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旌善 淨岩寺 水瑪瑙塔
    국보(2020.06.25 지정). 높이 900cm. 정암사 뒤편 천의봉 중턱에 축대를 쌓아 마련한 대지 위에 서 있다. 이 절은 636년(신라 선덕왕 5) 자장법사(慈藏法師)가 당나라에서 석가세존의 신보를 얻어 귀국한 뒤 세운 절로 이 탑에 세존의 사리를 봉안했다고 하여 현재 법당에 불상이 없다. 화강암제로 된 6단의 기단 위에...
    문화재 지정 :
    국보(2020.06.25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보물 , 사찰
  • 정선군의 자연환경
    태백산맥의 중심부에 해당하여 군 전체가 높고 가파른 산으로 겹겹이 둘러싸여 있다. 최고봉인 함백산(1,573m)을 비롯하여 가리왕산(1,561m)·백운산(1,426m)·노추산(1,322m)·석병산(1,055m)·박지산(1,394m)·중봉산(1,284m)·청옥산(1,256m) 등 1,000m 이상의 높은 산들이 연이어 솟아 있어 평야는 거의 없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정선군의 인구
    산간오지로 사람의 왕래가 적었던 정선군에 1948년 함백탄전이 개발되면서 인구가 조금씩 불어나기 시작했다. 1959년 사북읍 일대의 탄전개발로 탄광개발이 본격화되고, 1973년 고한선, 1974년 정선선 등 산업철도가 개통되면서 인구가 크게 늘어 10만 명 이상의 인구규모를 유지해왔으나 1980년대부터 절대인구의 감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정선군읍지 강원도정선군읍지(江原道旌善郡邑誌0, 旌善郡邑誌
    내용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江原道旌善郡邑誌(강원도정선군읍지)’ 로 되어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편자·편년 미상의 『정선군읍지』가 규장각도서에, 1896년에 편찬된 『정선군지』가 장서각도서에 있다. 또한, 일제 강점기 때 편사된 『정선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시대 :
    근대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1899년
    성격 :
    지방지, 읍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지리/인문지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정선총쇄록 강원도정선군일록(江原道旌善郡日錄), 旌善叢鎖錄
    개설 1책. 필사본. 1887년 3월부터 1888년 8월까지 오횡묵이 정선군수로 재직하는 동안 쓴 일기 형식의 글로 내제(內題)는 ‘‘江原道旌善郡日錄(강원도정선군일록)’이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내용 1880년대 이후 조선 정부는 광산 개발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광산 개발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1887년 5월...
    저작자 :
    오횡묵(吳宖默)
    창작/발표시기 :
    1897년
    성격 :
    일지, 일기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지리/인문지리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 정선군의 연혁
    16)에 정선현으로 개칭, 명주(지금의 강릉)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시대인 1018년(현종 9)에 강릉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뒤에 정선군으로 승격되어 조선시대말까지 유지되었다. 정선의 별호는 도원·주진·삼봉·침봉 등이었다. 1895년 지방제도 개정에 의해 충주부 정선군, 1896년에 강원도 정선군이 되었다. 1906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정선아리랑 旌善아리랑
    정선아리랑의 역사 정선아리랑은 1971년 강원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 1호로 지정된 강원도 정선 지역에서 전래하는 향토민요 「아라리」의 고유 명사이다. 정선군은 1968년에 『정선아리랑가사집』을 냈고, 1970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정선아리랑이 민요(民謠)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1971년 정선에서...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정선 아우라지 유적 旌善 아우라지 遺蹟
    개설 정선아우라지유적은 행정구역상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북면 여량2리 아우라지들 일대로, 조양강을 사이에 두고 북쪽인 여량 5리와 남쪽인 여량 2리의 충적평야지대에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다. 아우라지 관광단지 조성사업에 앞서 시행한 1차 시굴조사를 통해 선사에서 역사시대에 이르는 매장문화재(현, 매장...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정선 봉양리 쥐라기 역암 旌善 鳳陽里 Jura紀 礫岩
    명칭 유래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와 북실리 일대에는 쥐라기 대동누층군 반송층군이 분포하며, 이 지층의 대표적 암상은 역암이다. 일반적으로 역암[층]은 퇴적 당시 지역의 지질, 기후, 환경, 퇴적 조건 등을 나타내기 때문에 학술적 중요성이 높게 평가될 때가 있다. 특히 정선 봉양리 쥐라기 역암은...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정선아리랑 엮음아리랑
    만들어 부르기도 하여, 수많은 가사가 계속 만들어졌으며, 부르는 사람에 따라 장식음을 많이 넣기도 하고 적게 넣기도 한다. 정선아리랑연구소가 1991년부터 2013년까지 정선군과 중국 동북 3성에서 채록 조사한 결과, 정선아리랑의 이름으로 2만 3천여 수가 채록되었다. 이중 중복되는 가사를 제외하고 5천 500...
  • 세계대한민국아리랑대축제 및 정선아리랑제 정선아리랑제, 世界大韓民國아리랑大祝祭..
    개설 1976년부터 2015년까지 제40주년을 맞는 강원특별자치도의 대표적인 전통문화 축제다. 매년 10월 초순경에 열리며, 민요 정선아리랑을 중심으로 아라리 공원과 정선군 일대에서 치러진다. 연원 및 변천 일설에 의하면, 정선아리랑은 14세기말 여말선초에 고려왕조를 섬기던 낙향선비(정선7현)들이 나라와 자신의...
    시대 :
    현대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정선 두위봉 주목 정선두리봉주목, 旌善 斗圍峰─
    능선 가까이 자리 잡고 있는데, 세 그루가 30m 정도의 간격을 두고 경사지에 서 있다. 두위봉은 대표적인 철쭉산으로서 매년 6월 철쭉 축제가 열리는데, 「정선아리랑」에 나오는 두리봉의 다른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민간에서는 주목의 붉은 나무껍질이 악귀를 쫒는다는 주술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주목들은...
    유형 :
    유물
    분야 :
    과학/식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2건

정선군
정선군읍지
정선군읍지
정선군읍지
대동여지도 중 강원도 정선 부분
정선향교 전경
강원도 정선군
정선군 문화지도
정선군 행정지도
정선군 내 고개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골지천
레일 바이크. 강원도 정선군 구절리에서는 폐철로를 이용해 만든 레일 바이크 체험을 운영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