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무왕 문무(文武), 文武王못하였다. 고구려의 부흥 운동 중에서도 특히 수림성(水臨城) 사람으로 대형(大兄)인 검모잠(劍牟岑)의 활동이 가장 두드러졌는데, 그는 보장왕의 서자인 안승(安勝)을 왕으로 맞이해 부흥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670년 안승은 검모잠을 죽인 다음 4,000호를 이끌고 신라로 망명하였다. 문무왕은 그를 금마저(金馬渚...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
모질메산성 왕궁평성(王宮坪城), 모질메山城유적의 행정구역 명칭은 오래 전부터 이곳에 왕궁이 있었다는 데에서 유래하고 있다. 왕궁리 유적에 관한 유래는 마한 기준도읍설, 백제 무왕천도 및 별도설, 안승 도읍설, 후백제 견훤도읍설 등 다양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지지』, 『익산읍지』 등의 문헌들에는 이곳이 ‘옛날 궁궐터’, ‘무왕이 별도...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신라 31대 왕, 신문왕 神文王船府)에 경(卿) 1명을 더 두는 등 중앙관청의 관직제도를 완성했다. 이와 함께 신문왕은 지방통치제도의 정비에도 힘썼다. 683년에는 보덕국왕(報德國王) 안승(安勝)을 경주로 불러들이고, 684년에 금마저(金馬渚,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이를 진압하고 금마군(金馬郡)을 설치함으로써 모든...
- 출생 :
- 미상
- 사망 :
- 692(신문왕 12)
- 국적 :
- 신라,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681년∼692년
- 능묘 :
- 경주 신문왕릉(慶州 神文王陵)
-
선화공주 善花公主학자 세키노(關野貞)는 미륵사의 창건을 7세기 후반으로 내려보는 입장에서, 삼국통일 직후에 신라가 고구려 부흥 운동군의 중심 인물이었던 고구려의 왕족 안승(安勝)을 회유해 신라 쪽으로 끌어들이는 한편, 이 곳에 보덕국(報德國)을 만들어 그를 국왕으로 삼고 문무왕의 여동생을 그의 아내로 삼았던 사실을 주목...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
연정토 淵淨土임무를 부여하여 당나라측과 협의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원기는 돌아왔으나 연정토는 그대로 당나라에 머물러 귀국하지 않았다. 연정토의 아들 안승(安勝)은 670년 고구려 유민집단을 이끌며 금마저(金馬渚)에 자리하였는데, 문무왕이 그를 고구려왕에 책봉한 데 이어 보덕국왕(報德國王)으로 책봉하였다...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인물
- 직업 :
- 귀족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안집 덕취(德聚), 安亻+集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덕취(德聚), 호는 상산(橡山). 안응회(安應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안승(安陞)이고, 아버지는 진사 안수성(安壽成)이다. 어머니는 이기서(李簊叙)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진사시에 합격한 뒤, 1738년(영조 14) 도사(都事)로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40년 지평(持平)이...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03년(숙종 29)
- 사망 :
- 미상
- 경력 :
- 수찬(修撰), 헌납(獻納), 승지, 대사간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순흥(順興,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