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개항 開港, open a port
    비롯해 전국의 신도 8,000여 명을 처형한 대원군의 천주교박해는 천주교전래 이래 최대의 것이었다. 이를 빌미로 프랑스가 함대를 파견함으로써 1866년 병인양요(丙寅洋擾)가 일어났지만, 대원군은 그것을 물리치고 쇄국정책을 더욱 고수했다. (→ 병인양요)같은 해 독일인 오페르트가 2번에 걸쳐 통상요구를 하다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옥수집 玉垂集
    등 형식이 다양하며, 영물시(詠物詩)보다는 서정시나 서사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서사잡절(西事雜絶)」은 1866년(고종 3) 병인양요의 전말을 45수의 절구로 읊은 것이다. 병인양요의 경위와 이에 대한 당시인의 인식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른 사람의 시에 차운(次韻)한 것이 적고, 자신의 독창적인...
    시대 :
    조선
    저작자 :
    조면호
    창작/발표시기 :
    1935년(등사)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3권 16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고려대학교 도서관, 규장각 도서
  • 절두산 순교성지 서울의 산티아고, 절두산 성지순례
    예부터 많은 시인들이 노래했다. 절경을 자랑하던 잠두봉이, 용두봉이, 가을두가 절두산(切頭山)이란 끔찍한 이름 하나로 불리기 시작한 건 1866년이다. 병인양요와 병인박해다. 1866년 초 대원군은 천주교를 금하는 법령(금압령)을 내렸다. 그로 인해 조선인 천주교 신자 수천 명과 프랑스 선교사 아홉 명이 새남터에서...
    소재지 :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96-1
    휴관일 :
    매주 월요일 휴관
    가는 법 :
    지하철 2·6호선 합정역 7번 출구. 왼쪽 양화진길 도보 10 분. 간선버스 602, 603, 604, 706번, 지선버스 5712, 5714, 6712, 6716, 7013A, 7013B, 7612번 합정역 하차. 마을버스 마포07번 종점(절두산 순교성지) 하차
    사이트 :
    http://www.jeoldusan.or.kr
    이용 시간 :
    오전 9시 30분~오후 5시. 매일 오전 10시, 오후 3시(월요일 제외) 미사
  • 민보집설 民堡輯設
    이래 230여년간이나 군사적인 태평세월을 보냈다. 그러나 1860년대에 접어들면서 북경(北京) 함락의 소문, 서양 선박들의 빈번한 표착(漂着)과 통상 요구, 병인양요 등 서양인들의 침략으로 인해 조정과 연해변은 심각한 위기의식과 소란에 빠지게 되었다. 군사적으로 거의 무방비 상태에 있던 조선 정부는 쇄국을 결의...
    시대 :
    조선
    저작자 :
    신헌
    창작/발표시기 :
    1867년(고종4)
    성격 :
    군서, 병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신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정수록 正粹錄
    서지적 사항 2권 1책의 활자본이다. 내용 권1에는 이수봉(李秀鳳)과 저자의 서문이 실려 있다. 이어 병인양요 때 흥선대원군이 신하들에게 맹세한 척사서와 위정척사비문을 수록한 다음 척사서찬병소서(斥邪書贊幷小序), 위정척사비송병서(衛正斥邪碑頌幷序), 척사연구병소서(斥邪聯句幷小序)를 함께 수록해 흥선대원군...
    시대 :
    근대
    저작자 :
    승명주
    창작/발표시기 :
    1874년(고종 11)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1책
    간행/발행 :
    아세아문화사(서벽외사해외수일본 15권으로 영인)
    분야 :
    역사/근대사
  • 오경석 吳慶錫
    역관으로 베이징에 갔다가 이듬해 3월에 귀국했는데, 이때 영국-프랑스 연합군의 베이징 점령사건으로 인한 중국의 대혼란과 위기를 체험했다. 1866년 5월 병인양요가 일어나기 직전 프랑스 동양함대의 조선침공이 준비되자 조선정부가 사태를 해명하고 정세를 탐지하기 위해 청국에 파견한 주청사(奏請使) 일행의 역관...
