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분열된 중국, 황건의 난상황은 불안정했다. 이에 더해 막대한 토지를 소유한 호족들이 농민들을 착취했는데, 돌림병이 돌고 기근이 계속되어 가난해진 농민들이 반란을 일으키면 조정은 강력한 탄압책을 썼다. 백성들은 더욱 궁핍해졌고, 유민이 증가했다. 이때 등장한 이가 장각(張角)이다. 일설에 따르면 장각은 주술에 능했다고 하는데, 그...
- 시대 :
- 184년
-
김초정 金初正생애 및 활동사항 관등은 급찬(級飡)이었다. 769년(혜공왕 5) 11월 김초정 등 187인이 도송사(導送使) 39인과 함께 대마도(對馬島)에 도착하자, 12월에 일본조정은 원외우중변(員外右中弁) 종4위하(從四位下) 대반숙녜백마려(大伴宿禰伯麻呂) 등을 대재부(大宰府)로 보내어 신라사신의 방문 이유를 물었다. 이에 김초정...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급찬(級飡)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신
- 분야 :
- 역사/고대사
-
일만복 壹萬福이를 알아보려는 데에도 목적을 두었다. 772년 정월 일만복 등 40명이 일본 수도에 들어가 신년 축하 의례에 참여하고 가져간 물품을 전하였다. 그러나 일본 조정은 발해 국서(國書)의 형식이 전례에 어긋나고, 또 발해 왕실을 천손(天孫)이라 칭하였다고 하여 이들을 꾸짖으면서 물건과 국서를 돌려보냈다. 이에 일만복...
- 시대 :
- 고대/남북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청수대부(靑綬大夫)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외교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단군신화 檀君神話되었다는 점에서는 두 기록 사이에 차이가 없다. 뿐만 아니라, 시베리아 및 극동의 북부지방에 깔려 있던 이른바 곰신앙을 고려한다면 ‘곰/신’의 대립의 조정은 더욱더 쉬워질 것이다. 그러나 두 기록 사이의 대립의 조정은 여기서 그치고 만다. ‘안/밖’, 그리고 ‘부계/모계’의 조정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고려...
- 시대 :
- 고대/초기국가
- 유형 :
- 인물
- 직업 :
- 신화
- 분야 :
- 역사/고대사
-
조선 수군이 해상권을 장악하다, 한산도대첩 閑山島大捷황윤길은 일본을 경계해야 한다고 했고, 동인인 김성일은 안심해도 된다며 반박했다. 동인인 서장관 허성(許筬)은 오히려 황윤길과 같은 의견을 냈다. 결국 조정은 논란 끝에 김성일의 의견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앞서 서인 이이는 일본의 침략에 대비해 10만 양병설(養兵說)을 주장했고, 이에 동인 쪽에서는 평지풍파...
- 시대 :
- 1592년
-
카누와 조정, 누가 더 빠를까?경기다. 멤버들이 힘 모아 젓는 노에 따라 씽씽~ 물 위를 가르던 조정 보트. 이 멋진 모습 덕에 한여름 더위를 시원하게 날려버린 사람들도 많으리라. 그러나 조정은 여전히 생소한 스포츠다. 우리나라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비인기 종목인데다 배나 노도 우리에겐 낯설기 때문이다. 2km를 몇 분 안에 이동할 정도로...
-
충무공 이순신의 수군 재건김응서, 선조 임금으로 이어지는 정보의 흐름 속에 들어 있는 간계(奸計)와 반간계(反間計)의 실체는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가토를 잡지 못하자 조선 조정은 항명죄를 물어 삼도 수군통제사 이순신을 파직하고 그 후임에 원균을 임명했다. 항명죄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된 후 옥고를 치른 이순신은 4월 1일 옥사...
-
천문령전투 天門嶺戰鬪, Cheonmunryung Battle그들의 군사력을 이용하기 위해 원래의 부락조직을 그대로 유지시켰다. 696년 거란족이 당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다. 거란의 반란군과 동조할 것을 우려한 당 조정은 영주 성방의 이민족 집단을 유주(幽州: 北京)로 이거시켰다. 하지만 대조영은 여기에 따르지 않았다. 같은 해 9월 직후 거란군과 당군이 공방을 벌이는...
- 시대 :
- 고대/남북국/발해
- 발생 :
- 697년 초중반
- 성격 :
- 전투
- 유형 :
- 사건
- 종결 :
- 697년 초중반
- 분야 :
- 역사/고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대조영, 이해고
- 관련 장소 :
- 중국 길림성 합달령
-
면갑 綿甲프랑스와 전투를 치른 조선은 서양의 무력도발에 경각심을 갖게 되었고 앞으로의 도발에 준비하게 된다. 특히 서양의 총기류의 우수함에 주목한 조선 조정은 총기공격을 무력화시키기기 위한 방도를 찾기 시작했고, 이에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은 그 대비책의 일환으로 방탄 성능이 좋은 새로운 갑옷을 만들려고 한 것...
- 유형 :
- 물품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