.

1892년 도쿄에서 조오수호통상조약을 체결했다. 1893년 독판교섭통상사무로서 일본 변리공사 오이시[大石正巳]와, 3년 전 함경도·황해도의 방곡령과 생삼 몰수문제를 협의하여 은화 11만 환을 배상하기로 했다. 이후 대사헌·형조판서·내부대신·궁내부특진관·경효전제조 등을 지내고, 1909년(융희 3) 기로소에 들어갔다. 1910년 한일합병 뒤 일본정부로부터 남작을 받았다. 저서에 〈하산고〉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남정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