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중국 철학의 용어.
명은 명칭·개념을 가리키고 실은 실재적·객관적 사물을 가리킨다. 명실은 곧 개념과 사물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말한다. 공자는 '정명'(사회등급과 명분을 바르게 함)으로 등급제도를 확고히 하자고 주장했다. 묵자는 '취실여명'(실제를 취하여 이름을 부여함)을 주장하여 '명'이 현실의 존재를 반영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관자 管子〉 구수편에서는 "명은 실에서 생겨난다"고 주장했고, 〈장자 莊子〉 소요유편에서도 "이름이란 실제의 손님이다"라고 했다. 명실문제의 논쟁은 논리학과 인식론의 문제를 토론내용으로 했던 전국시대 명변 사조를 형성했다. 후기 묵가, 유가인 순자(筍子), 특히 혜시·공손룡 등의 명가들은 모두 각자의 명실론을 밝혔다. 공손룡의 〈명실론 名實論〉은 명실관계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저서이다. 명과 실의 논쟁은 개념·판단·추리연구 등을 추진시켜 중국 고대 명학과 논리학의 성립을 가능하게 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동양철학
동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