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자차 Yuja tea, 柚子茶
    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도 일대에서 유자를 재배하였으며, 유자차와 유자화채 등 음료를 만들어 먹었다. 1700년대의 《산림경제》에는 채썬 유자와 배를 꿀물에 넣어 잣을 띄우고, 잘 저민 유자의 껍질도 넣어 마시는 유자차 조리법이 기록되었다. 1830년의 《농정회요》에는 유자와 배를 채썰어 꿀물에 넣고 잣을...
    도서 위키백과
  • 수단 (음식) Sudan (food)
    음식 정보 수단(水團, 水𩜵)은 쌀가루 등을 경단처럼 빚어 삶은 것을 꿀물이나 오미자차에 넣고 잣을 띄운 화채이다. 단오에도 먹는다. 꿀물 등에 넣지 않고 먹는 것은 "건단"이라 부른다. 《경도잡지》, 《시의전서》, 《열양세시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등에 수단을 만드는 방법이 소개된다. 《동국세시기...
    도서 위키백과
  • 경단 Gyeongdan
    뒤 고물을 묻히거나 꿀이나 엿물을 발라 먹는데, 고물의 종류에 따라 깨경단, 팥경단, 밤경단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삶은 후에, 냉수에 헹구어 물기가 마르기 전에 꿀물 등 넣어 먹는 것은 "수단(水團/水𩜵)", 꿀물 등 담그지 않고 그냥 먹는 것은 건단(乾團)으로 구분해 부르기도 한다.서적 인용 당고 참깨볼 한국의 떡
    도서 위키백과
  • 국화차 Chrysanthemum tea, 菊花
    넣어 끓인 다음 꿀을 타서 마시며, 활짝 핀 감국은 꽃받침을 제거하고 꿀을 발라 촉촉하게 하여 녹말가루에 굴린 다음 잠깐 끓는 물에 넣었다가 건져서 꿀물에 타고 잣을 띄워 마신다.서적 인용 말린 꽃으로 국화차를 만들어 먹을 때는, 연한 소금물에 살짝 씻어 서늘한 그늘에서 바싹 말린 감국을 뜨거운 물에 우린다...
    도서 위키백과
  • 밤 (열매)
    칼슘·인·칼륨 같은 무기질,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다. 밤은 날로 먹기도 하고, 삶거나 구워서 먹기도 하며, 여러 가공 식품에 쓰이기도 한다. 설탕이나 꿀물 꿀물에 조리기도 하고, 밤가루를 내어 죽이나 이유식을 만들기도 한다. 밤가루는 각종 과자와 빵, 떡 등의 재료로도 사용하며,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데 쓰기도...
    도서 위키백과
  • 낭충봉아부패병
    위해 건강봉군들 주변과 벌통 바깥 및 봉기구들에 삼종염계열의 소독약을 매일 뿌리고, 꿀벌에게 사료용 비타민, 미네랄 합제, 프로폴리스 등을 설탕물이나 꿀물에 타서 벌에게 직접 분무하여 영양을 충분히 급여해준다. 그리고 세균의 2차 감염 방지를 위해 사료용 항생제 테라마이신(옥시테트라싸이클린) 등을 소문에...
    도서 위키백과
  • 산후에 나쁜 피가 배에 남아 아플때의 민간요법 産後에 나쁜 피가 배에 남아 아플때의 民間療法
    피가 배에 남아서 아플 때의 민간요법이다.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서는 막걸리를 먹거나 막걸리에 흰죽을 타서 먹는다. 금정구 금성동 산성 마을에서는 꿀물, 미역국, 탁주, 끓인 쑥물, 풋밤을 껍질 채 삶은 물, 가물치 삶은 물을 먹는다. 한편 강서구 가덕도동[가덕도]에서는 빨래 방망이를 삶아 그 물을 마시는데...
    분야 :
    생활·민속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강서구,기장군
  • 살구씨 Apricot kernel, 杏仁
    살구씨, 구기자, 두충, 숙지황 등을 담가 만든 술 고편도유 – 살구씨나 복숭아씨 등에서 짜낸 기름 살구씨정과 – 살구씨를 끓는 물에 담가 껍질을 벗겨서 꿀물에 잠깐 조린 정과 소행죽 – 차조기씨와 살구씨를 갈아서 쌀뜨물을 붓고 쑤다가 꿀을 탄 죽 싱런더우푸 – 중국의 살구씨 두부 양고주 – 살구씨를 삶아서...
    도서 위키백과
  • 화전 (음식) Hwajeon, 花煎
    부녀자들이 개울가에 번철과 찹쌀가루 등을 들고 나가서, 꽃을 따서 그 자리에서 화전을 만들어 먹었다. 특히 음력 3월 3일 삼짇날에 화전놀이를 즐겼으며, 꿀물이나 오미자즙에 진달래를 띄운 진달래화채 등과 함께 먹었다. 진달래로 만든 화전은 "두견화전"(杜鵑花煎)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조선시대 궁정에서는 궁녀...
    도서 위키백과
  • 삼짇날 Double Third Festival, 上巳
    화전(花煎)이라 한다. 또 진달래 꽃을 녹두 가루에 반죽하여 만들기도 한다. 혹은 녹두로 국수를 만들기도 한다. 혹은 녹두가루에 붉은색 물을 들여 그것을 꿀물에 띄운 것을 수면(水麵)이라고 하며 이것들은 시절음식으로 젯상에도 오른다."라고 하여 화전과 국수를 시절음식으로 즐겼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시절...
    도서 위키백과
  • 양귀비씨 Poppy seed, ポピーシード
    굽기 전에 한 번 삶는다. 참깨나 양귀비 씨를 뿌려 낸다. 슐리키 align="center" 우크라이나 명절 때 먹는 음식으로, 조각낸 빵에 곱게 간 양귀비 씨와 꿀물을 부어 만든다. 심버 포스터 align="center" 인도 편두를 흑쿠민과 함께 볶다가 간 양귀비 씨를 넣고 익혀 만든 오디샤 음식이다. 콜라치 스 마켐 align="center...
    도서 위키백과
  • 김채희
    음악가 정보 김채희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명성화학 대표이사 2011년 3월 10일 I`m Waiting For You 2012년 6월 26일 Sad Movie 2013년 10월 15일 별 / 고마운 당신 2015년 3월 2일 꿀물사랑 2016년 3월 23일 호강시켜 준다고 / 늘 내곁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