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미상 |
---|---|
사망 | 692(신문왕 12) |
국적 | 신라, 한국 |
종교 | 불교 |
재위 | 681년∼692년 |
능묘 | 경주 신문왕릉(慶州 神文王陵) |
요약 신라 제31대 왕. 문무왕의 장자로 이름은 정명 또는 명지, 자는 일초. 재위 초반인 681년에 김흠돌 등의 모반을 평정하고 귀족들에 대한 대규모 숙청을 단행하여 절대왕권을 확립했고, 국학을 세워 유교적 정치 질서를 수립했으며 관리제도를 정비했다. 지방통치제도도 9주5소경으로 개편했다. 이러한 정책 기조 위에서 지방제도를 조정했고 귀족들의 녹읍을 폐지하여 매년 세조를 지급하게 함으로써 국왕을 정점으로 한 중앙집권화를 추진했다.
정의
신라 제31대 왕(재위 681∼692년). 성은 김씨, 이름은 정명(政明), 명지(明之)라고도 한다. 자는 일초(日招). 문무왕(文武王)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자의왕후(慈儀王后)이다.
즉위하자마자 절대왕권의 강화와 정치적 안정을 위해 김흠돌의 모반을 기회로 귀족들에 대한 숙청을 단행했다. 이어 국학을 설치하고 관리제도를 정비했으며, 지방통치제도의 정비에도 힘써서 9주5소경으로 개편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등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다.
초기 생애
665년(문무왕 5)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태자로 있을 때 소판(蘇判) 김흠돌(金欽突)의 딸을 비(妃)로 맞았으나 김흠돌이 반란을 일으키자 내쫓은 뒤 683년에 일길찬(一吉飡) 김흠운(金欽運)의 딸을 비로 맞았다. 즉위 이전의 기록은 별로 남아 있는 것이 없다.
주요 업적
신문왕대는 통일신라의 국가 제도가 완비되었으며, 귀족들을 누르고 국왕의 권위가 확립된 시기였다. 즉위초인 681년에 김흠돌 등의 모반을 평정하고, 이를 사전에 알고도 고하지 않았다 하여 병부령 이찬(伊飡) 김군관(金軍官)과 그 아들을 자살하게 하는 등, 귀족들에 대한 대규모 숙청을 단행했다. 이러한 대규모의 숙청을 통해 신문왕은 절대 왕권을 확보하여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려 했다.
이어 682년에는 위화부령(位和府令) 2명을 두어 관리를 선발하고 추천하는 일을 맡겼고, 유교적 정치이념에 입각하여 국학을 세웠다. 같은 해에 공장부감(工匠府監) 1명과 채전감(彩典監) 1명을 두었고, 685년에는 집사부(執事部)와 조부(調府)에 실무자인 사지(舍知)를 두었으며, 688년에는 선부(船府)에 경(卿) 1명을 더 두는 등 중앙관청의 관직제도를 완성했다. 이와 함께 신문왕은 지방통치제도의 정비에도 힘썼다.
683년에는 보덕국왕(報德國王) 안승(安勝)을 경주로 불러들이고, 684년에 금마저(金馬渚,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이를 진압하고 금마군(金馬郡)을 설치함으로써 모든 영역이 신라의 직접 지배하에 들어오게 되었다. 685년에는 남원소경(南原小京,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과 서원소경(西原小京, 지금의 충청북도 청주), 청주(菁州, 지금의 경상남도 진주)와 완산주(完山州,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를 설치함으로써 지방통치조직인 9주5소경이 완비되었다. 통일기의 군제인 9서당도 신문왕대에 완성되었다.
이러한 정책 기조 위에서 686년에는 지방제도를 조정했고, 689년에는 귀족들의 녹읍을 폐지하고 매년 세조(歲租)를 지급하게 함으로써 국왕을 정점으로 한 중앙집권화를 추진했다.
달구벌(達句伐, 지금의 대구광역시)로 천도하려 했으나 실현하지는 못했다. 경주 낭산 남동쪽에 능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