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예 武藝무인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무기를 다루는 재주. 내용 무예는 활 · 칼 · 창 · 총포 등을 이용하여 전투에서 적과 겨루는 행동이다. 고대부터 우리 나라는 신시(神市) 이래로 특별한 구역에 소도(蘇塗)를 세우고 국책으로서 무사들을 양성하였다. 신채호(申采浩)의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에 따르면 소도의 경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
무예도로 본 전쟁의 기술 왕조 500년을 지탱시킨 조선의 병법들전술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기병을 대거 확보하고 기병 위주 전술을 채택한 것을 들 수 있다. 몽골 간섭기 이후 고려는 몽골의 영향으로 그 우수한 기병 무예와 전술을 익힐 기회를 얻었다. 아울러 고려 말 편입된 여진족 세력에게서도 뛰어난 기마술과 기병 무예를 배웠다. 조선 기병의 주요 전투 기술은 기본적으로 말...
-
조선 3대왕, 태종 왕권 강화로 창업의 기틀을 다지다남다른 총명함과 재능으로 집안의 자랑이었던 이방원 태종은 1367년(공민왕 16)에 함경도 함흥에서 태어났다. 태조와 신의왕후 한씨 사이의 다섯째 아들이며, 이름은 방원(芳遠), 자는 유덕(遺德)이다. 방원은 어려서부터 남달리 총명하여 태조의 사랑을 받았다. 자라면서 유학 공부에도 심취해 문무를 겸비하였으며...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67년(공민왕 16)
- 사망 :
- 1422년(세종 4)
- 본명 :
- 이방원(李芳遠)
- 본관 :
- 전주(全州)
-
조선 3대 왕, 태종 조선 제3대 왕, 太宗桂)이며,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韓氏)이다. 비는 원경왕후(元敬王后)로 민제(閔齊)의 딸이다. 태조의 아들들이 대개 무인으로 성장했지만 이방원은 무예나 격구보다는 학문을 더 좋아했다고 한다. 성균관에서 수학하고 1383년(우왕 9) 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388년(창왕 즉위) 정사 이색(李穡)의 서장관...
- 출생 :
- 1367(공민왕 16)
- 사망 :
- 1422(세종 4)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유교(성리학)
- 재위 :
- 1400년∼1418년
- 시호 :
- 태종공정성덕신공건천체극대정계우문무예철성렬광효대왕(太宗恭定聖德神功建天體極大正啓佑文武睿哲成烈光孝大王)
- 능묘 :
- 헌릉(獻陵)
-
-
무예제보번역속집 武藝諸譜飜譯續集일본국 지도가 들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임진왜란 직후 조정에서는 군사병법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교(韓嶠)가 선조(宣祖)의 명을 받고 1598년에 『무예제보』를 편찬한 바 있는데, 훈련도감의 도청(都廳)인 최기남이 이 책에서 빠진 것을 보충하여 속집(續集)으로 편찬한 후 1610년경에 훈련도감에서 간행하였다...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최기남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321호
- 창작/발표시기 :
- 1610년(광해 2)
- 성격 :
- 군서, 병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훈련도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소장/전승 :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
태종 유덕(遺德), 太宗즉위한 만큼 군사에 관심이 극진하였다. 먼저 왕 개인을 위한 군사에 유의하여 즉위하던 해에 수하병을 갑사(甲士)로 편입시켰다. 의관(衣冠) 자제 중 무예에 뛰어난 자를 뽑아 별시위(別侍衛)로 편성하였다. 1404년에는 응양위(鷹揚衛)를 설치하였다. 1407년 내상직(內上直)을 내금위(內禁衛)로 개편하면서 가장 신임...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
전통무예진흥법 傳統武藝振興法내용 「전통무예진흥법」은 2008년 3월 28일 법률 제09006호로 제정된 법률로 전체 6조와 부칙으로 되어 있다. 이 법률은 문화적 가치가 있는 전통무예를 진흥하여 국민의 건강증진과 문화생활 향상 및 문화국가 지향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제1조). ‘전통무예’(「문화재보호법」(현, 국가유산기본법)에 따라...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예술·체육/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