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지금의 익산시는 옛 익산군, 여산도호부, 용안현, 함열현이 통합되어 이루어진 곳이다. 옛 익산군 지역은 고조선의 준왕이 위만의 세력을 피해 내려와 나라를 세우고 마한이라고 했다는 설도 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영역이 되어 금마저로 불렸다. 신라가 삼국통일 후 668년(문무왕 8)에 이곳에 보덕국을 세우고 고구려의 종실인 안승을 왕으로 봉했다가, 683년(신문왕 3)에 보덕국을 폐지했다. 757년(경덕왕 16)에 금마군으로 개칭하고 옥야현(옛 이리시 일대)·우주현·야산현(낭산면 일대)을 영현으로 관할했다.
고려시대인 1018년(현종 9)에 전주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1344년(충혜왕 복위 5)에 익주로 승격되었다. 조선초의 군현제 개편 때 익산군이 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익산의 별호는 마주였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해 1895년에 전주부 익산군, 1896년에 전라북도 익산군이 되었다.
1906년 월경지 정리 때 전주의 비입지인 동일면·북일면·남일면·남이면·서일면과 두입지인 우북면이 편입되어 면적이 크게 넓어졌다. 1914년의 군면 폐합으로 용안군·함열군·여산군이 익산에 합병되어 익산군은 면적이 더욱 확대되었다. 이때 면의 폐합도 이루어져 익산군 북일면은 그대로, 남일면·동일면이 익산면으로, 서일면·남이면이 오산면으로, 두촌면·춘포면이 춘포면으로, 율촌면·기제면·구문천면이 삼기면으로, 두천면·지석면이 팔봉면으로, 미륵면·군내면이 금마면으로, 우북면·제석면이 왕궁면으로 통합되었다.
용안군은 5개면이 용안면으로, 함열군은 10개면이 함라면·황등면·웅포면·성당면·함열면으로, 여산군은 11개면이 여산면·낭산면·황화면·망성면으로 통합되어 익산군에 합속됨으로써 48개면으로 구성된 큰 군이 되었다. 1931년에 익산면이 익산읍이 되었다가 곧 이리읍으로 개칭되고, 1947년에 이리읍이 부로 승격되었다가 1949년에 시로 개칭되었다. 1963년에 황화면이 충청남도 논산군으로 이관되어 연무읍이 되고, 1974년에는 북일면이 이리시에 편입되었으며, 1979년에 함열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팔봉면은 1983년에 이리시로 편입되었으며, 1986년에 용안면 용동출장소가 용동면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지방자치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전국행정구역개편으로 이리시와 익산군이 하나로 통합되어 익산시라는 새로운 형태의 도농통합시를 이루었다(→ 여산도호부, 용안현, 이리시, 함열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라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