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익산토성

다른 표기 언어 益山土城 동의어 오금산성, 五金山城, 보덕성, 報德城, 사적 제92호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에 있는 백제의 성.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에 있는 백제 성. 사적 제92호. 오금산성·보덕성이라고도 한다. 오금산의 능선을 따라 축조한 토석혼축의 포곡식 산성으로서 둘레는 690m이다.

〈삼국사기〉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의하면 고구려 멸망 후 보덕국왕 안승이 지금의 익산인 금마저에 자리잡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그 사실 여부는 분명하지 않다.

산성의 입지는 동서로 뻗은 높이 100m 안팎의 지맥산상에 남향하는 수구를 막고, 동쪽·서쪽·북쪽 3면에는 대략 능선을 따라 성벽을 축조했다. 1980, 1984년에 전주시립박물관과 원광대학교 마한·백제 문화연구소에서 시굴·조사했다. 조사 결과 수구 안 '테라스'의 앞변은 토루를 판축하고 그 앞뒷면에 할석을 쌓은 호석렬이 있고, 그 일부에서는 앞면에 입주공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성 안에서는 토기조각과 기와조각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백제 말기,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로 구분된다. 이러한 토기와 기와류는 그 분포지점이 시대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다.

백제의 것은 수구 안의 광장, 남문터와 동남 모서리 대지에 밀집되어 있고, 통일신라시대의 것은 동남대지에서 출토되는 경향이다.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의 유물은 수구에서는 출토된 예가 없다. 유물을 통해 볼 때 그 축조시기는 6세기말 또는 7세기초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익산토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