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남학파 嶺南學派까닭은 이이므로, 기발이승(氣發理乘)은 가하나 이발기수(理發氣隨)는 불가하다고 이를 부인하였다. 그리고 사단칠정에 있어서 사단은 칠정을 포함할 수 없지만 칠정은 사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단은 칠정 중에서 선한 부분만을 지칭하는 것이므로 양분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보았다. 이이는 이와 기의 불상잡(不相雜...
- 시대 :
- 조선
- 성격 :
- 학문유파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
-
삼관수록 三官隨錄사항 5권 3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내용 권두에 총목이 있는데, 제1책은 『소학』, 제2책은 『대학』과 『논어』, 제3책은 『심경』과 사단칠정에 대해 선유들의 설을 인용하고, 자신의 견해를 첨가해 해설을 하고 있다. 서명은 이재(李縡)의 『삼관기(三官記)』에서 뜻을 취한 것이며, 고석은 원문의...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남이목
- 창작/발표시기 :
- 1897년
- 성격 :
- 주석서,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5권 3책
- 간행/발행 :
- 심상덕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우계집 牛溪集論)에 대해 주고받은 서한이다. 그는 사칠이기(四七理氣)에 대해 이이와 아홉 차례나 서신을 교환했으나, 4편은 유실되고 5편만이 실려 있다. 이 편지는 사단칠정(四端七情)에 대하여 이황(李愰)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지지하는 저자와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하는 이이가 6년 동안에 걸쳐 논쟁한...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성혼(成渾)
- 창작/발표시기 :
- 1621년, 1809년(중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책
- 간행/발행 :
- 성긍주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
신암문집 愼庵文集내용은 대략, 이황은 기대승의 발론에 영향을 받아 본래의 사단이지발(四端理之發)·칠정기지발(七情氣之發)의 해석을 사단(四端)은 이(理)에서 발하나 기(氣)가 따르고, 칠정(七情)은 기에서 발하나 이가 따른다는 이기호발(理氣互發)로 수정하며, 기대승은 이황의 영향을 받아 사단·칠정을 이·기로 분속할 수 없다는...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만각(李晩慤)
- 창작/발표시기 :
- 1904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0권 5책
- 간행/발행 :
- 유지호, 유정호, 유연박, 이중철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
곤재우득록 困齋愚得錄박순(朴淳)에 대한 절의문제로 논란이 있었던 점에 비추어볼 때, 「자각고저박사암서(自覺告諸朴思菴書)」가 관심을 끈다. 논리 가운데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은 사단·칠정을 이기와 선악으로 분설(分說), 구체적인 예를 들어 논변하고 있는데, 사단도 중절(中節)을 하지 못하면 불선이 되고, 칠정도 중절을 하면...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정개청(鄭介淸)
- 창작/발표시기 :
- 1688년(숙종 14)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5권 4책
- 간행/발행 :
- 나만성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조선 성리학의 거두로 추앙받다, 이황 퇴계(退溪), 李滉맞는 성리학을 창도했다. 26년의 나이 차를 넘어 기대승과 학문을 논하다 이황 유학의 진수는 무엇보다 이기심성론에 있다. 그의 이기심성론은 기대승과의 사단 칠정 논쟁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이 논쟁의 발단은 1553년(명종 8) 이황이 정지운(鄭之雲)의 《천명도설(天命圖說)》에 서문을 붙여 준 데서 비롯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