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선사상 神仙思想속세를 떠나 선계에 살며 젊음을 유지한 채 장생불사한다는 신선의 존재에 이를 수 있다고 여기는 도교교리. 도교사상. 연원 사람은 본래 한번 태어나면 반드시 늙어 죽게 마련이나, 그런 숙명에서 벗어나 젊게 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이 생기고, 그 마음이 확대되어 불로장생을 갈구하는 신선사상을 형성하기에 이르...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도교
-
신선설화내용 신선 사상은 본래 중국에서 발전된 장생불사(長生不死)의 사상으로, 중국에서는 겸선천하(兼善天下)의 유학사상과 독선기신(獨善其身)의 노장사상(老莊思想) 두 계통이 발달해 왔다. 이 가운데 신선사상은 노장사상에서 장생불사의 일면만을 강조하여 민간으로 전승됨에 따라 설화와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었다. 이...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 선유후부가설화, 神仙─이야기가 실려 있으며, 에버하르트(Eberhard, W.)가 채록한 중국 민담 중에도 우리나라의 것과 공통된 이야기가 구전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설화는 신선사상에 바탕을 둔 것으로, 도교문화의 원산지인 중국에서 발생하여 우리나라로 전파, 변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것은 전설처럼 구전되는 데 비하여...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도교 道敎신선방술의 내용이 조정, 확대되고 신흥종교였던 불교의 영향을 받아 도교로 개괄되는 한 종교로 형태를 갖추어 나가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신선사상은 중국의 그것과는 성격을 달리한다. 도교와 도가사상 도교가 종교의 형태로 형성되기 이전에 이미 노자의 『도덕경』과 『장자(莊子)』 · 『열자(列子...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도교
-
정치사상 政治思想세상을 지상천국으로 표현하였다. 동학의 정치사상이 선천의 시대, 즉 조선조의 체제를 부정한 것은 단순히 특정 왕조를 부정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지상신선사상(地上神仙思想)을 통해 계층적 신분질서를 거부함으로써 천인일여(天人一如)의 평등사상으로 연결되고 있다. 또한 보국안민을 위해서는 모든 계층의 백성...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고구려의 종교와 사상천인·신선의 모습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도교가 일찍부터 고구려에 널리 퍼져 있었음을 보여준다. 물론 이러한 도교는 전통적인 산악신앙·신선사상 또는 샤머니즘 등과 결합하여 유행하였다. 특히 연개소문이 집권한 이후 국가적으로 도교가 크게 장려되어 불교와 마찰을 빚기도 하였다. 유교 고구려의 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