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선화공주

다른 표기 언어 善花公主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미상
국적 신라, 한국

요약 신라 제26대 진평왕의 셋째 공주로 매우 아름다웠다고 하며, 서동설화의 주인공이다.

신라 제26대 진평왕의 셋째 공주로 매우 아름다웠다고 한다.

서동은 백제 무왕이 즉위하기 전에 마[薯]를 캐어 팔아 이름을 서동이라 했는데, 선화공주의 미모가 뛰어나다는 말을 듣고 신라 수도로 찾아갔다. 마를 가지고 아이들을 꾀어, 선화공주가 자신과 몰래 정을 통하고 있다는 노래를 지어 부르게 했더니 공주는 귀양을 가게 되었다. 귀양길에 서동이 나타나 서로 알게 되고 관계를 맺게 되었다. 함께 백제로 가서 서동이 알고 있던 장소에서 황금을 캐어 용화산 사자사에 있던 지명법사(知命法師)의 신통력을 빌어 하룻밤 사이에 신라 왕궁으로 날아갔다. 진평왕은 그 신통력을 이상히 여겨 항상 안부를 물었고, 서동은 이로 말미암아 인심을 얻어 왕위에 올랐다.

선화공주는 왕비가 된 후 어느날 사자사로 가는 길에 용화산 아래의 큰 연못에서 미륵삼존불이 나타나므로 그곳에 절을 지을 것을 청했다. 무왕이 허락하니 지명법사의 신력으로 못을 메우고 미륵불 3상(像)과 전(殿)·탑(塔)·낭무를 각 3곳에 세워 절 이름을 미륵사라 했다. 이때 진평왕은 기술자들을 보내 도왔다고 한다.

미륵사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당시 신라와 백제의 관계로 볼 때 이 설화의 사실성은 회의적인 면이 많아, 5세기말 신라 왕족 비지의 딸과 백제 동성왕의 통혼이나, 7세기 중엽 보덕국왕 안승과 신라왕실의 통혼에 관련된 설화로 생각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백제가 무왕 때 익산지방에 일시 천도했으므로 전혀 허구적인 설화는 아닐 것으로 추측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선화공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