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안집

다른 표기 언어 安亻+集 동의어 덕취(德聚), 상산(橡山)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출생 1703년(숙종 29)
사망 미상
경력 수찬(修撰), 헌납(獻納), 승지, 대사간
유형 인물
직업 문신
성별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순흥(順興,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

요약 조선후기 헌납, 승지,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덕취(德聚), 호는 상산(橡山). 안응회(安應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안승(安陞)이고, 아버지는 진사 안수성(安壽成)이다. 어머니는 이기서(李簊叙)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진사시에 합격한 뒤, 1738년(영조 14) 도사(都事)로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40년 지평(持平)이 되고 다음해에 정언(正言)이 되었다가, 1744년 장령(掌令)에 이어 필선(弼善)·집의(執義) 등을 역임하였다. 1746년 동지 겸 사은사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 무렵 사치가 극성하므로, 문단(紋緞)이라는 비단의 유입을 금지하도록 주장하여 왕의 금지령이 내리게 되었다.

그 뒤 수찬(修撰)·헌납(獻納)·승지를 거쳐 1754년에 대사간이 되었고, 1757년 고부사(告訃使)로 또다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64년 대사간으로 빈객을 접대하는 데에 나아가지 않아 흥덕현감으로 좌천되었다가, 다시 대사간·좌윤·병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774년 등준시(登俊試)에 을과로 급제하여 공조판서에 오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그뒤 벼슬이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영조실록(英祖實錄)』
  • ・ 『국조방목(國朝榜目)』
  • ・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명현화상 중 안집 초상


[Daum백과] 안집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