    출생 :
    1831(순조 31)
    사망 :
    1879(고종 16)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김포 문수산성
    적에게 보이지 않는 곳에 숨겨져 있는 성문 터)이 있었다. 지금은 해안 쪽 성벽과 문루가 없어졌고, 문수산 등성이를 연결한 성곽만 남아 있다. 1866년 병인양요 당시 이곳 문수산성에서 프랑스군을 맞아 격전을 벌였다. 병인양요로 인해 북문, 서문, 남문이 소실됐다. 소실되었던 북문은 1995년도, 남문은 2002...
    위치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문수산로 102-38
    문화재 지정 :
    사적 제139호(1964. 8. 29 지정)
  • 이항로 李恒老
    별제(掌苑署別提)에 제수되고, 전라도도사(全羅道都事)·지평·장령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거절했다. 1866년 프랑스 군함이 침입하여 강화도를 약탈한 병인양요가 일어나 이에 대한 대책을 놓고 조정에 의견이 분분할 때 노성한 사람의 의견을 듣자는 김병학(金炳學)의 제청에 따라 동부승지로 부름을 받자 입궐하여...
    출생 :
    1792(정조 16)
    사망 :
    1868(고종 5)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강화 삼랑성 정족산성(鼎足山城), 江華 三郞城
    에는 성내에 군창인 정족창(鼎足倉)을 설치하였고, 이후 사고 수호를 목적으로 군사 주둔지인 정족산성진(鼎足山城鎭)을 두었다. 변천 1866년(고종 3) 9월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강화부를 점령하자 10월 1일(음력) 순무천총(巡撫千摠) 양헌수(梁憲洙)가 포수와 군사 500여 명을 이끌고 김포의 덕포를 거쳐 강화 해협...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양화진 외국인선교사묘원 낯선 묘지의 따스한 이름들
    겪은 후 영조 때에 이르러는 나루터 양화진(楊花津)에 군사시설 양화진(楊花鎭)을 설치했다. 구한말에는 프랑스 군함 세 척이 양화진까지 침범했다. 이후 병인양요와 병인박해가 이어졌다. 절두산에서 무수한 천주교 신자들의 목이 잘렸다. 개화파의 거두 김옥균의 능지처참이 이루어진 곳도 양화진이다. 그 가까이에...
    소재지 :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144
    가는 법 :
    지하철 2·6호선 합정역 7번 출구. 왼쪽 양화진길. 간선버스 602, 603, 604, 760번, 지선버스 5712, 5714, 6712, 6716, 7011, 7612, 7013A, 7013B번 합정역 하차. 마을버스 마포07번 절두산 순교성지 하차
    사이트 :
    http://www.yanghwajin.net
    이용 시간 :
    오전 9시 30분~오후 5시(안내예약 가능, 일요일 제외)
  • 정한론 征韓論
    후 종래의 교린외교정책(交隣外交政策)을 지양하고 일본도 양이(洋夷)와 일맥상통한다며 척사척양(斥邪斥洋)과 같은 쇄국정책을 전개했다. 특히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의 침략을 물리친 뒤 척양정책을 더욱 추진하면서 청에 대해서는 종래와 같이 사대의 예를 지켜 유대를 강화하고, 일본에 대해서는 메이지유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기정진 奇正鎭
    토지겸병의 폐단 등을 지적했다. 그리고 군포의 혁파, 환곡의 면제, 민전 제한 등을 그 개선책으로 제기했으나 제출하지는 않았다. 1866년(고종 4)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육조소 六條疏〉라 불리는 첫번째 〈병인소 丙寅疏〉를 올려 외적을 방비하는 대책을 건의했다. 그해 7월 동부승지·호조참의, 10월에는 동지...
    출생 :
    1798(정조 22)
    사망 :
    1879(고종 16)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병인양요
병인양요 격문
병인양요(丙寅洋擾)
피에르 구스타프 로즈(Pierre-Gustave Roze)
강화 삼랑성 중 남문과 종해루 후면
제너럴 셔먼 호
강화도 초지진
병인양요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