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원지

다른 표기 언어 柳元之
요약 테이블
출생 1598(선조 31)
사망 1678(숙종 4)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풍산. 자는 장경(長卿), 호는 졸재(拙齋). 할아버지는 영의정 성룡(成龍)이고, 아버지는 장령 여(袽)이다. 정경세(鄭經世)·유진(柳袗)의 문인이다.

황간현감·진암현감 등을 지냈으며, 1636년 병자호란 때 이홍조(李弘祚)가 안동에서 의병을 일으키자 이에 가담했다. 그는 병파(屛派)의 중심이 된 유성룡의 이생기설(理生氣說)을 계승함으로써 이황(李滉)의 학설을 따랐다. 즉 이(理)가 기(氣)를 낳고, 기는 형체를 이룬다고 보아 무한 영원한 이의 현현(顯顯)이 현실의 세계이고, 기는 이 현실세계 형성의 재료로서 있게 될 뿐이라고 했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이(李珥)의 이일분수설(理一分殊說)은 불교의 이론과 근사하다고 비판했다(→ 주리론).

사단칠정설에 대해서도 사단·칠정의 이발(理發)·기발(氣發)을 강조하면서 이이가 사단을 칠정에 복속시켜 기발이승일도(氣發理乘一途)로 설명했던 것을 반박했다. 예설(禮說)에 있어서는 서인 송시열(宋時烈)의 기년설(碁年說)을 반대하고 3년설을 주장했다. 상수·천문·지리·예악(禮樂)·율력(律曆)·의학·복서 등 여러 분야에 능통했다. 저서로 〈졸재집 拙齋集〉이 있다. 안동 화천서원(花川書院)에 제향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유원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