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짓날의 소박한 별미 ‘팥죽 먹고… 새알 먹고…’나트륨을 배설시켜 혈압을 낮춰주고 이뇨를 촉진하여 부기를 해소하고 팥의 섬유소는 변통을 촉진하여 변비를 해소하게 한다. 그 밖에 떫은 맛의 일종인 사포닌, 팥 고유의 붉은색을 띠게 하는 안토시아닌 성분이 또 다른 영양적 열쇠를 쥐고 있다. 사포닌은 혈전을 용해하여 혈류를 용이하게 하는데 안토시아닌 역시...
-
도라지 길경(桔梗)섬유질이 많고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해 다이어트에 좋으며, 기침, 가래, 염증을 삭혀주는 등 기관지 및 호흡기 건강에도 좋다. 또한 비타민, 무기질, 사포닌, 칼슘 등이 풍부해 인후통, 기관지염, 편도선염, 천식 등에 두루 쓰이며 두통, 오한 등에도 효과가 있다. 음식궁합 도라지는 꿀과 궁합이 잘 맞는다. 꿀은...
- 분류 :
- 농산물 〉 채소류 〉 산채류
- 원산지 :
- 경기 여주/이천/김포, 강원 홍천/삼척/횡성, 인천 강화, 충남 금산/논산, 전북 무주, 전남 화순/해남, 경남 산청, 경북 영주 등
- 생산시기 :
- 상시 생산
- 생산량 :
- 2012년 6,111톤, 2013년 5,704톤
- 가공식품 :
- 차류, 청류, 정과, 분말 등
-
람부탄 rambutan, ramboutanier〈프랑스어〉독이 없다. 갑작스런 이질이나 배가 냉한 증세를 치료한다. 그리고 열매껍질은 소염, 살균 효능이 있어 구강염, 이질에 사용하기도 한다. 열매껍질은 사포닌 성분을 함유하며 람부탄의 뿌리, 나무껍질, 잎은 의약품이나 염료로 사용된다. 식용법 람부탄을 칼로 반쯤 칼자국을 내어 양쪽으로 쪼개면 그 속에 긴 타원형의...
- 분류 :
-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
- 원산지 :
- 말레이 반도(추정)
- 학명 :
- Nephelium lappaceum L.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열매껍질, 뿌리, 나무껍질, 잎
- 외국어명 :
- nefelio〈이탈리아어〉, rambután〈스페인어〉, rambutan〈필리핀어〉, nga(응어)〈타이어〉, rambutan〈인도네시아어〉, rambutan〈말레이어〉, ランブタン(람부탄)〈일본어〉
-
제비꽃 오랑캐꽃, Manchurian Violet등 부인병과 중풍·이질·설사·진통·인후염·황달·독사교상 등의 치료에 약재로 사용하며, 발육촉진제·간장기능촉진제로 쓰인다. 영양 성분 식이섬유, 사포닌, 비타민, 루틴, 페놀염 글리코사이드 조리법 봄철인 4월 중하순 쯤에 나오는 어린 잎을 끓는 소금물에 살짝 데쳐서 쓴 맛을 제거한 다음 나물로 무쳐...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측막태좌목 > 제비꽃과 > 제비꽃속
- 원산지 :
- 아시아 (일본,중국,대한민국)
- 서식지 :
- 들
- 크기 :
- 약 10cm
- 학명 :
- Viola mandshurica W.Becker
- 꽃말 :
- 성실, 겸양
- 용도 :
- 무침용, 볶음용, 약용 등
-
시금치 적근채(赤根菜), spinach뿌리까지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시금치를 데칠 때 영양소와 선명한 색상을 지키려면 소금을 약간 넣되 뚜껑을 열어놓아야 한다. 뚜껑을 열면 색이 살아나고 몸에 해로운 유기산(수산)도 날아간다. 영양성분 시금치에는 사포닌, 비타민 C, 베타카로틴 등의 영양소가 풍부해 면역력 강화 및 항암 치료에 효과적이다...
- 분류 :
- 농산물 〉 채소류 〉 엽채류
- 원산지 :
- [봄·여름] 경기 남양주/이천/포천, [가을·겨울] 전남 신안, 경남 남해, 경북 포항, 경기 포천
- 생산시기 :
- 봄 3~5월, 여름 6~11월, 가을·겨울 11~2월
- 생산량 :
- 2013년 46,389톤(노자), 44,727톤(시설)
-
검은콩함량이 더욱 증가한다. 고문헌에 따르면 검정콩은 해독효과가 있어 한방에서는 검정콩과 팥을 볶아 가루로 만들어 독을 제거하는데 사용한다. 콩의 사포닌 성분은 체내 요오드 성분을 배출시키는 경향이 있으니 다시마, 미역 등을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즉, 된장국에 미역을 넣거나 콩조림을 할 때 다시마를 얇게 채...
