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광역 네트워크 완(WAN), wide area network
    수 있는데, 전화망·텔렉스망·패킷 교환망·데이터회선 교환망·ISDN 등의 공중통신망이 이용되는 수가 많다. 패킷 교환망과 ISDN은 OSI 참조 모델과의 정합성이 높아, 특히 OSI의 하위의 3층(물리층, 데이터링크층, 네트워크층)에 완전히 준거하고 있다. 또, 텔렉스망·패킷 교환망·데이터 회선 교환망 등의 상호접속...
    분야 :
    정보통신
  • 코히어린스(텍스트의) coherence
    표현의 배후에 있는 의미적인 연관이나 추론, 연상 등에 의해 담화나 텍스트의 정합성을 보증하는 성질. 이에 대해 형식적인 연관에 의한 정합성을 연결성이라 한다. 글자 그대로의 의미로서는 앞뒤의 표현 사이에 직접적인 맥락이나 관련성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담화나 텍스트도, 이 의미적인 연관에 의해 관련된다...
    분야 :
    계산언어학
  • 가례집요 家禮輯要
    내용을 본문의 층위가 아닌 본주의 층위에 일괄 반영한다. 둘째, 『가례』의 본문에 대한 『상례비요』의 보완을 주자 정론의 반영 또는 『가례』의 내적 정합성의 확보라는 원칙하에 수용한다. 셋째, 주자의 정론임에도 『상례비요』에서 보완하지 못한 것을 적극 반영한다. 세 가지 방향상은 『상례비요』의 보완을...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사회/가족
  • 연결성 connectivity
    반드시 임의의 상태에서 임의의 상태로 적당한 입력계열에 의해 천이된다고는 할 수 없다. 〈참조어〉 강연결성 [3] 계산언어학 분야. 담화나 텍스트의 정합성을 보증하기 위해 존재하는 형식적인 연결을 말한다. 의미적인 연결이나 추론, 연상 등에 의한 정합성을 보증하는 수미 일관성에 대비시킨다. 연결성을 뒷받침...
  • 진리 참, 眞理
    따르면 진리는 명제들의 일관성과 동일한 것으로, 하나의 명제는 선택된 명제들의 집합(corpus)과 정합하지 않을 때 거짓이고 그 집합 속에 명제가 정합성을 포함할 때 참이 된다. 이외에 프로타고라스에 의한 진리의 인간척도설, 만민의 일치(consensus gentium)가 진리라는 설, 진리의 기준이 지식의 유효성에 있다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인식논리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문제가 되는 믿음을 소유한 관련자들에 관한 합리성의 최소 조건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합리성의 최소 조건으로는 정합성, 연언결합과 연언분해, 최소한의 추론 능력 등을 들 수 있다. 정합성은 '만일 x가 p를 믿는다면, x는 not-p를 믿지 않는다'로 정의된다. 기호로는 If p∈...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이타주의 利他主義, altruism
    유래)라는 용어는 19세기 실증주의의 창시자인 오귀스트 콩트가 만들었으며 이기주의에 대한 적절한 반대어로 널리 쓰였다. 이타주의가 하나의 행동이론으로 정합성을 갖기 위해서는 '이익'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관건이다. 만일 '이익'이 고통의 부재와 쾌락을 뜻한다면 대부분의 이타주의자는 도덕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구조 構造, structure
    구조, 담론(談論)의 구조처럼 전체의 부분들이 조직·배치되는 양식을 뜻하는 것으로 쓰이기도 하고, 산업구조, 사회의 경제구조처럼 각 부분에 일정한 정합성을 부여하는 한 체계의 부분들의 조직화를 뜻하는 것으로 쓰이기도 한다. 구조주의에 따르면 구조들은 체계의 구조이고 체계는 기능하지만 구조 자체는 기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변증법적 유물론 辨證法的唯物論, dialectical materialism
    화해할 수 없이 대립했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철저한 유물론적 접근법을 채택하여 유물론과 관념론을 결합하거나 융합하려는 모든 노력은 혼란에 빠지고 정합성을 잃어버릴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변증법 개념은 헤겔에게 많이 의존했다. 사물을 추상적으로 생각하고 개별 사물을 따로 떼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논증의 방법
    논증'이다. 연역 논증은 결론이 전제에서 엄격하게 필연적으로 도출된다고 강하게 주장한다. 바꾸어 말하면 어떤 전제를 긍정하면서 동시에 그 결론을 부정하면 정합성을 잃고 자기모순에 빠진다는 주장이다. 둘째, 개별적인 사실들을 증거로 일반 결론을 끌어내는 형식의 '귀납논증'이다. 귀납논증은 전제가 일정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 일반
  • 분석명제 分析命題, analytic proposition
    진리'와 '사실적 진리'를 구분했고, 스코틀랜드의 회의론자 데이비드 흄은 '관념의 관계'와 '사실'을 구분했다. 분석적 진술에 대해 어느 정도 논리적 정합성을 지닌 최초의 정의는 볼차노가 제시했다. 그는 ① 어떤 문장의 명제형식이 그 문장의 변항이 어떤 값을 가지더라도 참이거나, ② 어떤 문장이 ①과 같은 문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그래프매칭 graph matching
    그래프를 찾는 그래프 검색법, 그림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대조가능한 특징과 원소의 조(예컨대 특징 A와 원소 1로 이루어지는 조A·1)를 노드로 하여, 서로 정합성이 있는 조끼리 가지로 연결한 연합 그래프(association graph)를 만들어, 연합 그래프의 크리크를 구하는 방법 등이 있다. 화상에서 얻어진 그래프는...
    분야 :
    패턴 정보처리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