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무왕 문무(文武), 文武王
    못하였다. 고구려의 부흥 운동 중에서도 특히 수림성(水臨城) 사람으로 대형(大兄)인 검모잠(劍牟岑)의 활동이 가장 두드러졌는데, 그는 보장왕의 서자인 안승(安勝)을 왕으로 맞이해 부흥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670년 안승은 검모잠을 죽인 다음 4,000호를 이끌고 신라로 망명하였다. 문무왕은 그를 금마저(金馬渚...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대사
  • 모질메산성 왕궁평성(王宮坪城), 모질메山城
    유적의 행정구역 명칭은 오래 전부터 이곳에 왕궁이 있었다는 데에서 유래하고 있다. 왕궁리 유적에 관한 유래는 마한 기준도읍설, 백제 무왕천도 및 별도설, 안승 도읍설, 후백제 견훤도읍설 등 다양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지지』, 『익산읍지』 등의 문헌들에는 이곳이 ‘옛날 궁궐터’, ‘무왕이 별도...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선화공주 善花公主
    당시 신라와 백제의 관계로 볼 때 이 설화의 사실성은 회의적인 면이 많아, 5세기말 신라 왕족 비지의 딸과 백제 동성왕의 통혼이나, 7세기 중엽 보덕국왕 안승과 신라왕실의 통혼에 관련된 설화로 생각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백제가 무왕 때 익산지방에 일시 천도했으므로 전혀 허구적인 설화는 아닐 것으로 추측...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보덕국 報徳国, 报德国
    뜻한국사 보덕국(報德國), 또는 고려(高麗, 674년 ~ 684년)는 한반도 남부의 익산에서 고구려 부흥운동을 전개했던 국가이다. 신라의 문무왕이 고구려 왕족 안승(安勝)을 보덕국왕(報德國王)으로 책봉하고 안승을 따르는 고구려 유민들을 신라의 금마저(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 안치시키며 탄생한 나라다. 신라의 번속국...
    도서 위키백과
  • 신라 31대 왕, 신문왕 神文王
    船府)에 경(卿) 1명을 더 두는 등 중앙관청의 관직제도를 완성했다. 이와 함께 신문왕은 지방통치제도의 정비에도 힘썼다. 683년에는 보덕국왕(報德國王) 안승(安勝)을 경주로 불러들이고, 684년에 금마저(金馬渚,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이를 진압하고 금마군(金馬郡)을 설치함으로써 모든...
    출생 :
    미상
    사망 :
    692(신문왕 12)
    국적 :
    신라,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681년∼692년
    능묘 :
    경주 신문왕릉(慶州 神文王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연정토 淵淨土
    따라온 관리 24명을 경주와 그밖의 지방에 정착하도록 했으며, 12성 가운데 8성은 성과 주민이 온전한 상태였으므로 군사를 보내 지키도록 했다. 668년 원기와 함께 사신으로 파견되었는데 그는 그대로 당에 머물러 돌아오지 않았다. 고구려부흥운동 때 왕으로 추대되었다가 신라에 투항한 안승이 그의 아들이라고도...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고구려,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구려
  • 선화공주 善花公主
    학자 세키노(關野貞)는 미륵사의 창건을 7세기 후반으로 내려보는 입장에서, 삼국통일 직후에 신라가 고구려 부흥 운동군의 중심 인물이었던 고구려의 왕족 안승(安勝)을 회유해 신라 쪽으로 끌어들이는 한편, 이 곳에 보덕국(報德國)을 만들어 그를 국왕으로 삼고 문무왕의 여동생을 그의 아내로 삼았던 사실을 주목...
    시대 :
    고대/삼국/신라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대사
  • 익산시의 연혁
    했다는 설도 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영역이 되어 금마저로 불렸다. 신라가 삼국통일 후 668년(문무왕 8)에 이곳에 보덕국을 세우고 고구려의 종실인 안승을 왕으로 봉했다가, 683년(신문왕 3)에 보덕국을 폐지했다. 757년(경덕왕 16)에 금마군으로 개칭하고 옥야현(옛 이리시 일대)·우주현·야산현(낭산면 일대)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북도
  • 청구 靑丘
    산해경 山海經〉 권9 해외동경조에 처음 나타나는 옛 지명으로, 동방을 뜻하는 말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의하면 670년(문무왕 10) 고구려의 왕족인 안승을 고구려왕에 봉하고 그 책명문에 "공의 태조 중모왕(中牟王:고구려 시조 朱蒙)은 덕을 북쪽 땅에 쌓고, 공을 남쪽 바다에 세워 위풍이 청구에 떨쳤다"라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연정토 淵淨土
    임무를 부여하여 당나라측과 협의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원기는 돌아왔으나 연정토는 그대로 당나라에 머물러 귀국하지 않았다. 연정토의 아들 안승(安勝)은 670년 고구려 유민집단을 이끌며 금마저(金馬渚)에 자리하였는데, 문무왕이 그를 고구려왕에 책봉한 데 이어 보덕국왕(報德國王)으로 책봉하였다...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인물
    직업 :
    귀족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익산토성 오금산성, 益山土城
    오금산의 능선을 따라 축조한 토석혼축의 포곡식 산성으로서 둘레는 690m이다. 〈삼국사기〉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의하면 고구려 멸망 후 보덕국왕 안승이 지금의 익산인 금마저에 자리잡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그 사실 여부는 분명하지 않다. 산성의 입지는 동서로 뻗은 높이 100m 안팎의 지맥산상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북도 , 유적 , 백제
  • 안집 덕취(德聚), 安亻+集
    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덕취(德聚), 호는 상산(橡山). 안응회(安應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안승(安陞)이고, 아버지는 진사 안수성(安壽成)이다. 어머니는 이기서(李簊叙)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진사시에 합격한 뒤, 1738년(영조 14) 도사(都事)로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40년 지평(持平)이...
    시대 :
    조선
    출생 :
    1703년(숙종 29)
    사망 :
    미상
    경력 :
    수찬(修撰), 헌납(獻納), 승지, 대사간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순흥(順興,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