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일통상장정 朝日通商章程
    조항이었다. 이 문제는 조선정부가 근대적 개혁과 자주적 개국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면서 곧 조일관계의 현안으로 대두되었다. 조선정부는 1880년 제2차 수신사로 도일한 김홍집(金弘集)으로 하여금 이 문제를 거론하게 한 이래 수차례에 걸쳐 개정교섭을 벌여나갔다. 그결과 1883년 7월 조선 측의 전권대신 민영목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신사유람단 紳士遊覽團
    1876년에는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체결한 이후 2차례에 걸쳐 수신사(修信使)를 파견했으나 그것은 외교적인 교섭에 불과한 것이었으며, 1880년 12월 근대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기구로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설치한 후 서구문물의 조사를 위해 신사유람단을 파견했다. 1881년 2월 통리기무아문은 조준영(趙準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전염병의 제왕, 천연두를 박멸하기까지
    아버지 덕분에 한의사인 박영선에게 한학과 의학을 배울 수 있었다. 종두법의 하나인 우두법에 대해 처음 접한 것도 스승인 박영선을 통해서였다. 박영선은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오면서 우두종두법에 대한 <종두귀감>이라는 책을 가져와, 이를 토대로 제자들에게 강의했다. 지석영도 그 제자들 중에 한 명이었다. <종두...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질병 , 감염성 , 전염병
  • 조영수호통상조약 朝英修好通商條約
    심해지면서 영국과 다시 조약을 체결하여 이에 대처하려고 했으며, 영국측에서도 자국에 훨씬 더 유리하게 조약을 수정하려 했다. 1882년 9월 일본에 파견된 수신사 박영효 등이 일본 주재 영국공사 파크스와 고베[神戶] 주재 영사 아스톤과 접촉하면서 조약수정교섭이 이루어졌다. 1883년 11월 26일 조선전권대신...
  • 유혁로 柳赫魯
    이명은 혁로. 아버지는 하급무인이던 상오이다. 1882년(고종 19) 수신사 박영효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무과에 급제한 후 1884년 갑신정변 때 행동대원으로 참가하여 통신연락과 정찰을 맡았다. 갑신정변이 실패한 후 일본으로 망명하여 유학생 기숙사인 친린의숙을 경영하면서 박영효와 김옥균의 신분보호를...
    출생 :
    1863(철종 14), 충남 아산
    사망 :
    1940
    국적 :
    일제강점기,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만인소 萬人疏
    못하고 죽은 이에게 왕의 칭호로 올림)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개항 이후에는 개화정책에 반대하는 영남유생들의 상소가 있었다. 1880년(고종 17)에 김홍집이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오면서 중국인 황준헌이 지은 〈조선책략 朝鮮策略〉을 왕에게 올렸다. 그러자 1881년에 안동·상주 등 영남의 유생들이 위정척사론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특사 特使
    사신은 오늘날의 특사의 개념에 해당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나, 개항 이후 근대적 의미의 특사로 외국에 파견된 최초의 인사는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후 수신사(修信使)로 일본에 파견된 홍문관응교 김기수(金綺秀)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1948년 정부수립 이후에는 1948년 11월 4일 중화민국 난징에 최초로 정환범...
    시대 :
    현대
    성격 :
    관직, 직책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조선책략 朝鮮策略
    이익을 가져다주고, 국가 부의 축적 및 군비강화에도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므로, 결국 조선이 자강하는 기초가 될 것이라고 했다. 1880년(고종 17) 제2차 수신사로 일본에 갔던 김홍집(金弘集)이 청국 공관을 왕래하면서 외교정책에 관해 황쭌셴과 의견을 교환하고, 귀국하는 길에 이 책을 얻어와 고종에게 바쳤다. 이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이동인 李東仁
    밀항하였다. 이후 경도(京都)의 혼간사[本願寺]에서 10개월간 체류하며 변모된 일본 사회를 살피고, 동경으로 가서 일본의 조야 정치가와 접촉하는 한편, 수신사(修信使)로 와 있던 김홍집과 만나 친교하였다. 1880년 9월 김홍집과 함께 귀국, 김홍집의 소개로 민영익(閔泳翊)을 알게 되었다. 그 뒤 그 사랑방 연당(蓮堂...
    시대 :
    근대
    출생 :
    미상
    사망 :
    1881년(고종 18) 3월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개화승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통상 장정 通商章程
    않고 수출입 화물의 관세도 물지 않는 무관세 무역으로 막대한 이익을 올렸다. 조선은 불평등하고 불합리한 조항을 나중에 알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1880년 수신사로 일본을 방문한 김홍집은 이 문제를 거론하며 수차례의 개정 교섭을 벌여 1883년 7월 통상장정이 완성되었다. 그러나 처음의 문제 제기가 수그러들면서...
    도서 다음백과
  • 제물포조약 濟物浦條約
    병력을 진주시키고 이에 필요한 병영의 설치·수선비까지도 조선에 부담시키는 횡포를 부렸다. 또한 속약의 체결은 임오군란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조선에서의 일본상권 확보를 위한 강제적 요구였다. 이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조선은 배상금 중 우선 15만 원을 지불했고, 박영효를 수신사로 파견하여 사과의 뜻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이동인 李東仁
    계속 연락을 취했다. 교토에서 10개월간 머무른 뒤 1880년 4월 도쿄[東京]로 가 혼간 사 승려들의 알선으로 일본의 조야정치가들과 접촉했다. 그해 8월 수신사로 온 김홍집(金弘集)과 친교를 맺어 김홍집과 함께 9월말 귀국했다. 귀국 후 김홍집의 소개로 민씨정권의 핵심인물인 민영익을 알게 되어 그의 집 사랑방에...
    출생 :
    미상
    사망 :
    1881(고종 18)
    국적 :
    한말,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건

수신사
수신사 김기수
수신사일기
수신사일기
수신사 수행원 고영희
수신사 수행원 이용숙
수신사 수행원 현제순
수신사일기
수신사행렬
▲ {1차 수신사 김기수}
▲ {1차 수신사 김기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