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민계정체계 SNA국민계정은 국민경제의 순환과 변동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회회계로서 경제활동을 거래형태별 및 거래에 참가하는 경제주체별로 파악하여 복식부기 방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즉, 국민경제의 순환에 따른 변동을 각각의 거래형태와 거래주체 간의 상호연관 하에서 체계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국민계정체계(SNA; a System...
-
유엔 국민 계정 체계 (관련어 국민 계정 체계) Syste..유엔 국민 계정 체계(흔히 "SNA" 또는 "UNSNA"으로 축약된다)는 국민 계정에 대한 국제 표준 체계이다. 1953년에 첫 국제 표준이 발행되었다. 안내서는 1968년판, 1993년판, 2008년판까지 나왔다. UNSNA의 목적은 눈에 띄는 경제활동 간의 통합적이고 완전한 국민계정의 국제적 비교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제안점은 UNS...도서 위키백과
-
환경계정환경계정이란 1993년 UN이 경제활동과 환경 간의 상호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국민계정의 위성계정 형태로 새로 도입한 「환경경제통합계정」(SEEA; System of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ccounts)을 말한다. 환경계정은 기존 국민 계정의 편제 대상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경제자산에만 국한...
-
국민대차대조표 national balance sheet보여주는 표로서 SNA 내에서 소득창출 과정 등을 기록한 플로계정과 자산의 축적상태를 기록한 스톡계정을 통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014년에 국민대차대조표를 신규 편제함으로써 우리나라는 SNA(A System of National Accounts) 이행의 최상위인 6단계를 달성하게 되었고 완전한 국민계정체계를 구현하게 되었다...
-
United Nations System of National Accounts 유엔 국민 ..The United Nations System of National Accounts (often abbreviated as SNA or UNSNA)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system of national accounts, the first international standard being published in 1953. Handbooks have been released for the 1968 revision, the 1993 revision, and the 2008 revision.The...출처 영어 위키백과
-
국민소득 國民所得System of National Accounts:1953 SNA)에 따라 1953년 이후의 국민소득계열을 작성, 발표하였다. 그리고 1968년 UN은 국민경제활동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국민계정체계(國民計定體系, 1968 SNA)”를 발표하고 각국에 이 체계에 의한 통계편제를 권고함에 따라 우리 나라도 1986년에 국민...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생산세 taxes on production현재 국민계정 작성기준인 국민계정체계(SNA)에서는 조세를 크게 종전 간접세에 해당하는 생산세(taxes on production)와 소득 ・ 부 등에 대한 경상세, 자본세로 분류하고 있다. 여기서 다시 생산세는 생산물세(taxes on products)와 기타 생산세(other taxes on products)로 분류되는데, 생산물세는 생산자가 재화 및...
-
경상수지 經常收支, Balance on Current Account합하여 체계적으로 기록해 놓은 것이다. 내용 경상수지의 흑자는 상품과 서비스의 수출이 수입보다 더 많은 경우이며, 적자는 그 반대의 경우인데, 환율·물가·소득 및 소비선호의 변화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물가와 원화가치가 비싸지면 수출이 줄어들고 수입이 늘어나면서 경상수지 적자폭이 증가한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간접세/직접세 indirect tax/direct tax소득이 적은 자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조세부담률이 적용되는 역진성(逆進性)을 띠게 되어 공평부담의 원칙에 어긋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국민계정체계에서는 조세의 실질적인 부담주체를 결정하기가 쉽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하여 간접세와 직접세 대신 생산 및 수입세, 소득 및 부 등에 대한 경상세, 자본세란 용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