- 분류 :
- 농산물 〉 두류
- 원산지 :
- 충남 태안, 충북 제천, 강원 고성/양구
- 생산시기 :
- 10~11월
- 생산량 :
- 평년 134,209톤
- 가공식품 :
- 두부, 강정, 장류, 막걸리, 두유, 미숫가루, 죽 등
-
봄나물의 제왕, 두릅하므로 이른 봄부터 나온다. 두릅은 비교적 단백질이 많으며, 섬유질과 칼슘, 철분,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등이 풍부하다. 특히 쌉쌀한 맛을 내는 사포닌 성분이 혈액순환을 돕고, 혈당을 내리고 혈중지질을 낮추어 준다, 두릅은 이렇게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할 뿐 아니라, 또한 간에 쌓인...
-
도라지 길경채, balloonflowerP. grandiflorum var. duplex for. leucanthum H.Hara)는 흰색 꽃이 피는 겹도라지이다. 활용 뿌리는 섬유질이 주요성분이며 당질·철분·칼슘이 많고 또한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약재로도 쓰인다. 100년생 도라지는 산삼과 같은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캐서 껍질을 벗기거나 그대로 햇볕에...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초롱꽃과 > 도라지속
- 원산지 :
- 아시아 (대한민국,중국,일본)
- 서식지 :
- 산이나 들
- 크기 :
- 약 40cm ~ 1m
- 학명 :
- Platycodon grandiflorum
- 꽃말 :
- 기품, 따뜻한 애정
-
비비추 옥잠화, Hosta longipes그늘진 곳이 적당하다. 번식은 씨앗을 파종하거나 포기나누기로 가능하다. 종자 번식인 경우에는 가을에 잘 익은 씨를 따서 바로 파종한다. 특징 인삼의 성분인 사포닌이 소량 들어 있어서 피부괴양, 결핵, 진통, 혈액순환, 항균에 효능이 있다. 철분과 비타민이 다량 들어 있어서 위통, 치통, 인후통 등의 진통제로도...
- 분류 :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아스파라거스목 > 용설란과 > 옥잠화속
- 원산지 :
- 아시아 (중국,대한민국,일본)
- 서식지 :
- 산지의 냇가
- 크기 :
- 약 30cm ~ 40cm
- 학명 :
- Hosta longipes (Franch. & Sav.) Matsum.
- 꽃말 :
- 좋은 소식, 신비로운 사람, 하늘이 내린 인연
- 용도 :
- 무침용, 생식용, 볶음용, 약용 등
-
람부탄 rambutan활성 성분을 이용해 피부 보습과 재생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이 개발되기도 했다. 특징 단맛과 상큼한 맛, 살짝 질깃한 질감을 가지고 있다. 피로회복에 좋은 사포닌과 타닌이 들어있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에 탁월한 효능을 보이고, 항암에도 도움이 된다. 칼슘이 풍부하여 빈혈에도 효과가 있다. 고르는 법 고유의...
- 분류 :
- 과일
- 원산지 :
- 아시아 (말레이시아)
- 서식지 :
- 열대지방
- 꽃색 :
- 녹색
- 크기 :
- 약 10m ~ 15m
- 학명 :
- Nephelium lappaceum
- 용도 :
- 생식용, 음료용 등
- 개화기 :
- 4∼6월
-
만삼 蔓蔘, Codonopsis pilosula만삼’ 또는 ‘당삼’이라고 하는데, 한방에서 강장·거담·구갈·진해 등에 쓰이며 더덕처럼 날것으로 먹거나 구워 먹기도 한다. 맛은 달고 평이하며 사포닌, 당류, 소량의 알칼로이드 등을 함유하고 있다. 형태 크기는 약 1~2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7~8월에 종 모양의 자주색 꽃이...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초롱꽃과 > 더덕속
- 원산지 :
- 아시아 (중국,북한)
- 서식지 :
- 깊은 산속
- 크기 :
- 약 1m ~ 2m
- 학명 :
- Codonopsis pilosula
- 꽃말 :
- 행운, 효심
- 용도 :
- 무침용, 볶음용, 약용 등
-
과라나 guarana있다. 활용 남아메리카에서는 씨를 구워서 자극성 있는 음료로 만드는데 음료는 쓰고 떫은 맛이 나며 커피 냄새가 약간 난다. 이 음료에는 같은 양의 커피보다 약 3배 정도 많은 카페인이 들어 있다. 과라나에는 또한 탄수화물인 사포닌과 녹말, 껌, 몇 가지 휘발성 기름, 맵고 휘발성이 없는 식물성 기름들이 들어 있다...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무환자나무목 > 무환자나무과
- 원산지 :
- 남아메리카
- 서식지 :
- 아마존강 유역
- 크기 :
- 약 10m
- 학명 :
- Paullinia cup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