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사 움직씨, 動詞
    않고, 형용사는 명령법·청유법·약속법·허락법의 어미를 가지기 어려운 데 대하여 동사는 그러한 어미의 연결이 비교적 자유롭다는 특징을 가진다. 동사의 통사론적인 기능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주어에 대하여 서술어의 기능을 하며, 주어 외에 목적어나 다른 성분이 나타날 때 이들 성분의 선택이나 성격을 결정하는...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20세기의 논리학
    가정하지 않고서는 증명할 수 없음을 입증했다. 메타 논리학 연구의 또다른 탐구분야는 논리학의 언어를 다루고 그 언어의 순수형식적 측면을 기술하는 통사론(統辭論)이다. 이 분야에서 중요한 기여를 한 사람으로는 한때 빈 학파의 일원이었던 독일 출신의 미국 철학자 루돌프 카르나프, 레시니에프스키, 폴란드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 문학
  • 리투아니아어 Lithuanian language
    종교적인 성격의 글에만 사용된 이 문어는 근대 리투아니아어와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근대 문어보다 문법어미가 더 길며 격이 2가지 더 있고, 어휘와 통사론에서 슬라브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또 강세에서도 근대어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 이런 특성들은 17세기 중순까지 계속되었다. 19세기에 쓰이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유카텍어 Yucatec language
    폐쇄자음은 드물며, 스페인어에서 차용한 낱말에만 나타난다. 유카텍어의 또다른 특징은 성조를 이용하여 형태가 동일한 낱말을 구별한다는 점이다. 문법과 통사론에서 유카텍어는 접두사와 접미사 및 삽입사를 이용하여 복수형과 소유형 및 동사의 시제 같은 문법적 범주를 나타낸다. 불변화사라고 불리는 소수의 낱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기호론 記號論, semiotics
    쓰이는 방식을 다루는 어용론, 둘째, 기호와 그 쓰임에서 추출되는 의미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의미론(semantics), 셋째, 의미와는 별도로 기호만을 다루는 통사론(syntax)이 그것이다. 이 3가지 분류는 논리학자들과 최근에 들어서는 언어학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의미론에 관련된 어용론의 정확한 정의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멜라네시아 피진어 Melanesian Pidgin
    뜻이 확장·변화했고 합성어·신조어로 어휘가 더욱 확대되긴 했어도 1,500개 정도의 영어 낱말이 얼마 안 되는 기본 어휘의 90% 정도를 차지한다. 문법과 통사론 역시 언어습관과 멜라네시아 원주민어의 영향으로 많이 단순해지고 또 약간 변형되긴 했어도 영어 구조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발음과 강세는 영어가 아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일치 위계
    문법적 일치 현상에서는 통제어의 성, 수, 격 등에 의해 통제어와 과녁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이 일치는 의미론적 일치와 통사론적 일치로 나뉘는데, 때로 의미론적 일치와 통사론적 일치가 충돌할 때가 있다. 예컨대 독일어의 'Mädchen(소녀)'이라는 명사는 지소형 어미 '-chen'이 붙었기 때문에 통사론적으로...
    도서 위키백과
  • 기호 記號, sign
    즉 약속된 기호로서 그 대표적인 것이 자연언어임)의 3종으로 분류된다. 또 이같은 기호를 검토하는 기호론은 의미론(기호와 그것이 지시하는 대상과의 관계), 통사론(기호와 기호의 관계), 그리고 어용론(기호와 그것을 사용하는 인간과의 관계)의 3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문화기호론은 기존의 여러 학문의 범위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형용사 그림씨, 形容詞
    아니다’는 ‘안+이다’로 분석하여 명사의 활용처럼 취급할 수 있다. 서술어로 쓰인 형용사는 이른바 이중주어문장(二重主語文章)을 구성할 수 있다는 통사론적 특성을 지닌다. 즉, “코끼리는 코가 길다. 그는 마음씨가 곱다. ”처럼 서술부가 하나의 문장형식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서술어가 동사인 문장...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중국 피진 영어 Chinese Pidgin English
    이후 피진 영어는 홍콩에서만 쓰이게 되었다. 중국 피진 영어는 700개 정도의 영어 어휘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다른 어원에서 온 낱말도 약간 있다. 문법과 통사론은 간단하고 위치에 의존한다. 즉 문법 범주들은 활용어미와 전치사 같은 것보다는 오히려 낱말의 위치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 'John loves Mary...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마드비 Johan Nicolai Madvig
    라틴어 문법과 그리스어 통사론에 관한 많은 저서를 출판했고, 근대 원문비평의 토대를 이룩하는 데 이바지했다. 그 대표적인 예가 1839년 키케로의 〈좋은 결말과 나쁜 결말에 대하여 De finibus bonorum et malorum〉에 관한 비평본이다. 덴마크 하원의원으로 선출된 뒤(1848) 교육장관(1848~52)과 하원의장(1856~63...
    출생 :
    1804. 8. 7, 덴마크 보른홀름
    사망 :
    1886. 12. 12, 코펜하겐
    국적 :
    덴마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형태론 形態論, morphology
    의미를 가진 형태를 최소의 단위로 한다는 점에서 소리를 다루는 음운론과 다르며, 한 단어의 짜임새를 다룬다는 점에서 단어간의 결합 관계를 다루는 통사론과 구별된다. 형태론은 크게 2가지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언어형식을 분석하여 형태소를 확인하고 그 형태소들의 성격을 파악하며 단어를 규정하는 것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