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기수 계지(季芝), 金綺秀
    조선 후기에, 곡산군수, 덕원부사, 대사성 등을 역임한 문신.|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계지(季芝), 호는 창산(蒼山). 서울 출신. 김준연(金駿淵)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75년(고종 12)에 급제하여 홍문관부교리에 임명되고 1876년 홍문관응교에 임명되었다. 이듬해인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후 음력 2...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김기수 金基洙
    해방 이후 한국사상 처음으로 복싱동양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한 체육인.|개설 함경남도 북청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6·25전쟁이 일어나자 당시 12세였던 나이로 전라남도 여수로 피난하여 여항중학교를 졸업하였다. 공부를 하기 위하여 구두닦기를 하면서 당시 여수권투체육관 방호남(方虎男) 사범 밑에서 운동을 시...
    시대 :
    현대
    출생 :
    1938년
    사망 :
    1997년
    유형 :
    인물
    직업 :
    체육인
    성별 :
    분야 :
    예술·체육/체육
  • 김기수 계지, 金綺秀
    조선 말기의 문신.|본관은 연안. 자는 계지, 호는 창산. 아버지는 준연이다. 1875년(고종 1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응교가 되었다. 1876년(고종 13) 강화도조약 체결 후 예조참의로서 수신사가 되어 일본에 다녀옴으로써 근대 대일교섭의 시초가 되었다. 해외문명 견문기의 첫 예가 되는 〈일동기유 日東記游〉...
    출생 :
    한양, 1832(순조 32)
    사망 :
    미상
    국적 :
    조선, 한국
  • 김기수 金基洙
    권투선수.|유복자로 태어나 6·25전쟁중 12세의 나이로 어머니와 형과 함께 월남했다. 여수 피난민수용소에서 구두닦이, 목판담배장수를 지내다가 권투선수로 입문했다. 여수고등학교 1학년 때 광주에서 개최된 전국학생선수권대회 라이트웰터급에서 우승, 당시 서울 성북고등학교 교장이던 고향 사람 이의석의 눈에 ...
    출생 :
    함남 북청, 1939. 9. 17
    사망 :
    1997. 6. 10,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스포츠선수
  • 김기수 金琪洙
    해방 이후 「개천부」·「송광복」·「하원춘」 등을 만든 작곡가. 교육자.|내용 서울 출생. 1936년 이왕직아악부원양성소(李王職雅樂部員養成所)를 졸업하였다. 이왕직아악부 아악수(雅樂手)로 근무하면서 1939년 이왕직의 신곡 공모에서 「황화만년지곡(皇化萬年之曲)」으로 당선되었고, 1941년 사중병주곡(四重並奏...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김기수 대마루, 金璂洙
    국악인·작곡가·교육자.|호는 대마루[竹軒]. 김영제와 전주이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일찍이 이연상이 음악적 소질을 인정했을 정도로 재능이 뛰어났다. 예술을 하는 사람을 천시하던 시대였기에 경성농업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입학금이 없어 진학을 포기하던 중 이왕직아악부에서 국비로 학생을 모집한다고...
    출생 :
    서울, 1917. 11. 12
    사망 :
    1986. 10. 21,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김기수 金基洙
    1888년 12월 28일 전라남도 제주 좌면(左面) 월평리(月坪里)에서 태어났다. 당시 ‘영낙리 하루방’으로 불리던 인물로, 멍석 짜는 일을 하면서 가난하게 살았다. 1918년 10월 7일 제주도 좌면의 법정사(法井寺) 승려 김연일(金連日) ・ 강창규(姜昌奎) ・ 방동화(房東華) 등이 주도하여 좌면 일대에서 전개한 항일운동...
    출생 :
    1888년 12월 28일, 전라남도 제주(濟州)
    사망 :
    1975년 11월 5일
    관련 사건 :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
    주요활동 :
    1918년 10월 제주 법정사 항일무력시위에 선봉대 일원으로 참가
    포상훈격 :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
  • 김기수 (법조인)
    인물 정보 김기수(1940년 ~,金起秀)는 대한민국 제27대 검찰총장을 역임한 법조인이다. 1940년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태어나 경남고등학교와 1962년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63년 제2회 사법시험에서 합격하였다. 1966년 서울대학교 사법대학원에서 법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1969년 부산지방검찰청 검사에 임용...
    도서 위키백과
  • 김기수 金箕壽, 金基洙
    평안남도 순천(順川)에서 태어났다. 본명이 김기수(金箕壽)이다. 신민회 新民會의 회원으로 1909년 남형우(南亨祐) ・ 안희제(安熙濟) ・ 이원식(李元植) ・ 신백우(申伯雨) ・ 김태희(金泰熙) ・ 김동삼(金東三) ・ 이시열(李時說) ・ 박중화(朴重華) ・ 배천택(裵天澤) 등 80여 명의 동지와 함께 국권 회복을 목적으로...
    출생 :
    미상, 평안남도 순천(順川)
    사망 :
    미상
    주요활동 :
    신민회 회원, 1909년 대동청년단 단원, 안동 협동학교 교감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대동청년단, 안동 협동학교, 최성천의병부대
  • 김기수 (권투 선수) Kim Ki-soo, 金基洙 (ボクサー)
    권투 선수 정보 김기수(金基洙, 1939년 9월 17일~1997년 6월 10일)는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대한민국 프로복서로는 처음으로 복싱 세계챔피언에 올랐다. 사우스포. 아마 통산 88전 87승1패. 프로 통산 49전 45승(16KO)2패2무. 함경남도 북청에서 태어났다. 김기수는 1951년 1.4 후퇴 당시 남쪽으로 내려왔다...
    도서 위키백과
  • 김기수 金基洙
    1859년 2월 6일 경상북도 경주군(慶州郡) 외동면(外東面, 현 경주시 외동읍) 연지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당시 청송군(靑松郡) 현서면(縣西面) 구산동(九山洞)에 거주하며 농사를 지었다. 장로교인으로 전도를 위한 조사(助事)에 종사하였다. 1919년 3월 10일 경 현서면 백자동(栢子洞)에 있는 서당에서 이규백(李圭伯)...
    출생 :
    1859년 2월 6일, 경북 경주(慶州)
    사망 :
    1925년 2월 26일
    관련 사건 :
    현서면 만세시위
    주요활동 :
    1919년 3월 26일과 27일 청송군 현서면 만세시위 참여
    포상훈격 :
    1992년 대통령표창
  • 김기수 (일제강점기)
    인물 정보 김기수는 일제강점기의 황해남도 지역 유지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냈다. 황해도 재령군에서 출생하여 지난날 한떼 한성부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의 본적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후암동이다. 1912년 3월 평양고등보통학교의 교원양성소를 졸업하고 교직에 투신했다. 1912...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김기수
김기수
김기수
수신사 김기수
프로복싱 / 김기수
김기수 초상
김기수(1927-1986)
▲ {1차 수신사 김기수}
▲ {1차 수신사 김기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