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선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정선군의 교육기관, 문화시설, 의료시설, 복지시설 현황. 전통 교육기관으로 1732년 정선읍 봉양리에 건립한 정선향교가 있었다. 최초의 근대적인 교육기관은 1912년에 개교한 정선공립보통학교이며, 그후 임계·화동·벽탄·여량 등지에 공립보통학교가 세워져 초등교육을 시작했다. 1946년 정선중학교, 1950년 정선...
-
영월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근대 교육기관은 1912년에 개교한 영월공립보통학교이며, 그뒤 1개면 1개교 정책에 따라 각 읍·면에 공립보통학교가 세워졌다. 2018년 기준 유치원 15개소...있다. 1965년에 문을 연 영월문화원은 단종제(端宗祭)를 비롯한 각종 문화행사를 주관하고, 향토자료를 정리·출판해 지역문화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단종제...
-
춘천시의 교육·문화·의료·복지고등교육의 산실이 되어왔다. 그밖에 특수학교로 신북읍 신천리의 지체부자유자 및 정박아를 대상으로 하는 동원학교, 효자동에 계성농아학교, 우두동에 명진맹아학교 등이 있다. 문화시설로는 춘천문화원, 시립도서관·공공도서관 등 도서관 2개소, 공연장 9개소, 방송국 2개소, 어린이회관, 시립문화관, 종합문화예술...
-
원주시의 교육·문화·의료·복지원주교육문화관·문막도서관 3개소가 있다. 1962년 설립된 원주문화원은 1982년부터 해마다 치악문화제를 주관하는 등 향토문화의 계승·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대표적인 민속놀이로는 7월 중순에 김을 맨 다음 호미를 씻어두는 행사인 호미씻이를 비롯하여 수박따먹기·땅재먹기·군사놀이·지신밟기 등이 있으며...
-
평창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근대 교육기관으로는 1912년에 설립된 평창공립보통학교가 최초이고, 1945년에는 평창중학교가 개교했다. 2018년 기준 유치원 16개소, 초등학교 19개소, 중학교 8개소, 고등학교 5개교가 있다. 문화시설로는 평창문화원·평창교육청도서과·진부군립도서관·대화군립도서관·봉평군립도서관·평창종합운동장 등이 있다...
-
어린이내용 정선 등. 이러한 교육목표하에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과정의 경우, 도덕 · 국어 · 사회 · 산수 · 자연 · 체육 · 음악 · 미술 및 실과의 9개 교과와 특별활동으로 편성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농아교육은 1960년대까지 주로 수화법(手話法)을 이용하되 지문자(指文字)를 함께 쓰는 방법을 사용했으나, 1970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정선군 旌善郡근로복지공사 정선병원이 설립되어 광산 근로자와 일반인 및 농촌지역 주민들의 건강관리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지역주민의 의료수요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보건소, 보건지소를 이전, 신축, 개 · 보수하여 포괄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다른 도시에 비해 병원 및 의사보유 현황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 시대 :
- 근대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한국 韓國109.6, 정선 109.7 등). 연령별 인구구조를 보면, 일제시대에는 청장년층의 해외유출로 청장년층이 감소하고 유년층이 증가했으나 광복 직후에는 반대현상이...이후에는 유년층은 감소한 반면 청장년층의 비율이 높아졌다. 소득과 문화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노년층의 비율도 증가해 1995년 현재 65세 이상의 노년층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현대사
-
종로구 鍾路區제일복지로서의 지위를 한층 뽐내고 있다. 또 북악스카이웨이가 산 중턱을 통과하며 팔각정에서는 주변 경관과 서울 전경을 바라볼 수 있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인왕산은 서울의 우백호에 해당하는 산으로 소나무 숲과 육중한 바위를 자랑하고 있다. 백운동계곡과 청풍계곡을 비롯한 송석원의 맑은 물과 깨끗한...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춘천시 春川市과 「정선아리랑」 계통의 「춘천아리랑」이 있다. 「강원도아리랑」은 “아주까리 동백아 여지마라/ 누구를 괴자고 머리에 기름/ (후렴)아리아리 쓰리쓰리 아라리요/ 아리아리 얼씨구 노다가세/ 감꽃을 주으며 헤어진 사랑/ 그감 익을 때 오시만 사랑……”과 같이 남녀간의 애정을 주제로 한, 일찍부터 알려진 보편적...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강릉시 동명, 江陵市화랑, 복지회관, 강릉관노관극, 강릉학산오독떼기, 강릉 하평답교놀이 전수회관 등이 있다. 체육시설로는 종합운동장, 빙상장, 승마장, 실내체육관 등이 있다. 청소년수련시설로는 수련장과 야영장이 있다. 민속 이 지방의 특이한 민속놀이로는 구정면 학산리의 짱치기놀이 · 고비고사리꺾기 등이 있다. 짱치기놀이는...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농업 農業, agriculture지역에 문화발달과 농경술의 진전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강유역의 진한이라는 사회에 부여일족이 세운 백제는 비교적 넓은 평야와 비옥한 토양과 수리시설에 알맞는 하천이 많아 농업국가의 면모를 나타내게 되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다루왕 때 남쪽 주군(州郡)에 벼농사를 시작하고, 기루왕 때 큰비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