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동쟁의조정법 勞動爭議調整法
    사업 20일)의 냉각기간이 경과되어야 한다. 이 법은 노동쟁의가 빈번하게 발생함으로써 야기되는 국민경제발전의 저해요소를 제거하고 노사관계의 항구적 정착이라는 산업평화의 유지를 위해 마련된 제도이지만, 근로자의 단체행동권의 제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그 제정과 운영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63년 4월 17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노동자 근로자, 勞動者
    관계를 지닌다. 노동력은 노동자에게는 자아실현의 수단인 직업이며, 노동자는 그 직업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접하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며 삶의 폭을 넓혀간다. 우리 헌법에는 노동자의 노동 삼권을 규정하고 있다. 노동삼권이란 근로 조건의 향상을 위하여 노동자가 가지는 단결권, 단체 교섭권, 단체 행동권을 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법외노조 法外勞組
    따라서 공식적으로 노동조합이라는 명칭을 쓸 수 없고, 노조가 보장받는 법적 권리를 행사할 수 없다.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은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등 근로자의 권리를 구체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노사관계를 규율하는 법이다. 법외노조와 관련해서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의 법외노조 변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권 ,
  • 한국의 노동관계법
    미국의 법제를 상당 부분 받아들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집단적 노동관계법에서 두드러진다. 그중 헌법에 보장되어 있는 근로자의 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 행사에 사용자의 침해로부터 이를 보호하기 위한 부당노동행위제도, 노사간의 분쟁을 조정하고 부당노동행위구제를 주업무로 하는 노동위원회제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노조법
    교섭이나 기타 단체행동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하고 구체적으로 보장하는 방법 등을 규정한 법을 말한다. 이 법은 근로자의 자주적인 단결권 ・ 단체교섭권과 단체행동권을 보장하며, 근로자의 근로조건을 유지 ・ 개선하고 근로자의 복지를 증진시키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근로자의 단체행동의 자유를 보장...
  • 청원경찰 請願警察, policeman on the special guard assignm..
    청원경찰의 보수단계별 재직기간을 단축하고 보수단계를 한 단계 더 신설하여 보수를 상향조정했다. 2018년에는 청원경찰에 대하여, 단체행동권은 제외하고 단결권과 단체교섭권을 인정하도록 관련 규정을 정비했다. 임무 청원경찰은 청원경찰의 배치 결정을 받은 기관의 장과 배치된 기관·시설 또는 사업장 등의 구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노동조합 관련 노무상담 뭉칠 권리가 있다
    집단을 결성하고 노동조합의 이름으로 사용자와 교섭을 벌이며, 필요한 경우 집단행동으로 사용자를 압박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노동 3권(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이라고 하는데 이는 헌법에서 정한 '기본권'입니다. 그만큼 '본질적인 권리'라는 뜻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노동조합 가입률은 매우 낮습니다. 앞...
  • 국가공무원법 國家公務員法
    수행에 지장이 없는 경우 겸직을 허가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집단행위의 금지의무에 관해서 헌법은 법률로 정하는 공무원 이외에는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국가공무원법>은 원칙적으로 공무원의 노동운동 기타 공무 이외의 일을 위한 집단적 행위를 금지...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유형 :
    제도
    시행일 :
    1963년 4월 17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한국의 노동조합
    항거, 분신자살하자 노동조합운동은 더욱 활발해졌다. 이에 대응해 정부는 1971년 10월유신을 단행하고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으로 노동자의 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유보시켜, 마침내 우리나라 노동운동은 암흑기를 맞았다. 결과적으로 정규적 노조활동은 위축되고 대신 그리스도교계에서 주도한 도시산업선교...
  • 일본국 헌법 제28조 日本国憲法第28条
    등에 관하여 '노동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 조문 내용을 그대로 읽으면 단체교섭권을 '단체 행동'의 한 예로서 언급한 것으로 보이지만, 해석상 단체교섭권과 단체행동권은 별개의 개념으로 본다. 또 조문에서 '근로자'의 조건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와 직접적인 노사 관계가 없는 근로자라고 하더라도 서로...
    도서 위키백과
  • 국가비상사태선포 國家非常事態宣布, Declaration of a state of nati..
    언론·출판, 집회·시위, 단체교섭 등 국민의 기본권을 대통령이 독자적으로 제약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또한 노동자들의 기본권리인 단체교섭권과 단체행동권을 주무 관청의 허가를 받아야만 행사할 수 있도록 만들어 사실상 두 기본권을 봉쇄해 버렸다. 신민당의 특별법 저지투쟁에도 불구하고, 공화당 의원...
    시대 :
    현대
    발생 :
    1971년 12월 6일
    성격 :
    대통령 권한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현대사
    관련 장소 :
    박정희
  • 단결권 團結權, right to organize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근로자와 그 단체에게 부여된, 단결의 조직 및 활동을 위시하여 단결체 가입 및 존립 보호를 위한 헌법상의 권리다. 단체교섭권 ・ 단체행동권(쟁의권)과 함께 근로기본권(노동기본권)이라고 한다. 헌법은 제33조에서 이를 보장하고,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 정법 제1조 등에서 자주적인 근로...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