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향도 의읍, 香徒
    전통 시대에 여러 가지 공동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성한 조직체.|개설 고대 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우리나라에 불교가 들어온 이후 널리 퍼졌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성격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본래 불교 신앙 활동을 목적으로 조직된 신도들의 결사(結社)를 일컫는다. 그렇지만 신앙결사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의미...
    시대 :
    고대/삼국/신라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향도 읍회, 香徒
    자발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사회구조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사회변동에 따라 그 조직의 성격이 바뀌었다. 불교수용 이후 널리 결성되었는데, 주요활동내용은 불상·종·석탑·불화·사찰의 조성, 법회 시주, 매향 등 주로 불교신앙과 관련되었으며 지방 거주 세력들의 세력기반을 확충에 이용되기도 했다. 고려에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상두꾼 (동의어 향도) 喪─
    사람이 죽어 장례를 치를 때 상여를 메는 사람을 가리키는 민속용어. 상여꾼·향도꾼|내용 우리 나라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시체를 매장할 장소까지 상여로 운반한다. 이때는 시신을 비롯한 관과 상여의 무게 때문에 여러 사람이 운반에 동원되게 마련이다. ≪사례편람 四禮便覽≫이나 ≪국조오례의≫ 상례자료 등의 예...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향도
    향도(香徒)는 고려 시대 향촌의 대표적 신앙 조직이자 농민 공동체 조직이다. 고려 시대 매향(埋香) 활동을 하는 불교의 무리들로부터 그 기원을 둔다. 지역적으로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면서 불상ㆍ종ㆍ석탑ㆍ사찰의 조성 또는 법회ㆍ보시ㆍ매향(埋香) 등 대규모의 노동력과 경제력을 제공하는 등 불교 신앙 활동이 주류...
    도서 위키백과
  • 향도 嚮導
    군대에서 행진할 때 대오의 선두에서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는 사람.
  • 향도 嚮導
    군대에서 행진할 때 대오의 선두에서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는 사람.
  • 풍월향도 風月香徒
    劉希慶)의 시집에 쓴 짧은 글(村隱劉希慶詩集小引)」에서 처음 사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 발문에 의하면 유희경·백대붕(白大鵬) 등을 당시 사람들이 ‘풍월향도(風月香徒)’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리고 향도란 서류(庶流)들이 만든 계(稧)의 이름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향도라는 용어가 조선시대에 ‘상여를 메는...
    시대 :
    조선
    설립 :
    조선 중기
    성격 :
    시단(詩壇)
    유형 :
    단체
    설립자 :
    유희경
    분야 :
    문학/한문학
  • 이촌 향도 移村鄕都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일자리가 풍부한 도시로 농촌 인구가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도시는 부가가치가 높은 2, 3차 산업의 발달로 일자리가 많이 창출되고, 관공서나 병원, 문화시설 등 생활편의시설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특히 젊은 연령의 이탈이 높게 나타난다. 이로 인해 농촌은 노년층이 많은 고령화 현상이...
    도서 다음백과
  • 이촌 향도 현상 離村向都
    자본주의의 형성과 발전과정에서 자본축적과의 관련 속에서 일어난 농촌인구의 도시로의 유출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와 농촌 간의 소득격차, 농가경제의 악화, 도시취업기회의 증대 등과 같은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생활수준·문화복지·교육기회·보건·건강·의료혜택의 차이 등과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도...
    도서 다음백과
  • 불멸의 향도
    김일성을 우상화한 〈불멸의 역사〉와 마찬가지로 김정일의 통치 역사를 대중들에게 쉽게 전달하고 그의 탁월함을 대내외에 과시하기 위하여 1990년대초부터 연속 간행되고 있다. 시리즈로 권정웅의 〈푸른 하늘〉(1992), 백남룡의 〈동해 천리〉(1996), 정기종의 〈역사의 대화〉(1997), 이종렬의 〈평양은 선언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상여소리 만가
    향도가, 향두가, 상두가, 상부소리라고도 한다.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면서 산 사람에게는 액이 들지 말고 복만 들기를 기원한다. 이별의 슬픔과 영원한 삶에 대한 소망도 담겨 있다. 상여의 운반은 여럿이 호흡과 발을 잘 맞춰야 하는 일이다. 집을 떠날 때, 가파른 언덕이나 산길을 오르고 내릴 때, 개천이나 다리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상여소리 喪輿─
    내용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소리. 일명 만가(輓歌)·향도가·향두가(香頭歌)·행상소리·회심곡(回心曲)·옥설개·설소리 등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불리고 있다. 대도시에서는 사회적으로 천시를 받던 사람들이 작은 집단을 형성하여 상두도가를 중심으로...
    성격 :
    장례의식요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삼국사기(권41) / 용화향도
삼국사기(권41) / 용화향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