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수신사일기 修信使日記
    대한제국기 관료·정치가 김홍집이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1880년에 작성한 견문록.|내용 1책. 필사본. 미국의 통상조약 체결요구를 거절하고, 동시에 국제정세를 파악하기 위해 1880년 5월 21일부터 8월 28일까지 일본에 수신사로 파견되었던 김홍집의 복명서(復命書) 및 미국과의 통상을 권유하는 일본의 문서, ...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홍집
    창작/발표시기 :
    1880년(고종 17)
    성격 :
    견문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고려대학교 도서관
  • 수신사일기 修信使日記
    1876년 제1차로 일본에 파견된 수신사 김기수가 강화도조약을 체결한 뒤 통상조약에 따른 세목을 협정하고 일본의 문물을 돌아본 것을 기록한 일기.|1876년 5월 18일부터 6월 1일까지와 같은 해 11월 10일부터 18일까지의 기사로서, 5월 8일 지외무성, 10일 견일본덴노[見日本天皇], 12일 부연우원료관, 13일 대마도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수신사일기 修信使日記
    김홍집이 1880년 5월 21일부터 8월 28일까지 수신사로 일본에 갔을 때의 일을 기록한 일기.|수신사김홍집복명서〉·〈수신사김홍집입시연설 修信使金弘集入侍筵說〉·〈답서계등본 答書契謄本〉·〈조선책략〉·〈대청흠사필담 大淸欽使筆談〉·〈제대신헌의 諸大臣獻議〉·〈백춘배서계 白春培書啓〉 등이 실려 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수신사일기 修信使日記
    조선후기 문신 김기수가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1876년에 작성한 견문록.|내용 1876년(고종 13) 수신사로 일본에 갔다온 일기이다. 1책. 필사본. 1876년 5월 8일부터 6월 1일까지의 기사와 같은해 11월 10일부터 18일까지의 기사가 수록되어 있다. 김기수의 수신사 임명이 2월 22일이고 서울 출발이 4월 4일인 점...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기수(金綺秀)
    창작/발표시기 :
    1876년(고종 13)
    성격 :
    견문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고려대학교 도서관(사본)
  • 수신사 修信使
    환대를 받았다. 사신 행차가 일본으로 떠날 때까지 국내 여론은 일본에 대하여 경계하는 편이었다. 그러나 김기수의 견문기인 『일동기유(日東記游)』·『수신사일기(修信使日記)』를 보면 일본행 이후 그의 일본에 대한 인식이 크게 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수신사 김기수 일행의 일본관과 그가 고종에게 올린 복명...
    시대 :
    근대
    성격 :
    관직, 외교사절
    유형 :
    제도
    시행일 :
    1876년(제1차), 1880년(제2차)
    분야 :
    역사/근대사
  • 수신사 修信使
    도착하여 20여 일 동안 도쿄[東京]에 체류하면서 일본의 신식기관과 시설을 시찰하고 7월 하순 귀국했다. 김기수의 견문기인 〈일동기유 日東記遊〉·〈수신사일기〉를 보면 그의 일본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보고에서 "일본은 모두 부강에 힘쓰고 있으며 군대는 강장하다"며 일본의 개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수신사 Joseon Susinsa, 朝鮮修信使
    구성하여 조사시찰단을 위장파견 하였지만, 결국 1881년 2월 26일 영남 만인소 사건 등 보수적인 유림의 반발을 사게 된다. 이들의 기록은 김홍집이 《수신사일기》로 남겼다. 1882년 고종 19년 8월 8일 임오군란 직후 일본에 사과를 하기 위해 박영효 일행이 3차 수신사로 파견되었다. 박영효를 대표로 김만식(金晩植...
    도서 위키백과
  • 김기수 (조선)
    타고 일본 제국으로 건너가 온갖 극진한 대접을 받으며 근대화한 일본의 문물을 둘러보고 왔다. 1876년 음력 6월 귀국하여 《일동기유》(日東記游), 《수신사일기》(修信使日記) 등을 썼다. 이를 계기로 조정의 일본에 대한 관념이 호전되어 뒤에 신사유람단을 보내게 된 동기를 만들었다.서적 인용 증조부: 김재칠(金載...
    도서 위키백과
  • 윤치호의 일기 일제강점기 한 지식인의 내면일기
    1880년 수신사 김홍집을 따라 일본에 건너가 메이지 유신 이후 부국강병에 박차를 가하고 있던 일본의 상황을 직접 목격하고 개화의 필요성을 절감한 뒤, 1881년 아들 치호를 조사시찰단(신사유람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파견되는 어윤중의 수행원으로 딸려 보내 일본에서 공부하도록 주선했다. 다시 말해서 윤치호는...
  • 김총리유고 金總理遺稿
    均)의 시신을 검사한 사실 등 갑오경장을 전후한 격동하는 개화기의 중요 국내외 사항들을 기록하였다. 여기에 「이정학재일록(以政學齋日錄)」 2책, 「수신사일기(修信使日記)」 1책, 「금영내찰(錦營來札)」 1첩, 「화방문서(花房文書)」 1책 등을 고려대학교 도서관에서 편집, 합본하여 1976년 간행하였다...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홍집
    창작/발표시기 :
    조선 말기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8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국민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 김기수 계지(季芝), 金綺秀
    군사 · 기계 · 학술 · 교육 등의 시설을 관람하는 외교 의례상 전례가 없는 환대를 받았다. 김기수의 일본 견문기는 『일동기유(日東記游)』 · 『수신사일기(修信使日記)』에 나타나 있다. 수신사 일행의 보고와 김기수가 고종에게 올린 복명별단(復命別單)은 고종과 명성황후, 그리고 척신(戚臣)과 조정의 신하들...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병자일기 丙子日記
    1책 240쪽. 강화도조약의 체결과정이나 이후의 수호조규부록, 무역규칙, 수신사 파견 등에 관한 내용을 싣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목적에서 어떠한 기준에 의해...없다. 옮겨 쓴 내용도 들쭉날쭉하고, 너무 많은 내용이 수시로 탈락되었으며, 일기의 날자에 해당되지 않는 다른 일자의 내용이 실린 경우가 허다하다...
    시대 :
    근대
    저작자 :
    의정부
    창작/발표시기 :
    조선말기
    성격 :
    외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건

수신사일기
수신사일기
수신사일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