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하와리즈 Khawarij
    모든 의견을 달리하는 자들을 비신도들, 즉 불신도들(kafirun)로 규정하고 그들에 대항하여 지하드(聖戰)를 벌여야 한다고 보았다. 하와리즈파 운동 중에도 바스라의 아자리카파는 이슬람 공동체로부터 스스로 분리해나온 가장 극단적인 분파로서, 모든 죄인들은 그 가족들까지도 죽여야 한다고 선언했다. 온건한 이바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종교
  • 캐러밴 대상, caravan
    순례 캐러밴의 경우는 두알히자의 달 8일에 메카에 닿을 수 있도록 시간을 조절했다. 오렌부르그 캐러밴은 러시아의 겨울 눈이 녹은 후에 부하라를 떠났고, 바스라 캐러밴은 늦가을 중동지역의 우기(雨期)가 끝난 후에 알레포를 떠났다. 하루에 8~14시간, 1시간에 3~5㎞ 정도를 여행했으며, 무더운 날씨에는 밤에 이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와시트 Wasit
    특히 우마이야 왕조(661~750) 때 중요한 역할을 했다. 702년 우마이야 왕조의 통치자 알 하자즈가 바스라와 쿠파의 중간 지점의 티그리스 강 서안에 세웠다. 원래 군부대 주둔지로 세운 이 도시는 알 하자즈의 시리아인 정예부대가 군기가 바로잡혀 있지 않은 이라크 병사들의 영향을 받아 흐트러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사르제크 (Gustave-Charles-)Ernest (Chocquin) de Sarzec
    수도 라가시를 발견했고, 메소포타미아 문명 중 가장 오래된 이 문명의 예술·언어·역사에 대해 많은 부분을 밝혔다. 1874년 오스만 제국 메소포타미아의 바스라(알바스라, 지금의 이라크)에서 프랑스 부영사로 근무하며 고대의 작은 조상들이 텔로에서 발견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유적을 단독으로 발굴할...
    출생 :
    1832, 프랑스 렌
    사망 :
    1901, 빈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제2차 페르시아 만 전쟁
    영국의 주도로 이라크에 대한 공습이 시작되었다. 이라크 군대와 의회는 급속히 무너졌다. 4월 9일, 미군이 수도 바그다드를 장악했고 영국군은 남부의 알 바스라를 점령했다. 그 후 며칠 내에 이라크의 모든 주요 도시가 함락되었으며 5월 1일까지 주요 작전이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점령군에 대한 게릴라 공격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전쟁
  • 제국의 발전
    지중해 방면에서는 1538년 스페인, 베네치아, 로마 교황의 연합함대를 프레베자 해전에서 격파하고 튀니지·알제리를 합병했다. 또한 동방에서는 바그다드·바스라에서 지배권을 확립해 메소포타미아를 지배했다. 이로써 지중해, 흑해, 홍해, 페르시아 만의 제해권을 장악하고 동서와 남북에 걸친 국제 무역로를 장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라위 rawi
    발전되어 몇몇 라위들은 시문창작 기술을 배워 시인이 되었다. 대단한 기억력을 자랑했던 그들은 결국 독립된 계층을 형성하게 되었다. 8세기에 이라크의 바스라와 알쿠파에 위대한 철학 학파들이 생겼을 때 학자들은 점차 사라져가는 고어(古語)와 시적 문체의 보존자인 이들을 찾았다. 그러나 기억력에 의존하는 방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알라위 Alawite
    알라위 사상은 10대 이맘 시대의 바스라 사람인 무하마드 이븐 누사이르 안 나미리(850[AH 236] 활동)의 가르침에 근거하고 있다. 이 종파는 함단 왕조(905~1004[AH 294~393]) 시대에 후사인 이븐 함단 알 하시비(957/968[AH 346/358 죽음])의 주도로 만들어졌고, 이때 알라위파는 알레포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종교
  • 알 무바라드 al-Mubarrad
    그의 저작 〈완벽한 것 al-Kāmil〉은 언어학의 보고로 꼽힌다. 바스라에서 문법을 공부한 뒤 860년에 사마라에 있는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 무타와킬의 부름을 받았다. 이듬해 왕(칼리프)이 살해되자 바그다드로 가 교사로서 일생을 보냈다. 시와 격언, 역사와 선지자 마호메트에 관한 전설인 하디스에서 발췌한 초록...
    출생 :
    826. 3. 25, 이라크 바스라
    사망 :
    898. 10, 바그다드
    국적 :
    아랍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디나와리 아부 하니파 아흐마드 이븐 다우드, ad-Dῑnawari
    헬레니즘과 아라비아의 인문주의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때문에 그는 이라크 학자인 알 자히즈(al-Jaḥiz)와 비교되고 있다. 이라크의 바스라 시와 알쿠파 시에서 언어학을 공부했다. 그곳에서 익힌 지식에 관한 체계적인 접근은 〈식물의 서 Kitāb an-nabāt〉에 잘 나타나 있는데, 이는 식물학에 관한 초기 이슬람교...
    출생 :
    815경
    사망 :
    895/902경
    국적 :
    페르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발레 Pietro della Valle
    계속했다. 1623년에는 인도 북서부 수라트에 도착했고, 다시 약 1년간 남서부해안을 따라가면서 캘리컷(코지코드)으로 향했다. 그는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바스라를 지나고 시리아 알레포로 향하는 사막길을 거쳐, 마침내 1626년 3월 28일 로마에 도착했다. 로마에서 발레는 교황 우르반 8세의 침실궁내관으로 임명되었다...
    출생 :
    1586. 4. 11, 이탈리아 로마
    사망 :
    1652. 4. 21, 로마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해외여행
  • 카림 칸 잔드(모하마드) Karim Khan Zand (Mohammad)
    기지를 세우는 것을 허락함으로써(1763) 이란을 외세에 개방했다. 그는 무역증대정책을 추진해가는 과정에서 1775~76년 인도와의 무역 중 상당부분을 이란에게서 빼앗아가던 페르시아 만의 오스만 투르크령 바스라 항을 공격해 빼앗았다. 카림 칸이 죽고 나서 발생한 내전은 1796년 카자르 왕조가 확고히 세워진 후...
    출생 :
    1705경
    사망 :
    1779. 3, 이란 잔드 시라즈
    국적 :
    잔드 왕조, 이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바스라
바스라(al-Baṣrah), Al Basrah Oil Terminal
이라크 바스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