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멜라네시아 피진어

다른 표기 언어 Melanesian Pidgin

요약 영어에 바탕을 둔 피진어로서 멜라네시아에서 무역·선교 언어로 널리 쓰이는 언어.
Melanesian Pidgin English, Neo-Melanesian, Beach-lamar, Sandalwood English라고도 함.

어떤 지역에서는 크리올어로서 자리잡게 되어 몇몇 원주민어가 되었다.

또 멜라네시아 피진어는, 수백 가지 원주민어를 사용하며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한 파푸아뉴기니 섬에서 링구아 프랑카(국제혼성어)로 쓰이기도 한다. 멜라네시아 피진어의 어휘는 원래 영어에서 주로 파생했으며, 대부분 낱말들의 뜻이 확장·변화했고 합성어·신조어로 어휘가 더욱 확대되긴 했어도 1,500개 정도의 영어 낱말이 얼마 안 되는 기본 어휘의 90% 정도를 차지한다. 문법과 통사론 역시 언어습관과 멜라네시아 원주민어의 영향으로 많이 단순해지고 또 약간 변형되긴 했어도 영어 구조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발음과 강세는 영어가 아닌 언어들과의 접촉을 통해 영향을 받았음에 틀림없다. 강세는 'bíkos'(because), 'másin'(machine) 같이 낱말의 첫음절에 오게 되었다. 소리 체계도 바뀌어 f와 p 그리고 s, sh와 ch 소리가 구별되지 않아서 'this fellow'(이 친구)가 'dispela'로, 'finish'(끝내다)가 'pinis'로 되었고 'sharp'(날카로운)이 'sap'으로, 'chalk'(분필)가 'sok'가 되었다. th는 영어처럼 발음되지 않고 t, d 혹은 경우에 따라서 r가 되기도 한다. 보기를 들면 'this fellow'가 'dispela'로, 'three'(셋)가 'tri'로, 'other fellow'(다른 친구)가 'arapela'로 된다. 또한 두 모음 사이에서 b와 d는 종종 mb와 nd가 되어 'tabak'(담배) 대신 'tambak', 'sidaun'(앉다·앉아라·놓다) 대신 'sindaun'이 쓰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멜라네시아 피진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