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농노가 사회 구성원의 대다수였기 때문에 중(衆)이 사람이 많음, 즉 다수의 뜻을 갖게 된 것이다. 따라서 ‘서(庶)’는 서민(庶民)이라는 뜻으로 바뀌었다. 『묵자(墨子)』라는 책에 나오는 ‘서국(庶國)’은 백성이 많은 나라라는 뜻이다. 왜냐하면 ‘민(民)’이 인구(人口)의 대다수이므로 대개는 ‘서민(庶民)’이라...
    유형 :
    여러 가지 호칭
  • 소리상표 sound mark
    함부로 쓰지 못한다. 2017년 11월, 국내 개그맨들의 유행어가 소리상표로 최초로 등록돼 화제가 됐다. 개그맨 김준호의 “케어해 주자나”, 김대희의 “밥 묵자”, 컬투의 “그때그때 달라요”와 “쌩뚱맞죠” 등 4개다. 앞으로 위 4가지 유행어들을 상업 용도로 사용하게 될 경우, 해당 개그맨들에게 허락을 받든지...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 성리연원촬요 性理淵源撮要
    情意志氣理命), 하늘과 사람의 심성정(天人心性情), 마음의 허령(虛靈)과 지각(知覺)·신명이란 항목을 두어 설명했으며, 다음에는 석가·노자·양주(楊朱)·묵자에 대한 항목을 두어 이들의 학설을 비판하고 폐단을 지적했다. 다음에 기송(記誦)·훈고(訓詁)·사장(詞章), 권모술수(權謀術數), 논성기(論性氣)를 두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교 , 종교
  • 명실 名實, name versus reality
    가리킨다. 명실은 곧 개념과 사물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말한다. 공자는 '정명'(사회등급과 명분을 바르게 함)으로 등급제도를 확고히 하자고 주장했다. 묵자는 '취실여명'(실제를 취하여 이름을 부여함)을 주장하여 '명'이 현실의 존재를 반영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관자 管子〉 구수편에서는 "명은 실에서 생겨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강기동 강기주(姜基周), 姜基東
    나타나 일본인이 경영하던 오처루(吾妻樓)에서 술을 마시다 일본경찰에 붙잡혔다. 그 해 2윌 17일에 서울로 이송, 경무총감부에 수금되었는데 팔다리에 태극기와 극기(克己)라는 글자를 묵자하고 옥중항쟁을 하다가 용산 일본군 행형장에서 총살당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
    출생 :
    1884년(고종 21)
    사망 :
    1911년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군대해산
    직업 :
    의병장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진주(晉州)
  • 카메라 옵스큐라 Camera obscura
    사용하는 ‘카메라’라는 말의 어원이기도 하다. 일식을 관찰하는 방법 수천 년 전부터 인류는 이 신기한 현상을 이미 알고 있었다. 적어도 중국의 사상가 묵자(470~390 BC)나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384~322 BC) 등이 이 현상을 알고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10세기의 아라비아 학자인 알하젠(965~1039 AD)은...
    종류 :
    핀홀 카메라(Pinhole Camera)
  •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과 인문과학, 노자 老子
    사상과 정치 사상이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도(道)’의 철학 개념은 노자의 설에 의하면 자연 자체, 즉 만물의 기원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했다. 공자나 묵자처럼 인류를 위하여 동분서주하는 사람에 대하여 그것은 쓸데없는 짓으로 ‘무위자연(無爲自然)’만이 인간의 본성에 합치하는 도라고 하였다. 그의 사상...
  • 한비자 韓非子
    법가(法家)의 사상을 잘 보여주는 책이다. 법가는 전국시대에 등장한 제자백가(諸子百家) 가운데 공자(孔子)의 유가(儒家), 노자(老子)의 도가(道家), 묵자(墨子)의 묵가(墨家)와 함께 후대까지 큰 영향을 미친 사상이었다. 이 책은 법치주의를 중시하는 한비의 철학에 따라 법(法), 세(勢), 술(術)의 조화를 통해 강력...
  • 소리상표
    있다. 2017년 11월에는 개그맨들의 유행어가 소리상표로 최초로 등록돼 화제가 됐다. 등록된 유행어는 개그맨 김준호의 “케어해 주쟈나”와 김대희의 “밥 묵자”, 컬투의 “그때그때 달라요”와 “쌩뚱맞죠” 4개다. 이 소리상표로 등록된 유행어를 상업적으로 사용할 경우 일정 금액의 사용료를 내야하고, 무단 도용...
  • 운양집 雲養集
    있다. 권15·16은 추도문·애사·고유문·잡저·잡문인데, 〈용언 庸言〉은 〈중용 中庸〉의 서언이며, 〈팔가섭필 八家涉筆〉은 한유(韓愈)의 불교·묵자 배척에 대해 찬양한 것이다. 〈돈화론〉은 성의 본선 등을 언급하고 있다. 그밖에 〈불교찬하회취지서〉·〈용인불한문지교 用人不限門地敎〉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김용배 만학(晩學), 金龍培
    교단에서의 강의는 주로 동양철학 분야였으며, 한국철학 부문에서는 서경덕(徐敬德)·이황(李滉)·이이(李珥)에 해박하였는데, 세계실학사에서 원조를 묵자(墨子)로 보고, 중시조는 이이라고 주장하였다. 1956년에 발간한 저술 등에서 자신의 평소 철학적 견해를 담은 이른바 과학적 세계관, 정치역사관·에너지 철학 등...
    시대 :
    현대
    출생 :
    1895년(고종 32)
    사망 :
    1961년
    경력 :
    동국대학교 교수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철학신강, 미학예술론, 예술의 근본문제, 최신과학적 세계관, 동양철학사대관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이학집변 異學集辨
    柳厚榮)이 소장하고 있다. 『전주유씨수곡파지문헌총간』 제6집에 영인 수록되어 있다. 권1은 총론으로 노자(老子)·열자(列子)·장자(莊子)·양주(楊朱)·묵자(墨子)·관자(管子)·순자(荀子)·양웅(揚雄)·공총자(孔叢子)·문중자(文中子)·도가(道家) 등에 대한 변론이 실려 있다. 권2·권3은 선불(禪佛)에 대하여...
    시대 :
    조선
    저작자 :
    유건휴
    성격 :
    유학서, 비평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권 5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유후영(개인소장)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6건

묵자
묵자의 학설을 모은 《묵자한고(墨子閒誥)》
묵자(墨子)
묵자 우표
공자, 석가모니, 노자
묵자(墨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